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7 00:23:06

롤링 스톤스

Rolling Stones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미국의 음악 잡지사에 대한 내용은 롤링 스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죠죠의 기묘한 모험에 등장하는 캐릭터에 대한 내용은 롤링 스톤즈(죠죠의 기묘한 모험)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transparent"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2 {{{#!folding [ 전 멤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e6001d {{{#!folding [ UK Albums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
The Rolling Stones
1964
The Rolling Stones No. 2
1965
Out of Our Heads
1965
Aftermath
1966
Between the Buttons
1967
Their Satanic Majesties Request
1967
Beggars Banquet
1968
Let It Bleed
1969
Sticky Fingers
1971
Exile on Main St.
1972
Goats Head Soup
1973
It's Only Rock 'n Roll
1974
Black and Blue
1976
Some Girls
1978
Emotional Rescue
1980
Tattoo You
1981
Undercover
1983
Dirty Work
1986
Steel Wheels
1989
Voodoo Lounge
1994
Bridges to Babylon
1997
A Bigger Bang
2005
Blue & Lonesome
2016
Hackney Diamonds
2023
}}}}}}}}}}}}
{{{#!folding [ US Albums ]
{{{#!folding [ Live Albums ]
{{{#!folding [ Compilations ]
{{{#!folding [ 관련 문서 ]
}}}}}} ||
파일:롤링스톤스 로고.png
관련 둘러보기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록 음악 의 역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ext-align:left"
<colbgcolor=#eee,#333> 로큰롤 척 베리 · 엘비스 프레슬리 · 리틀 리처드 · 버디 홀리 · 제리 리 루이스
서프 록 더 벤처스 · 섀도우즈 · 듀언 에디 · 딕 데일 · 비치 보이스
브리티시 인베이전 비틀즈 · 롤링 스톤스 · 더 후 · 애니멀스 · 킹크스 · 크림 · 좀비스 · 스몰 페이시스 · 야드버즈
포크 록 밥 딜런 · 비틀즈 · 버즈 · 사이먼 앤 가펑클 · 마마스 앤 파파스 · 조니 미첼 · 닐 영 · 러빈 스푼풀 · 레드 제플린
사이키델릭 록 비틀즈 · 도어즈 · 버즈 · 지미 헨드릭스 · 핑크 플로이드 · 제퍼슨 에어플레인 · 재니스 조플린
네오 사이키델리아 플레이밍 립스 · 프라이멀 스크림 · 스피리추얼라이즈드 · 애니멀 콜렉티브 · 보어덤스 · 테임 임팔라
크라우트록 · 노이! · 아몬 뒬 II · 파우스트 · 포폴 부
베를린 스쿨 탠저린 드림 · 클라우스 슐체
익스페리멘탈 록 벨벳 언더그라운드 · 프랭크 자파 · 캡틴 비프하트 · 디스 히트 · 스완스
노이즈 록 벨벳 언더그라운드 · 소닉 유스 · 하다카노 라리즈 · 후시츠샤
노 웨이브 글렌 브랑카 · 스완스 · 소닉 유스
개러지 록 소닉스 · 러브 · 서틴스 플로어 엘리베이터스 · 더 킹스멘 · 스투지스
루츠 록 블루스 록 애니멀스 · 롤링 스톤스 · 에릭 클랩튼 · 레드 제플린 · 크림 · 야드버즈 · 피터 그린 · 로리 갤러거 · 다이어 스트레이츠 · 재니스 조플린
