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4 15:14:18

MUSASHI -GUN道-

무사시 -건도-에서 넘어옴
무사시 -건도- (2006)
MUSASHI -GUN道-
파일:Gun-dou_Musashi_Poster.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장르 퓨전 시대극, 건 액션
원작 몽키 펀치
감독 키노시타 유키
캐릭터 디자인 스다 마사미
치프 시나리오 라이터 사카이 나오유키(酒井直行)
미술 감독 나카하라 히데노리(中原英統)
편집 니시야마 시게루(西山 茂)
음향 감독 타카쿠와 하지메(高桑 一)
음향 제작 히라타 사토시(平田 哲)
아카세 요시히로(明瀬礼洋)
음악 감독 이시구로 노리오(石黒典生)
극 중 음악 코이케 아츠시(小池 敦)
스기모토 요시노리(杉本善徳)
제작 총괄 프로듀서 스가야 노부유키(菅谷信行)
애니메이션 제작 ACC 프로덕션 제작 스튜디오
제작 「MUSASHI」 제작 위원회
방영 기간 2006. 04. 09. ~ 2006. 10. 29.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BS-i / (일) 09:30
편당 러닝 타임 24분
화수 26화
시청 등급 정보 없음
}}}}}}}}}}}} ||

1. 개요2. 특징
2.1. 작화 붕괴계의 전설
3. 등장인물
3.1. 주인공 일행3.2. 비중 있는 역할3.3. 마물3.4. 그 외
4. 주제가
4.1. OP14.2. ED14.3. OP24.4. ED2
5. 회차 목록6. 영상 및 패러디 모음

[clearfix]

1. 개요

2006년 4월부터 BS-i(現 BS-TBS)에서 방영하기 시작했던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루팡 3세로 유명한 작가 몽키 펀치가 90년대 후반부터 12년 동안 구상해 온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제작사는 ACC 프로덕션.[1] 감독은 키노시타 유키. 캐릭터 디자인은 스다 마사미.

방영 당시에는 16:9 와이드 비전으로 방송했다.[2]

2. 특징

시대극 건 액션을 조합한 퓨전 장르의 작품으로, 세키가하라에서 서군이 이겼다는 전제하에서 도요토미 막부가 성립하는 등 대체 역사물의 성격을 띠고 있다. 사사키 코지로, 사나다 유키무라 등의 인물은 여성으로 TS되어 등장한다.

폭넓은 연령층을 커버하는 모험 활극이지만, 방영 당시 BS 디지털 방송의 보급률이 낮은 데다 본 프로그램 자체의 지명도가 높은 편도 아니었다. 홍보도 거의 없어서 같은 시기의 다른 애니메이션들이 범람하는 사이 인지도가 저조한 상태에서 방송을 시작해야 했다.

2.1. 작화 붕괴계의 전설

파일:external/pds.exblog.jp/c0039195_22231783.gif
파일:external/mabinogi.gameabout.com/2012070609224745e50.gif

그러나 방영 후, 이 작품은 엄청나게 심각한 작화 퀄리티로 오히려 주목을 받으면서 다른 의미로 컬트적인 인기를 끌기에 이른다.

기본적으로 장르가 장르인지라 찬바라 건 액션으로서의 요소를 모두 충족하는 현란한 액션 신과 연출이 요구되는데, 당시 본작의 제작 환경은 만성적으로 인재와 예산이 부족한 상태였다. 담당 제작사도 본래는 촬영을 전문으로 하는 회사인지라 애니메이션 제작 경력이 없었고, 동화, 원화 모두 제작 측이 사전에 저렴하게 하청을 의뢰한 중국, 한국 등의 외주사 위주로 돌아갔다. 설상가상으로 이들의 기술력조차 매우 조악했던 데다, 감독을 비롯한 일본 국내 스태프하고도 충분한 협의가 이뤄지지 못했다.

