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2-23 09:04:02

방공함


군함의 함종별 분류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FFF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수상전투함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 전함( 드레드노트급) · 슈퍼 드레드노트급 전함 · 순양전함 · 고속전함
순양함 · 경순양함 · 중순양함 · 방호순양함 · 장갑순양함 · 대형순양함 · 중뇌장순양함 · 타격순양함 · 방공순양함
구축함 · 호위함 · 호위구축함 · 선도구축함 · 유도탄구축함 · DDH
초계함 · 원양초계함 · 초계정
경비함 · 경비정
고속정 · 어뢰정 · 미사일 고속정
항공모함 및 상륙함
항공모함 · 호위항공모함 · 경항공모함 · 중형항공모함 · 헬리콥터 모함 · 수상기 모함 · 강습상륙함
강습상륙함( LHA · LHD · LPH) · 상륙수송선거함 · 상륙선거함 · 전차상륙함 · 중형상륙함
공기부양정 · LCU · LCM
잠수함
탄도 미사일 원자력 잠수함 · 순항 미사일 원자력 잠수함 · 공격 원자력 잠수함
잠수함 · 잠수정 · 잠수순양함
지원함
군수지원함 · 공작함
기뢰전함
기뢰부설함 · 소해함
구축함모함 · 잠수함모함
기타 정보수집함 · 훈련함 · 방공함 · 항공전함 · 항공순양함 · 잠수 항공모함 · 상륙 잠수함 · 해방함 · 모니터함 · 협선 · 판옥선 · 거북선 · 해골선 · 안택선 · 세키부네 · 화공선 · 갤리선 · 드로몬 · 갤리온 · 전열함 · 건보트 · 철갑선 · 무장상선 · SDV }}}}}}}}}}}}}}}


파일:Forbin-090531-N-9988F-406.jpg
프랑스 해군 호라이즌급 방공호위함
파일:Fridtjof Nansen-class frigate-1.jpg
노르웨이 해군 프리드요프 난센급 호위함
1. 개요2. 역사3. 방공 미사일과 함대방공, 개함방공4. 방공함의 동시교전 능력
4.1. 국가별 방공함의 위상배열 레이더4.2. 동시교전 능력이 있는 방공함을 보유한 국가
5. 관련 항목

[clearfix]

1. 개요

영어 Guided missile ship/Guided missile destroyer

군함들 중 방공임무에 특화된 함정의 총칭. 무장 자체가 별 볼일이 없는 정급이나, 초계함들을 제외한 모든 함급에는 방공함으로 따로 떨어져 나온 급들이 있다.

이렇게 된 이유를 설명하자면, 군함이라는 장비는 원래부터 고가의 물건이다. 때문에 대부분의 국가들은 전력확보에 어려움을 느낀다. 게다가 2차 세계대전 초반부터 항공모함의 위력이 대두되면서 미사일이 없던 당대 기술수준에 맞추어 함포만으로 함대방공 작전까지 뛰는 방공순양함의 초창기 형태로서 그 분류만이 경순양함이었던 애틀랜타급 경순양함 우스터급 경순양함을 필두로 방공함이라는 개념이 처음 태동하게 된 것이다.

2. 역사

2차 세계대전 초반부터 항공모함의 위력과 취약점이 동시에 대두되면서,[1] 비록 미사일이 아직은 없었기에 함포만으로 방공임무를 수행한다고는 해도 사실상 방공순양함의 개념에 어느정도 들어맞는 함급이 처음 태동하였으며, 대전 말에는 결국 미사일까지 태동하면서 결과적으로 냉전기간 동안에 미사일 방공함까지 탄생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후 현대에 들어서는 군함에 다양한 장비가 장착되고, 들어가는 돈을 극도로 아껴 보병의 생존성 증대, 기술발달을 통한 장비의 정비요소 감소 및 정비주기의 증대, 국가 및 군을 받쳐줄 기반 경제력과 첨단 산업시설의 확보, 국민과 병력의 사기 유지를 위한 복지정책을 위하여 임무가 통합되는 추세다. 군함 뿐만이 아니라 대부분의 군사장비들은 첨단화되면서 무기의 숫자는 줄어들고 가격은 상향되며, 점점 저율생산화 되는 추세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방공함은 통합 마스트, APAR, 이지스 시스템, 헤라클레스 다기능 위상배열 레이더, 향상된 대공 미사일의 등장으로 더욱 보편화되는 중이다.