하트랜드 록 닐 영 · 브루스 스프링스틴 · 톰 페티
컨트리 록 더 밴드 ·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 롤링 스톤스 · 이글스 · 듀언 올맨
서던 록 레너드 스키너드 · 올맨 브라더스 밴드
하드 록 더 후 · 롤링 스톤스 · 지미 헨드릭스(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 · 크림 · 레드 제플린 · AC/DC · 에어로스미스 ·
어덜트 오리엔티드 포리너 · 저니 · 토토 · 데프 레파드 · 빌리 스콰이어
프로그레시브 록 무디 블루스 · 킹 크림슨 · 핑크 플로이드 · 제네시스 · 예스 · 에머슨 레이크 앤 파머 · 제쓰로 툴(프로그레시브 포크) · 일렉트릭 라이트 오케스트라
글램 록 티렉스 · 데이비드 보위 · 록시 뮤직 · 루 리드 · 게리 글리터 · 뉴욕 돌스
소프트 록 닐 다이아몬드 · 카펜터즈 · 닐 영 · 폴 사이먼
팝 록 비틀즈 · 존 레논 · 폴 매카트니 · 비 지스 · 아바 · 플리트우드 맥 · 듀란 듀란 · 필 콜린스 · 피터 가브리엘 · 로드 스튜어트 · 조지 마이클 ·
파워 팝 배드핑거 · 빅 스타 · 라즈베리스 · 칩 트릭 · 위저 · 틴에이지 팬클럽
피아노 록 제리 리 루이스 · 리틀 리처드 · 엘튼 존 · 빌리 조엘 · 벤 폴즈
헤비 메탈 아이언 버터플라이 · 레드 제플린 · 블랙 사바스 · 딥 퍼플
NWOBHM 주다스 프리스트 · 아이언 메이든 · 데프 레파드 · 색슨 · 베놈 · 모터헤드
글램 메탈
( 팝 메탈)
데프 레파드 · 머틀리 크루 · 밴 헤일런 · 본 조비 · 미스터 빅 · 스콜피온즈 · 신데렐라 · 에어로스미스 · KISS · 포이즌 · 하노이 록스 · 스키드로우 · 건즈 앤 로지스
파워 메탈 헬로윈 · 블라인드 가디언 · 스트라토바리우스 · 감마레이 · 랩소디 · 앙그라 · 아반타시아 · 에드가이 · 카멜롯 · 드래곤포스 · 소나타 악티카
익스트림 메탈 스래시 메탈 메탈리카 · 메가데스 · 슬레이어 · 앤스랙스
블랙 메탈 메이헴 · 다크스론 · 버줌 · 엠페러 · 임모탈
데스 메탈 데스 · 카르카스 · 모비드 엔젤 · 오비츄어리
고딕 메탈 마이 다잉 브라이드 · 파라다이스 로스트 · 시어터 오브 트래저디 · 라크리모사
둠 메탈 캔들메스 · 커씨드럴
프로그레시브 메탈 러시 · 제쓰로 툴 · 크림슨 글로리 · Vanden Plas · 퀸즈라이크 · 드림 시어터 · 비트윈 더 베리드 앤 미 · 섀도우 갤러리
익스트림 프로그레시브 메탈 메슈가( Djent) · 오페스 · 고지라
멜로딕 데스 메탈 인 플레임스 · 앳 더 게이츠 · 다크 트랭퀼리티 · 아치 에너미 · 칠드런 오브 보덤
네오 클래시컬 메탈 레인보우 · 리치 블랙모어 · 잉베이 말름스틴 · 아텐션
그루브 메탈 판테라 · 램 오브 갓
심포닉 메탈 나이트위시 · 다크무어 · 세리온 · 크레이들 오브 필스
얼터너티브 메탈 Alter Bridge · 헤일스톰
뉴 메탈 Korn · 림프 비즈킷 · 머드베인 · 린킨 파크 · 시스템 오브 어 다운 · 파파 로치 · 슬립낫 · 데프톤즈
펑크 록 라몬즈 · 섹스 피스톨즈 · 더 클래시
포스트 펑크 조이 디비전 · 퍼블릭 이미지 리미티드 · 와이어 · U2 · 텔레비전 · 갱 오브 포
고딕 록 바우하우스 · 수지 앤 더 밴시스 · 더 큐어
포스트 펑크
리바이벌
스트록스 · 인터폴 · 프란츠 퍼디난드 · 예예예스 · 악틱 몽키즈
뉴웨이브 듀란 듀란 · 블론디 · 더 폴리스 · 토킹 헤즈 · XTC · 카스
댄스 록 데이비드 보위 · 듀란 듀란 · 토킹 헤즈 · 뉴 오더
신스팝 크라프트베르크 · 티어스 포 피어스 · 디페시 모드 · 뉴 오더
하드코어 펑크 블랙 플래그 · 마이너 스렛 · 데드 케네디스 · 미스피츠 · 배드 브레인스
포스트 하드코어 빅 블랙 · 허스커 두 · 미니트맨 · 푸가지
팝 펑크 라몬즈 · 버즈콕스 · 엘비스 코스텔로 · 그린 데이 · 위저 · Sum 41 · 오프스프링 · 머신 건 켈리