보통 일본의 셀 애니메이션 작업은 1~2주 사이에 마무리, 그리고 수정 처리가 들어가고, 여건이 안 되면 영상 편집 작업으로 돌리는 식으로 이루어지지만, 본작의 경우 해외에 발주한 동화가 감독 측에 도착해서 편집에 들어가는 것이 방송 전날이었다. 즉, 단 하루 만에 편집을 모두 끝내야 한다는 극악의 조건을 달고 있었으며, 당연히 이런 열악하기 짝이 없는 스케줄로는 제대로 된 수정, 편집을 할 여건이 될 수 없었다. 그런 상태에서 방영이 진행된 결과, 어마어마한 대참사가 발생하고 말았다.


보다시피 70~80년대 품질의, 시대를 정면으로 역행하는 듯한 처참한 작화 퀄리티를 선보이게 된 것이다.[3][4] 1화나 24화 정도를 제외한 모든 편이 작화 붕괴 천지로, 그나마 해당되는 2화마저도 나머지에 비해 멀쩡할 뿐이지 다른 평균적인 애니메이션 퀄리티를 비교하자면 객관적으로 좋다고까지 평할 수준은 못 된다.

그 작화 붕괴가 얼마나 심각한가 하면, 작화 감독의 스타일 차이니 뭐니 하는 문제도 아니고 기본적인 완성도조차 갖춰지지 못한 경우가 많다. 매 편 매 파트마다 주조역 불문하고 얼굴형이나 헤어스타일이 수시로 뒤바뀌는 것은 애교고 시시때때로 무너지는 인체 비율, 10초에 1컷밖에 안 움직이는 처참한 동화, 부자연스러운 동작, 이상하게 연결되는 컷신들이 넘쳐나고, 심지어는 채색 실수마저 빈번히 일어난다. 그 작화 퀄리티가 더 나빠질수록 그림 하나를 스크롤해서 시간을 때운다거나, 인물의 원근을 극단적으로 벌려서 움직임이나 밀도를 덜 주는 등의 편법을 남발하는 경우도 많다. 그나마 퀄리티를 신경 쓰기 마련인 오프닝, 엔딩 영상마저도 상태는 마찬가지. 특히 코바야카와 히데아키가 등장하는 10~12화는 '코바야카와 3부작'이라 불릴 만큼 작화 붕괴와 연출 미스의 절정으로 꼽힌다.

배경은 그나마 가끔씩 퀄리티가 높은 것처럼 보여도 사실은 그냥 사진을 썼을 뿐이다. 다른 애니들도 사진을 편집 프로그램으로 적절하게 배경 처리를 하기도 하지만 이 작품에서는 그냥 생사진을 사용했다. 이것마저도 대충 처리했는지, 결코 정상은 아니어서 분명 에도 시대인데 배경에 아파트가 보인다거나, 실내인데도 하늘이 깔려있거나, 앞에서 보든 뒤에서 보든 배경에 보름달이 보이는 등 오류 천지다.

이 모양이니 연출도 물론 기대할 것이 못 된다. 특히 본작의 유명세를 떨치게 한 장면으로는 주인공 무사시의 필살기라 할 수 있는 '음양탄'을 쏘는 장면이 있다. 권총 2정을 적의 코앞에서 빵빵 갈기는데 김빠지는 효과음에 뻣뻣한 동작까지 합쳐서 긴박감이라고는 전혀 없는 액션을 선보이며, 이어서 딱히 빛이 터지는 장면도 없는데 무사시가 '우옷 눈부셧(うおっまぶしっ)' 하고 중얼거리는 의미불명한 장면도 따라온다. 그 밖에 그냥 흐느적거릴 뿐인 칼싸움, 총질이 묘사될 뿐인데도 '강하다', '이런 상대와 싸웠나' 하는 주변의 과장된 리액션도 백미.