3. 방공 미사일과 함대방공, 개함방공

방공함은 크게 아군 함대를 보호할 수 있는 '함대방공함', 자함을 보호할 능력을 가진 '개함방공함'으로 분류할 수 있다. 대공 미사일과 '요격 능력의 사거리'는 방공함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1976년~ 1990년대 초반에 널리 사용된 서방세계의 표준장비인 시스패로우는 최대 사거리가 19km이다. 군함에 사용되는 시스패로우는 보통 8연장의 Mk.29 런처에 장착되어 발사된다. 1979년에 개발된 영국의 시울프 미사일은 사거리는 10km이지만 VLS에서 발사되어 여러 방향의 표적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었다. 또한 실전에서도 성능이 입증된 장비이다. 2004년부터 실전에 배치된 RIM-162 ESSM은 사거리가 50km로 서방제 표준장비가 되었다.
시울프의 사거리 10km
시스패로우의 사거리 19km
SM-1MR Block IV의 사거리 32km
SM-1MR Block VIB의 사거리 46km
ESSM의 사거리 50km
SM-1ER Block I의 사거리 65km
SM-2MR Block I의 사거리 74km
SM-SM-2MR Block II의 사거리 118km

2010년대에는 BMD 능력을 가진 함을 특별하게 구분하기도 한다. MD(Missile Defense; 미사일 방어 체제) 능력을 가진 '전략방공함'은 중요 이슈중 하나로 대한민국에서는 사드, SM-3와 함께 많이 거론되고 있다.

4. 방공함의 동시교전 능력

이지스함 이후 방공함은 크게 동시교전능력이 있는 준이지스함과 동시교전능력이 없는 일반 전투수상함으로 나누어지고 있다.

4.1. 국가별 방공함의 위상배열 레이더

국가 선회형: 위상배열 레이다 4면 고정형: 위상배열 레이다
프랑스 PESA 헤라클레스 다기능 위상배열 레이더
이탈리아 PESA EMPAR
러시아 PESA 3R41 볼나
미국 PESA AN/SPY-1
일본 AESA FCS-3A
네덜란드/ 독일 AESA APAR
영국 AESA SAMPSON
이스라엘 AESA EL/M-2248[2]
중국 AESA 346식 레이더[3]

4.2. 동시교전 능력이 있는 방공함을 보유한 국가

순위 국가 20,000톤 이상 5,000톤 이상
~ 20,000톤 미만
3,000톤 이상
~ 5,000톤 미만
1,000톤 이상
~ 3,000톤 미만
준이지스급/이지스급
전투수상함 총계
1위 미국 92 92 [4]
2위 중국 39 39 [5]
3위 일본 14 14 [6]
4위 호주 3 8 11 [7]
5위 이탈리아 9 9 [8]
6위 프랑스 7 7 [9]
7위 러시아 2 4 6 [10]
7위 싱가포르 6 6 [11]
7위 영국 6 6 [12]
10위 대한민국 4 1 5 [13]
10위 스페인 5 5 [14]
12위 대만 4 4 [15]
12위 네덜란드 4 4 [16]
12위 노르웨이 4 4 [17]
15위 덴마크 3 3 [18]
15위 인도 3 3 [19]
15위 독일 3 3 [20]
18위 이집트 1 1 [21]
18위 모로코 1 1 [22]
18위 이스라엘 1 1 [23]

5. 관련 항목


[1] 일본군 진주만 공습으로 인해 그 위력이 확인되었고, 이때 미군은 전함을 거의 다 잃거나 강제 이탈당하는 바람에 어쩔수 없이 강제로 항모 위주로 작전하게 되면서 활성화되어 항공모함 함재기들이 어뢰와 폭탄으로 야마토급 전함을 둘 다 때려잡고, 비스마르크급 전함 1번함을 앉은뱅이로 만들지를 않나, 추축국의 군항을 일본이 진주만 공습한것과 비슷하게 공습해서 박살내기까지 했고, 같은 항모끼리도 조져버리고, 처음엔 항모따위 아오안이던 독일은 물론이고 졸전대장 이탈리아마저 결국 항모를 만들려고 시도하는 등 위력이 확실하게 모두에게 각인되었다. 반대로, 호위전력도 변변찮은 상황에서 적이 함대함 교전거리나 공대함 공격거리 내로 침투해 올 경우엔 최후의 발악이라도 해보든지 아니면 유서나 쓰고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이는것 말고는 선택지가 전무하다는 사실 역시 레이테 만 해전 샤른호르스트급 전함 2척 전 함의 HMS 글로리어스 공동격침 사건으로서 알 수 있었다. [2] https://ko.wikipedia.org/wiki/EL/M-2248 [3] https://en.wikipedia.org/wiki/Type_346_Radar [4]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equipment_of_the_United_States_Navy [5]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active_People%27s_Liberation_Army_Navy_ships [6]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active_Japan_Maritime_Self-Defense_Force_ships [7]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active_Royal_Australian_Navy_ships [8]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active_Italian_Navy_ships [9]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active_French_Navy_ships [10]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active_Russian_Navy_ships [11] https://en.wikipedia.org/wiki/Equipment_of_the_Republic_of_Singapore_Navy [12]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active_Royal_Navy_ships [13]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active_Republic_of_Korea_Navy_ships [14]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active_Spanish_Navy_ships [15] https://en.wikipedia.org/wiki/Republic_of_China_Navy [16]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active_Royal_Netherlands_Navy_ships [17]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active_Royal_Norwegian_Navy_ships [18]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active_Royal_Danish_Navy_ships [19]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active_Indian_Navy_ships [20]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active_German_Navy_ships [21]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ships_of_the_Egyptian_Navy [22] https://en.wikipedia.org/wiki/Royal_Moroccan_Navy [23]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ships_of_the_Israeli_Navy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