Emo Sunny Day Real Estate · 마이 케미컬 로맨스 · 폴 아웃 보이
그라인드코어 네이팜 데스 · 애널 컨트
메탈코어 불렛 포 마이 발렌타인 · 브링 미 더 호라이즌 · 컨버지 · 어벤지드 세븐폴드 · 딜린저 이스케이프 플랜
데스코어 화이트채플 · 수어사이드 사일런스 · 본 오브 오시리스· 로나 쇼어
얼터너티브 록 쟁글팝 더 스미스 · R.E.M. · 필리스 · 아즈텍 카메라
노이즈 팝 지저스 앤 메리 체인 ·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 · 요 라 텡고 · 페이브먼트
드림 팝 콕토 트윈즈 · 스피리추얼라이즈드 · 갤럭시 500 · 러시 · 매지 스타 · 비치 하우스
슈게이즈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 · 라이드 · 슬로다이브 · 버브
그런지 너바나 · 펄 잼 · 사운드가든 · 앨리스 인 체인스 · 스톤 템플 파일럿츠
포스트 그런지 니켈백 · 크리드 · 도트리 · 푸 파이터즈 · 쓰리 데이즈 그레이스
브릿팝 오아시스 · 블러 · 펄프 · 스웨이드 · 매닉 스트리트 프리처스 · 슈퍼 퍼리 애니멀즈
포스트 브릿팝 라디오헤드 · 콜드플레이 · 트래비스 · · 스노우 패트롤
인디 록 더 스미스 · R.E.M. · 픽시즈 · 리플레이스먼츠 · 모데스트 마우스 · 빌트 투 스필 · 요 라 텡고· 아케이드 파이어
슬래커 록 비트 해프닝 · 다이노소어 주니어 · 페이브먼트 · 가이디드 바이 보이시즈
레드 핫 칠리 페퍼스 · 스매싱 펌킨스 · 뮤즈 · 이매진 드래곤스
포스트 록 스완스 · 갓스피드 유! 블랙 엠퍼러 · 슬린트 · 시규어 로스 · 톡 톡 }}}
[ 기타 ]
가스펠 메탈 · 바이킹 메탈 · 스토너 록 · 라가 록 · 아트 록 · 일본 록
}}}}}}

파일:영국 국기.svg
British Invasion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5px"
파일:thewho.png 파일:비틀즈 로고.svg 파일:롤링 스톤스 심볼.svg
더 후 비틀즈 롤링 스톤스
파일:애니멀스.png 파일:킹크스 로고.png 파일:Zombielogo.png
애니멀스 킹크스 좀비스
파일:smallfaceslogo.png 파일:크림 로고.png 파일:야드버즈 로고.png
스몰 페이시스 크림 야드버즈
}}}}}}}}} ||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름 롤링 스톤스
THE ROLLLING STONES
헌액 부문 공연자 (Performers)
멤버 브라이언 존스, 믹 재거, 키스 리처즈, 빌 와이먼, 찰리 와츠,
이언 스튜어트, 믹 테일러, 로니 우드
입성 연도 1989년
후보자격 연도 1989년
후보선정 연도 1989년 }}}}}}}}}

파일:BFB7FA20-A75F-49D2-A004-A8C706604E1E.png 영국 음악 명예의 전당 헌액자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2004년 헌액
1950년대: 엘비스 프레슬리
1960년대: 비틀즈
1970년대: 밥 말리
1980년대: 마돈나
1990년대: U2
2004년 헌액
50년대: 클리프 리처드 & 섀도우즈
60년대: 롤링 스톤스
70년대:
80년대: 마이클 잭슨
90년대: 로비 윌리엄스
2005년 헌액
핑크 플로이드
유리드믹스
아레사 프랭클린
지미 헨드릭스
밥 딜런
조이 디비전 / 뉴 오더
더 후
킹크스
블랙 사바스
오지 오스본
2006년 헌액
제임스 브라운
레드 제플린
로드 스튜어트
브라이언 윌슨
본 조비
프린스
더스티 스프링필드
조지 마틴
}}}}}}}}}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s-5.3.2|그래미 어워드 평생 공로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5px"
<colbgcolor=#fff,#353535> 1963년 빙 크로스비