얼마나 상태가 안 좋았는지 "제작 스태프 40명 중 38명이 돈 먹고 튀어서 남은 두 명이 사비를 털어 만들었다"는 웃지 못할 루머가 나돌았을 정도였다. 물론 애니메이션의 실제 제작 환경을 생각하면 완전히 말도 안 되는 루머이지만,[5] 작품이 워낙에 질이 낮았기 때문에 이런 황당한 루머를 진짜로 믿었던 사람들이 생각보다 많았다고 한다. 거기다가 전술했듯이 꼴에 16:9 와이드 비전으로 방송했다.

심지어 TV에서 방송되는 각 화의 제목과 방송 편성표에 공개된 제목, 다음 회 예고에 나오는 제목이 전부 제각각 따로 노는 기행까지도 보였는데, 실제로 12편 오프닝 전에 '지난주 방송에서 예고와는 다른 내용을 보내드려서 죄송합니다'라는 사과문을 내보내기도 했다.

이러한 퀄리티로 인해 시청자들에게는 "보고만 있어도 정신이 붕괴된다.", "시대가 경천동지하는 작품.", "애니메이션계의 데스크림존." 등등의 평가를 얻으며 다른 의미로서의 유명세를 얻게 되었다.

이런 처참한 퀄리티에도 불구하고, 26화 + 총집편 3화까지 중단도 없이 전부 방영했으며, 인터넷에서의 열광적인 지지를 등에 업어 수도 없이 많은 매드 무비의 소재가 되었고, DVD 박스 세트가 발매되며, 심지어는 동인 온리 이벤트까지 열리는 기염을 토해냈다. 감독 키노시타 유키는 인터뷰에서 "그렇게 주목을 받는 이상 현상마저 없었다면 26화까지 제작할 엄두도 안 났을 것이다."라고 밝히기도 했다.

절대다수가 작붕에 그 의의를 두고 있지만, '설정이 아깝다.' '스토리는 두고 작화와 세부 내용을 업그레이드하면 괜찮았을 것.'이라는 의외로 정상적인 평이 극소수 존재하고 있다. 보통 정상적인 평은 애니를 최종화까지 시청한 시청자들에게 많이 나오며 나름대로 성우들의 연기나 작품 내 개그 센스, BGM의 퀄리티는 괜찮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이러니한 것은 본작에 콘티로 참여한 연출가들은 후쿠토미 히로시, 카츠마타 토모하루, 와타나베 히데오 등 전부 애니메이션 역사의 한 획을 그어놓을 정도로 한 실력 하는 베테랑급 연출가들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이 작품은 감독인 키노시타 유키의 부족한 감독 능력과 제작사인 ACC 프로덕션이 애니메이션 제작 경험이 없어서 제대로 된 제작 환경을 제공하지 못한 것이 큰 원인으로 보인다.

그래도 중후반 이후 동화 하청처를 바꾸면서 퀄리티가 "아주 조금" 올라갔지만 오히려 아쉬워하는 반응이 나오기도 했다.

사실, 한정판으로 비수정판 DVD가 나오고 수정된 DVD도 나왔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비수정판만 잘 팔렸다. 당연스럽게도 이 작품에서 배경이나 작붕을 개선한 것은 아무 의미가 없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애니맥스에서 위성으로 재방송할 때는 수정판이 방송되었다고 한다.

현재 애니맥스가 판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잘하면 국내 방영도 가능할지도 모르지만, 장기 동결도 있고 무사시 건도는 나온 지 2022년 기준으로 16년이나 된 매우 오래된 작품이기 때문에 이는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

제작자들이 요요기 애니메이션 학원 관련자들인지 주로 요요기 애니메이션 학원에서 스폰서를 해서 제작되었다고 한다. 무사시 건도의 다음 작품이었던 RGB 어드벤처는 제6화까지 방송한 가운데 결국은 스폰서가 끊어져서 조기 하차를 하는 아픔을 겪고 말았다.

