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0 09:17:59

미세 구조 상수

미세구조상수에서 넘어옴


1. 개요2. 역사적 관심
2.1. 조머펠트의 발견2.2. 에딩턴 수 (Eddington's Number)
3. 다중우주론과의 관계4. 관련 문서

1. 개요

미세구조상수(fine structure constant, α로 표기)란 물리학의 기본 상수의 하나이며, 기본 전하입자들의 전자기 상호작용 세기를 결정한다. 그 값은 2023년 현재[1] 기준, α = 0.0072973525649 = 1/137.035999166 이다. 이 상수는 차원이 없는 무차원 물리량이며, 그렇기에 어떠한 단위계에서든 그 값이 동일하다. 이러한 점 때문에 다른 물리학의 기본 상수들( 플랑크 상수, 광속 등)보다 더 근본적이라고 간주되기도 하며, 특히 역수값이 대략 137이라는 점에서 과거부터 여러 떡밥들이 돌아다녔다.

특히, 137은 소수(prime number)인데, 이 점이 미세구조상수에 대한 수학적 및 과학적 흥미를 불러일으켜왔다. 그러나 현재 기준으로 소수와 미세구조상수 사이에 증명된 상관관계는 존재하지 않는다.

2. 역사적 관심

2.1. 조머펠트의 발견

미세구조상수를 최초로 도입한 것은 독일의 이론물리학자 아르놀트 조머펠트로 알려져있다. 보어의 원자 모형을 연구하던 그는, 보어의 이론이 수소와 다른 원소들의 스펙트럼선에서 나타나는 미세하게 갈라진 구조를 설명하지는 못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스펙트럼의 이러한 미세구조를 조머펠트는 보어의 양자이론에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 이론을 적용해서 해결했다. 원자속의 전자는 빛과 비교해도 빠른속도로 움직이고 있기때문에 당연히 특수상대성 이론의 영향을 받고, 스펙트럼선에 나타나는 미세구조는 특수상대성이론의 영향이라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조머펠트는 수소원자와 알칼리 금속 원소들의 스펙트럼선 미세구조를 성공적으로 설명해냈다.

조머펠트가 α를 처음 도입했을때에는 단지, 스펙트럼선에 나타나는 작은 불일치를 수정하기 위한 추가 항으로 간주되었었다. 그러나 이후 양자전기역학(QED) 이론에서도 α가 다시 등장하면서, 미세구조상수가 어떤 근본적인 물리량이 아닌가 하는 의견들이 점차 늘어났다.

사실 미세구조상수는 아직까지도 이론적 유도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실험으로만 측정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2.2. 에딩턴 수 (Eddington's Number)

영국의 천체물리학자 아서 스탠리 에딩턴 경은 미세구조상수의 값을 수치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많은 연구를 진행했다. 에딩턴 경은 137이라는 숫자가 순수 수학적으로 유도될 수 있으며, 우주의 구조와 근본적으로 연관이 되어있는 보편적 상수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은 수학적 신비주의에 근거하고 있다는 비판이 있으며, 과학계의 주목을 받은적은 한 번도 없다.

3. 다중우주론과의 관계

특히 스티븐 호킹을 비롯한 여러 물리학자들은 α의 값이 물리법칙에 따라 필연적으로 고정되었다기보단, 다중우주 개념을 도입하며 우리 우주가 우연히도 현재의 α값을 가지는 우주였을 뿐이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4. 관련 문서


[1] Fan, X.; Myers, T. G.; Sukra, B. A. D.; Gabrielse, G. (13 February 2023). "Measurement of the Electron Magnetic Moment". Physical Review Letters. 130 (7): 071801. arXiv:2209.13084. doi:10.1103/PhysRevLett.130.071801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