1965년 프랭크 시나트라
1966년 듀크 엘링턴
1967년 엘라 피츠제럴드
1968년 어빙 벌린
1971년 엘비스 프레슬리
1972년 루이 암스트롱, 마할리아 잭슨
1984년 척 베리, 찰리 파커
1985년 레너드 번스타인
1986년 베니 굿맨, 롤링 스톤스, 안드레스 세고비아
1987년 로이 에이커프, 베니 카터, 엔리코 카루소, 레이 찰스, 패츠 도미노, 우디 허먼, 빌리 홀리데이, 비비 킹, 아이작 스턴,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행크 윌리엄스
1989년 프레드 아스테어, 파블로 카잘스, 디지 길레스피, 야샤 하이페츠, 리나 혼, 레온타인 프라이스, 베시 스미스, 아트 테이텀, 사라 본
1990년 냇 킹 콜, 마일스 데이비스,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폴 매카트니
1991년 매리언 앤더슨, 밥 딜런, 존 레논, 줄리 스턴, 키티 웰스
1992년 제임스 브라운, 존 콜트레인, 지미 헨드릭스, 머디 워터스
1993년 쳇 앳킨스, 리틀 리처드, 델로니어스 몽크, 빌 먼로, 피트 시거, 패츠 월러
1994년 빌 에반스, 아레사 프랭클린,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1995년 팻시 클라인, 페기 리, 헨리 맨시니, 커티스 메이필드,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1996년 데이브 브루벡, 마빈 게이, 게오르그 솔티, 스티비 원더
1997년 바비 블랜드, 에벌리 브라더스, 주디 갈란드, 스테판 그라펠리, 버디 홀리, 찰스 밍거스, 오스카 피터슨, 프랭크 자파
1998년 보 디들리, 밀스 브라더스, 로이 오비슨, 폴 로브슨
1999년 조니 캐쉬, 샘 쿡, 오티스 레딩, 스모키 로빈슨, 멜 토메
2000년 해리 벨라폰테, 우디 거스리, 존 리 후커, 미치 밀러, 윌리 넬슨
2001년 비치 보이스, 토니 베넷,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밥 말리, 더 후
2002년 카운트 베이시, 로즈메리 클루니, 페리 코모, 알 그린, 조니 미첼
2003년 에타 제임스, 조니 마티스, 글렌 밀러, 티토 푸엔테, 사이먼 앤 가펑클
2004년 밴 클라이번, 펑크 브라더스, 엘라 젠킨스, 소니 롤린스, 아티 쇼, 독 왓슨
2005년 에디 아놀드, 아트 블래키, 카터 패밀리, 모턴 굴드, 재니스 조플린, 레드 제플린, 제리 리 루이스, 젤리 롤 모턴, 파인톱 퍼킨스, 스태플 싱어즈
2006년 데이비드 보위, 크림, 멀 해거드, 로버트 존슨, 제시 노먼, 리처드 프라이어, 더 위버스
2007년 조안 바에즈, 부커 티 앤 더 엠지스, 마리아 칼라스, 오넷 콜먼, 도어즈, 그레이트풀 데드, 밥 윌스
2008년 버트 배커랙, 더 밴드, 캡 캘러웨이, 도리스 데이, 이작 펄만, 맥스 로치, 얼 스크럭스
2009년 진 오트리, 더 블라인드 보이즈 오브 알라바마, 포 탑스, 행크 존스, 브렌다 리, 딘 마틴, 톰 팩스톤
2010년 레너드 코헨, 바비 다린, 데이비드 "허니보이" 에드워즈, 마이클 잭슨, 로레타 린, 앙드레 프레빈, 클락 테리
2011년 줄리 앤드류스, 로이 헤인즈, 줄리아드 현악 콰르텟, 킹스턴 트리오, 돌리 파튼, 라몬즈, 조지 비벌리 시어
2012년 올맨 브라더스 밴드, 글렌 캠벨, 안토니우 카를루스 조빙, 조지 존스, 더 멤피스 혼즈, 다이애나 로스, 길 스콧 헤론
2013년 글렌 굴드, 찰리 헤이든, 라이트닝 홉킨스, 캐롤 킹, 패티 페이지, 템테이션스
2014년 비틀즈, 클리프턴 체니어, 아이즐리 브라더스, 크라프트베르크, 크리스 크리스토퍼슨, 아르만도 만사네로, 마우드 파웰
2015년 비 지스, 피에르 불레즈, 버디 가이, 조지 해리슨, 플라코 지메네즈, 루빈 브라더스, 웨인 쇼터
2016년 루스 브라운, 셀리아 크루즈, 어스 윈드 앤 파이어, 허비 행콕, 제퍼슨 에어플레인, 린다 론스태드, Run-D.M.C.