관계자들에 의하면 무사시 건도-RGB 어드벤처로 이어지는 가운데 있던 작화 감독들은 사실 거의 참여하지 않았으며 실제로 하고 있던 사람은 한국인 강 모 씨라고 전한다. 이름만 따왔다는 이야기다. 이 기사에서 언급하는 합작품의 정체가 무사시 건도라는 주장이 있다.

더 룸이나 데스크림존, 치타맨, 빅릭스, 차지맨 켄! 등과 함께 '이왕 망가질 거 제대로 망가지면 그것도 그 나름대로 전설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각인시킨 작품이다.

3. 등장인물

파일:attachment/musashi_gundo1.jpg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타로(사스케), 무사시, 타쿠안, 로우닌.

3.1. 주인공 일행

3.2. 비중 있는 역할

3.3. 마물

3.4. 그 외

4. 주제가

4.1. OP1

OP1
GHOST BUSTERZ
TV ver.[6]
[kakaotv(53899838, width=100%)]
DVD ver.[7]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ULTRA BRAiN
레이블 일본 컬럼비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4.2. ED1

ED1
STYLE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Kimeru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4.3. OP2

OP2
Glitter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Phantasmagoria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4.4. ED2

ED2
艶色の光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아오야마 아이(노모토 아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5.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GUN道 MUSASHI
GUN도 MUSASHI
키노시타 유키 2006.04.09.
제2화 GUN道
GUN도
후쿠토미 히로시 쿠니타테 히로시
(国立 宏)
키노시타 유키 2006.04.16.
제3화 タクアン和尚
타쿠안 화상
진다이지 와타루
(深大寺ワタル)
陳龍
倲偉文
2006.04.23.
제4화 ガン鬼の銃
건귀의 총
카츠마타 토모하루 陳龍 2006.04.30.
제5화 鬼の道
오니의 길
후쿠토미 히로시 陳龍
倲偉文
2006.05.07.
제6화 牢獄と夢と
감옥과 꿈과
키노시타 유키 2006.05.14.
제7화 ガン鬼の地
건귀의 땅
후쿠토미 히로시 아키츠 미노루
(秋津 稔)
백남열
(白南烈)
2006.05.21.
제8화 兆し
전조
카츠마타 토모하루 진다이지 와타루 백남열
강치근
(姜致根)
2006.05.28.
제9화 月の巫女
달의 무녀
후쿠토미 히로시 아키츠 미노루 키노시타 유키 2006.06.04.
제10화 真田十勇士
사나다 10용사
와타나베 히데오
(渡部英雄)
쿠니타테 히데오
(国立秀雄)
倲偉文 2006.06.11.
제11화 城盗り勝負
성 뺏기 승부
카츠마타 토모하루 진다이지 와타루 강치근 2006.06.18.
제12화 猿飛佐助
사루토비 사노스케
후쿠토미 히로시 2006.06.25.
제13화 封印魂
봉인혼
와타나베 히데오
키노시타 유키
2006.07.09.
제14화 水没した城
물에 잠긴 성
카츠마타 토모하루 아키츠 미노루 2006.07.16.
제15화 あの女、再び
또다시 그 여자
후쿠토미 히로시 쿠니타테 히데오 2006.07.23.
제16화 過去を撃て!
과거를 쏴라!
카츠마타 토모하루 2006.07.30.
제17화 謎の陰陽師
의문의 음양사
후쿠토미 히로시 아키츠 미노루 2006.08.06.
제18화 ウラシマとヤシャ
우라시마와 야샤
와타나베 히데오
키노시타 유키
2006.08.13.
제19화 池と鐘乳洞
연못과 석회동굴
후쿠토미 히로시 쿠니타테 히데오 2006.08.20.
제20화 アヤカシ抹殺
아야카시 말살
카츠마타 토모하루 아키츠 미노루 2006.08.27.
제21화 相討ち
무승부
후쿠토미 히로시 2006.09.03.
제22화 休息の日
휴식일
카츠마타 토모하루 쿠니타테 히데오 2006.09.10.
제23화 ラセツの最期
라세츠의 최후
후쿠토미 히로시 아키츠 미노루 2006.09.17.
제24화 金の城
금으로 된 성
키노시타 유키 2006.09.24.
제25화 破滅
파멸
카츠마타 토모하루 쿠니타테 히데오 2006.10.01.
제26화
사랑
후쿠토미 히로시 아키츠 미노루 2006.10.08.

