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30 01:36:53

네모인데

마인크래프트인데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문서 존치 및 비판 문단 삭제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문서 존치 및 비판 문단 삭제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colbgcolor=#A1DE8E><colcolor=#fff> 네모인데
Digital Single
파일:네모인데 원다이아 (앨범 아트).jpg
발매일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2024년 6월 20일
가수 원다이아
피처링: 금사향, 겜마톡
기획사 애니멀라운지
발매사 빅밴드
곡 수 1곡
재생 시간 02:48
타이틀곡 네모인데

1. 개요2. 챌린지
2.1. 유래2.2. 반응2.3. 참가자

[clearfix]

1. 개요

원다이아의 첫 번째 디지털 싱글.

2. 챌린지


마인크래프트 유튜버 원다이아의 '네모인데' MV의 하이라이트 부분에 자신의 자캐를 넣어 만드는 챌린지성 쇼츠 컨텐츠.

2.1. 유래

미국의 마인크래프트 유튜버 camman18가 만든 'Minecraft, but'이라는 쇼츠 시리즈를 한국 유튜버 이비온이 '마인크래프트인데'라는 썸네일의 쇼츠 시리즈로 가져온 것이 시초이다.

이후 여러 국내 마인크래프트 유튜버들이 해당 컨텐츠를 따라하였으며, 정신없고 유치하게 진행되며 구독과 좋아요를 구걸하는 내용 때문에 불쾌감을 느끼는 사람이 많았다.( TV병신의 풍자 영상)

그러던 중 이 컨텐츠를 따라하던 유튜버 중 하나인 원다이아가 2024년 5월 24일 '네모인데'라는 곡을 발표하였으며, 유튜버 겜마톡, 금사향이 피쳐링에 참여하였다. 챌린지성 쇼츠를 위해 자캐를 넣을 수 있는 파일을 배포하였기 때문에 많은 유튜버들이 챌린지에 참여하였으며, 챌린지의 이름은 곡명인 '네모인데'가 아닌 사비 부분의 가사인 '마인크래프트인데' 챌린지가 되었고 이제는 마인크래프트인데를 검색해도 원본 컨텐츠가 아닌 해당 쇼츠 챌린지만 나온다.

2.2. 반응

이전의 들보단 부정적 반응이 적다.[1] 그러나 전술한 챌린지들처럼 거의 억지로 유행시킨 챌린지여서 그런지 비판을 피하기는 불가피할 것으소 보인다.

음악성 자체는 인스트루멘탈은 평타는 친다. 아무래도 마라탕후루와는 다르게 전문 작곡가가 아닌 어떤 BGM 메이커가 만들었으니 그보다 높게 평가될만 하다. 또한 금사향의 보컬이나 실력 등이 좋긴 하다만 이 곡이랑 그닥 어울리진 않는다.

그러나 이후 공약을 내걸고 실제로 명동, 해운대 등 정말이지 해괴망측한 장소에서 실제로 공약을 이행하는 컨텐츠로 인해 현재로선 반응이 긍정적이다. 또한 챌린지 자체가 만들기 쉽고 안무도 단순하다보니 따라하기도 괜찮아서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다만 뮤직비디오 초반에 발연기가 오글거린다는 반응이 있다.

2.3. 참가자

<rowcolor=#000> 이름 영상 업로드 일자 비고
포비 # 2024.5.27. [애니멀라운지][3]
머어엉 # 2024.5.27. [애니멀라운지][5]
안케 # 2024.5.26. [6]
이초홍 # 2024.5.27.
아이고 # 2024.5.27.
설백 # 2024.5.27.
금사향 # 2024.5.27.
로빈 # 2024.5.28.
낭만숟가락 # 2024.5.28.
경식이할아버지 # 2024.5.29.
멜로우 # 2024.5.30.
배꼽도둑 배춘용 # 2024.5.30. [7]
꿈의 악마 # 2024.5.31.
유콘 # 2024.6.1. [8]
그냥찌 # 2024.6.1. [9]
권루나 # 2024.6.1.
유녕서 # 2024.6.2.
로희랜드 # 2024.6.2.
이루 # 2024.6.4.
꾸몽 # 2024.6.5.
파크모 # 2024.6.6.
류으미 # 2024.6.7.
모구구 # 2024.6.8.
큐랑 # 2024.6.11.
깅도이 # 2024.6.11.
장용환 # 2024.6.11.
차령 # 2024.6.13.
쿠우 # 2024.6.13.
라디유 # 2024.6.14.
이오몽 # 2024.6.15.
고여름 # 2024.6.15.
제미니 # 2024.6.16.
해리 # 2024.6.17.
이신우 # 2024.6.17.
타비 # 2024.6.18.
# 2024.6.19.
징버거 # 2024.6.20.
고세구 # 2024.6.23.

2024년 5월 30일, 챌린지에 참가한 챌린저가 100명을 넘었으며, 원곡을 리믹스한 유튜브 영상은 2024년 6월 28일 현재 4.7만개 이상이다. 다만 실제 모습이 아닌 애니메이션으로 참여하는 점 때문인지 최근 유행한 다른 챌린지들[10]과는 다르게 아이돌과 같은 유명 연예인들의 참여는 전무하고 개인 방송인이 대부분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30
, 5.1.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3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위 챌린지들과는 달리 음원이 불쾌감을 줄 정도로 듣기 거북한 음원이 아니고, 영상도 그냥 귀여운 애니메이션이기 때문에 자주 뜨더라도 크게 짜증날 정도는 아니다. [애니멀라운지] 애니멀라운지 소속 [3] 재업로드 [애니멀라운지] [5] 재업로드 [6] 유튜버 중 처음으로 영상을 업로드하였다. [7] 배춘용의 유튜브에 올라간, 팬영상이다. [8] 유콘의 유튜브에 올라간, 팬영상이다. [9] 재업로드 [10] 꽁꽁 얼어붙은 한강 위로 고양이가 걸어다닙니다, 마라탕후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