2017년 셜리 시저, 아마드 자말, 찰리 프라이드, 지미 로저스, 니나 시몬, 슬라이 스톤, 벨벳 언더그라운드
2018년 할 블레인, 닐 다이아몬드, 에밀루 해리스, 루이스 조던, 더 미터스, , 티나 터너
2019년 블랙 사바스, 조지 클린턴 / 팔리아멘트-펑카델릭, 빌리 엑스타인, 도니 해서웨이, 훌리오 이글레시아스, 샘 & 데이브, 디안 워윅
2020년 시카고, 로버타 플랙, 아이작 헤이즈, 이기 팝, 존 프라인, 퍼블릭 에너미, 시스터 로제타 사프
2021년 그랜드마스터 플래시 앤 더 퓨리어스 파이브, 라이오넬 햄프턴, 마릴린 혼, 솔트 앤 페파, 셀레나, 토킹 헤즈
2022년 보니 레잇
2023년 바비 맥퍼린, 너바나, 마 레이니, 슬릭 릭, 나일 로저스, 슈프림즈, 하트
같이 보기: 공로상 수상자 · 레전드상 수상자 }}}}}}}}}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선정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롤링 스톤이 2004년 엘비스 프레슬리 데뷔 50주년을 기념해 로큰롤(Rock And Roll)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아티스트를 선정했다.
롤링 스톤이 직접 현직 뮤지션, 기타 음악산업 중진, 음악평론가 등 총 55명의 패널을 뽑아 이들에게 투표를 실시한 결과다.
2011년 한 차례 개정했으나 기존 아티스트 순위는 거의 변동이 없어 새로 업데이트 된 아티스트에 대한 재평가가 주로 이뤄졌다.
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밥 딜런 엘비스 프레슬리 롤링 스톤스 척 베리
6위 7위 8위 9위 10위
지미 헨드릭스 제임스 브라운 리틀 리처드 아레사 프랭클린 레이 찰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5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밥 말리 비치 보이스 버디 홀리 레드 제플린 스티비 원더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샘 쿡 머디 워터스 마빈 게이 벨벳 언더그라운드 보 디들리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오티스 레딩 U2 브루스 스프링스틴 제리 리 루이스 패츠 도미노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라몬즈 프린스 더 클래시 더 후 너바나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조니 캐시 스모키 로빈슨 앤 더 미라클스 에벌리 브라더스 닐 영 마이클 잭슨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마돈나 로이 오비슨 존 레논 데이비드 보위 사이먼 앤 가펑클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도어즈 밴 모리슨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퍼블릭 에너미 버즈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재니스 조플린 패티 스미스 Run-D.M.C. 엘튼 존 더 밴드
51위부터는 문서 참조.
}}}}}}}}} ||
같이 보기: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 1 / 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 파일:Acclaimed-Music-Logo-Dark.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아티스트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어클레임드 뮤직의 올타임 아티스트 순위. 기본적으로 역사상의 앨범/노래의 순위를 매기는 형식의 사이트이지만, 개인의 취향을 모두 배제하고 음악 평론가들, 또는 잡지 등의 매체들이 매긴 순위를 종합해서 포인트를 줘서 순위를 매기는 사이트다. 순위가 매겨진 앨범과 곡의 리스트를 공개된 공식을 바탕으로 합해 올타임 아티스트들의 순위도 매긴다.