6. 영상 및 패러디 모음


팬 버전 오프닝


(강렬한 액션 1) - 35초쯤 명대사 우옷 눈부셔!(うおっまぶしっ!)가 나온다. 그리고 누가 진짜 눈부시게 만들었다 *눈 테러 주의


(강렬한 액션 2) - 1분 36초경부터 끝까지 다쿠앙 화상의 현자의 춤이 나온다.


(하레하레 마부시(まぶしっ!))

잘 보면 알겠지만 영상의 제목이 haraharemabushit이다.

파일:attachment/9312fdafd845acb696352d3d8052b1ba.jpg
파일:attachment/07df12652378fa863f87ef25322de57d.jpg


교향시편 유레카 세븐과 같은 기간에 방영되어서 그런지 패러디가 좀 있다.

파일:attachment/1a3c1a605e6b37d2555c026ccae038eb.jpg
파일:attachment/d1e7c4e53b8926870b1d88bca91a608b.jpg
파일:attachment/369eb0cdd71eb017ff65c55b7a896b6e.gif
파일:attachment/99c746126d26750a03d6c96ded87e106.gif
파일:attachment/35d4f262be79acb4b764d86712ab0f9d.gif
눈 모양이 정말 절묘하다.
교향시편 유레카 세븐과 마찬가지로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오란고교 사교클럽도 같은 기간에 방영되어서 그런지 오란고교랑 하루히 패러디도 있다.

파일:attachment/d636c7958db6458107fdae82c7f16f1b.jpg
파일:attachment/045e8671d7c681cd3d07938104aaaae4.jpg
파일:attachment/e03133aafa2e6788246e384acfc74c45.jpg

유레카 세븐, 하루히와 마찬가지로 같은 기간에 방영된 신비한 별의 쌍둥이 공주 Gyu!도 있다.

파일:attachment/MUSASHI -GUN道-/04.gif

데스노트로도 패러디되었다. 참고로 데스노트도 유레카 세븐, 하루히, 오란고교, 쌍둥이 공주와 같은 기간에 방영되었다.


[1] 애니메이션 촬영 전문 회사로 애니메이션 제작은 본작이 처음. 원작자 몽키 펀치가 임원으로 있던 회사였다고 하며, 2007년에 최종적으로 파산하였다. [2] 동시기에 방영을 시작한 은혼은 2006년 4월부터 2010년 3월까지 1~201화 분량을 4:3 비율로, 그것도 HD방영이 아닌 SD로 방영했다. [3] 무사시 건도가 방영한 해인 2006년은 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데스노트,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등의 우수한 일본 애니메이션들이 방영되어 인기를 얻었다. [4] 특히 당대 TVA 최고의 작화로 유명했던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은 무사시 건도와 같은 분기에 방영되었기 때문에 무사시 건도의 작화가 더 큰 화제를 불러일으켜 역설적으로 무사시 건도의 유명세를 높이는 데에 일조했다. [5] 엔딩 스태프 롤만 세어봐도 40명 정도는 훌쩍 넘고, 직접적으로 현장에 참여하지 않는 사람들까지 생각하면 더 많다. [6] 비수정판. [7] 수정판. 자세히 보면 폰트조차도 촌스럽고 지겹다는 평가가 많은, 즉 일본의 Comic Sans라고 볼 수 있는 소에이카쿠 팝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