<rowcolor=#fff>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밥 딜런 롤링 스톤스 데이비드 보위 브루스 스프링스틴
<rowcolor=#fff>6위 7위 8위 9위 10위
라디오헤드 레드 제플린 닐 영 프린스 비치 보이스
<rowcolor=#fff>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R.E.M. 엘비스 프레슬리 칸예 웨스트 더 후 U2
<rowcolor=#fff>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마일스 데이비스 벨벳 언더그라운드 너바나 더 클래시 지미 헨드릭스
<rowcolor=#fff>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마빈 게이 핑크 플로이드 엘비스 코스텔로 스티비 원더 닉 케이브 앤 더 배드 시즈
<rowcolor=#fff>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마돈나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 더 스미스 마이클 잭슨 밴 모리슨
<rowcolor=#fff>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토킹 헤즈 켄드릭 라마 아케이드 파이어 아레사 프랭클린 비요크
<rowcolor=#fff>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JAY-Z 제임스 브라운 톰 웨이츠 존 콜트레인 PJ 하비
<rowcolor=#fff>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킹크스 퍼블릭 에너미 버즈 비스티 보이즈 조니 미첼
<rowcolor=#fff>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벡 한센 더 큐어 존 레논 도어즈 LCD 사운드시스템
<rowcolor=#fff>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블러 크라프트베르크 레너드 코헨 픽시즈 루 리드
<rowcolor=#fff>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조니 캐쉬 소닉 유스 록시 뮤직 오아시스 플리트우드 맥
<rowcolor=#fff>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듀크 엘링턴 더 밴드 아웃캐스트 다프트 펑크
<rowcolor=#fff>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사이먼 앤 가펑클 프랭크 시나트라 척 베리 프랭크 오션 비욘세
<rowcolor=#fff>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조이 디비전 AC/DC 윌코 오티스 레딩
<rowcolor=#fff>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뉴 오더 메탈리카 화이트 스트라입스 라몬즈 더 폴리스
<rowcolor=#fff>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스투지스 브라이언 이노 엘튼 존 뱀파이어 위켄드
<rowcolor=#fff>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섹스 피스톨즈 매시브 어택 레이 찰스 스틸리 댄 블랙 사바스
<rowcolor=#fff>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케이트 부시 악틱 몽키즈 찰스 밍거스 패티 스미스 포티스헤드
<rowcolor=#fff>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건즈 앤 로지스 페이브먼트 수프얀 스티븐스 알 그린 펑카델릭
101위 ~ 4112위: 공식 사이트 }}}}}}}}}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 파일:Acclaimed-Music-Logo-Dark.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60년대 최고 아티스트
<rowcolor=#000,#fff>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5px"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밥 딜런 롤링 스톤스 비치 보이스 지미 헨드릭스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벨벳 언더그라운드 버즈 더 후 존 콜트레인 아레사 프랭클린
''''
''''
''''
}}}}}}}}} ||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 파일:Acclaimed-Music-Logo-Dark.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70년대 최고 아티스트
<rowcolor=#000,#fff>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5px"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데이비드 보위 롤링 스톤스 닐 영 레드 제플린 스티비 원더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브루스 스프링스틴 밥 말리 더 클래시 핑크 플로이드 마빈 게이
''''
''''
''''
}}}}}}}}} ||

파일:AllMusic_Text_Logo.svg.png
ALLMUSIC 선정 올타임 가장 영향력 있는 아티스트 (통합)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올뮤직의 2017년 올타임 아티스트 순위. 세계 최대의 음악 데이터베이스 사이트 및 웹진으로, '모든 음악'이라는 사이트 이름에 걸맞게 장르와 국적을 불문한 전 세계 온갖 음반, 뮤지션과 그에 관한 정보와 리뷰를 찾아볼 수 있다. 세계의 300만 장 이상의 온갖 음반, 100만 명 이상의 음악가의 데이터, 3,000만 이상 트랙의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며,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른 아티스트들에게 가장 많이 영향을 준 아티스트의 순위를 매겼다. '통합' 아티스트 순위 리스트다.
<rowcolor=#fff>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밥 딜런 롤링 스톤스 데이비드 보위 벨벳 언더그라운드
<rowcolor=#fff>6위 7위 8위 9위 10위
비치 보이스 킹크스 닐 영 지미 헨드릭스 더 버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6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레드 제플린 마일스 데이비스 브라이언 이노 크라프트베르크 존 콜트레인
<rowcolor=#fff>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제임스 브라운 스투지스 소닉 유스 핑크 플로이드 더 후
<rowcolor=#fff>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블랙 사바스 행크 윌리엄스 엘비스 프레슬리 더 클래시 라몬즈
<rowcolor=#fff>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 조니 미첼 스티비 원더 섹스 피스톨즈 척 베리
<rowcolor=#fff>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프린스 마빈 게이 찰리 파커 듀크 엘링턴 너바나
<rowcolor=#fff>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N.W.A 머디 워터스 조니 캐시 더 큐어 더 스미스
<rowcolor=#fff>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닉 드레이크 빅 스타 R.E.M 조이 디비전
<rowcolor=#fff>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루이 암스트롱 뉴 오더 메탈리카 픽시즈 샘 쿡
<rowcolor=#fff>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빌리 홀리데이 마이클 잭슨 밥 말리 레너드 코헨 라디오 헤드
<rowcolor=#fff>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블랙 플래그 프랭크 자파 MC5 록시 뮤직 U2
}}}}}}}}} ||
공식 사이트 : 링크, 기사 : # }}}}}}}}}

{{{#!wiki style="margin: 0 -10px"
{{{#000,#fff {{{#!folding [ 1위 – 125위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1px"
※ 2019년 빌보드에서 빌보드 창간 125년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를 공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과 앨범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롤링 스톤스 엘튼 존 머라이어 캐리 마돈나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마이클 잭슨 테일러 스위프트 스티비 원더 시카고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휘트니 휴스턴 폴 매카트니 엘비스 프레슬리 자넷 잭슨 로드 스튜어트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드레이크 프린스 리아나 빌리 조엘 가스 브룩스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허브 앨퍼트 에미넴 어셔 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 닐 다이아몬드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슈프림즈 이글스 비 지스 비치 보이스 플리트우드 맥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산타나 템테이션스 셀린 디옹 아레사 프랭클린 홀 앤 오츠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아델 비욘세 에릭 클랩튼 라이오넬 리치 레드 제플린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브루노 마스 존 덴버 마룬 5 올리비아 뉴튼 존 본 조비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필 콜린스 다이애나 로스 밥 딜런 존 멜렌캠프 JAY-Z
<rowcolor=#fff>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도나 서머 니켈백 보이즈 투 멘 카펜터즈 저스틴 비버
<rowcolor=#fff>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레이디 가가 포리너 브리트니 스피어스 핑크 앨리샤 키스
<rowcolor=#fff>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케이티 페리 마일리 사이러스 잭슨 파이브 어스 윈드 앤 파이어 마빈 게이
<rowcolor=#fff>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U2 린다 론스태드 밴 헤일런 밥 시거 에어로스미스
<rowcolor=#fff>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블랙 아이드 피스 넬리 캐롤 킹 저스틴 팀버레이크 몽키즈
<rowcolor=#fff>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케니 로저스 하트 팀 맥그로 배리 매닐로 R. 켈리
<rowcolor=#fff>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저니 사이먼 앤 가펑클 마이클 볼튼 에드 시런 켈리 클락슨
<rowcolor=#fff>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핑크 플로이드 메리 제이 블라이즈 칸예 웨스트 쓰리 도그 나이트
<rowcolor=#fff>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코모도스 폴라 압둘 브라이언 아담스 크리스 브라운 건즈 앤 로지스
<rowcolor=#fff>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데프 레파드 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 린킨 파크 제임스 테일러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rowcolor=#fff> 101위 102위 103위 104위 105위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 폴 사이먼 백스트리트 보이즈 릴 웨인 캐리 언더우드
<rowcolor=#fff> 106위 107위 108위 109위 110위
앤디 윌리엄스 스틱스 조지 마이클 셰어 TLC
<rowcolor=#fff> 111위 112위 113위 114위 115위
샤니아 트웨인 두비 브라더스 포 시즌스 피터 폴 앤 메리 케니 체스니
<rowcolor=#fff> 116위 117위 118위 119위 120위
데스티니스 차일드 50 센트 레이 찰스 제네시스 더 폴리스
<rowcolor=#fff> 121위 122위 123위 124위 125위
래스컬 플래츠 루다크리스 글로리아 에스테판 조지 해리슨 앨런 잭슨
출처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1위 – 100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5px"
※ 2015년 빌보드가 발표한 빌보드 200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순위다. 얼마나 많은 앨범들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유지했는가를 기준으로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앨범을 많이 낸 뮤지션들이 더 유리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크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롤링 스톤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가스 브룩스 엘튼 존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머라이어 캐리 허브 앨퍼트 테일러 스위프트 시카고 마이클 잭슨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레드 제플린 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 로드 스튜어트 에미넴 휘트니 휴스턴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빌리 조엘 마돈나 산타나 이글스 플리트우드 맥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밥 딜런 스티비 원더 셀린 디옹 에릭 클랩튼 닐 다이아몬드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존 덴버 핑크 플로이드 자넷 잭슨 프린스 캐롤 킹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마일리 사이러스 니켈백 팀 맥그로 밴 헤일런 비치 보이스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U2 아델 엘비스 프레슬리 브리트니 스피어스 어셔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템테이션스 린킨 파크 JAY-Z 앨런 잭슨 본 조비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건즈 앤 로지스 샤니아 트웨인 캐리 언더우드 몽키즈 에어로스미스
<rowcolor=#fff>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제임스 테일러 슈프림즈 앨리샤 키스 메탈리카 데프 레파드
<rowcolor=#fff>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폴 매카트니 린다 론스태드 저니 메리 제이 블라이즈 제쓰로 툴
<rowcolor=#fff>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래스컬 플래츠 포리너 존 멜렌캠프 사이먼 앤 가펑클 케니 체스니
<rowcolor=#fff>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키드 락 앤디 윌리엄스 조지 스트레이트 백스트리트 보이즈 마이클 볼튼
<rowcolor=#fff>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피터 폴 앤 메리 라이오넬 리치 아레사 프랭클린 요세프/캣 스티븐스 밥 시거
<rowcolor=#fff>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AC/DC 비욘세 펄 잼 토비 키스 더 후
<rowcolor=#fff>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폴 사이먼 무디 블루스 저스틴 비버 노라 존스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rowcolor=#fff>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넬리 두비 브라더스 핑크 조쉬 그로반 닐 영
<rowcolor=#fff>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프랭크 시나트라 그린 데이 더 칙스 어스 윈드 앤 파이어 하트
<rowcolor=#fff>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레이디 가가 R. 켈리 보이즈 투 멘 케니 지 비 지스
출처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1위 – 100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 2019년 빌보드가 발표한 빌보드 Hot 100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순위다. 얼마나 많은 곡들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유지했는가를 기준으로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싱글을 많이 낸 뮤지션들이 더 유리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크다.
<rowcolor=#fff>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마돈나 엘튼 존 엘비스 프레슬리 머라이어 캐리
<rowcolor=#fff>6위 7위 8위 9위 10위
스티비 원더 자넷 잭슨 마이클 잭슨 휘트니 휴스턴 리아나
<rowcolor=#fff>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드레이크 롤링 스톤스 폴 매카트니 비 지스 어셔
<rowcolor=#fff>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시카고 슈프림즈 프린스 홀 앤 오츠 로드 스튜어트
<rowcolor=#fff>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테일러 스위프트 올리비아 뉴튼 존 아레사 프랭클린 마룬 5 마빈 게이
<rowcolor=#fff>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케이티 페리 필 콜린스 빌리 조엘 브루노 마스 다이애나 로스
<rowcolor=#fff>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포 시즌스 템테이션스 도나 서머 비치 보이스 라이오넬 리치
<rowcolor=#fff>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닐 다이아몬드 카펜터즈 저스틴 비버 잭슨 파이브 보이즈 투 멘
<rowcolor=#fff>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코니 프랜시스 브렌다 리 더 위켄드 비욘세 크리스 브라운
<rowcolor=#fff>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케니 로저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브라이언 아담스 셰어 블랙 아이드 피스
<rowcolor=#fff>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조지 마이클 핑크 바비 빈튼 존 멜렌캠프 레이디 가가
<rowcolor=#fff>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쓰리 도그 나이트 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 글로리아 에스테판/마이애미 사운드 머신 본 조비 처비 체커
<rowcolor=#fff>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레이 찰스 포리너 쿨 & 더 갱 글래디스 나이트 앤 더 핍스 리키 넬슨
<rowcolor=#fff>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듀란 듀란 저스틴 팀버레이크 코모도스 이글스 TLC
<rowcolor=#fff>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폴 앵카 에미넴 배리 매닐로 디안 워윅 넬리
<rowcolor=#fff>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하트 포스트 말론 아리아나 그란데 에벌리 브라더스 칸예 웨스트
<rowcolor=#fff>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바비 다린 R. 켈리 제임스 브라운 폴라 압둘 켈리 클락슨
<rowcolor=#fff>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앨리샤 키스 에드 시런 린다 론스태드 리처드 막스 데스티니스 차일드
<rowcolor=#fff>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셀린 디옹 JAY-Z 미라클스 디온 플리트우드 맥
<rowcolor=#fff>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밥 시거/실버 불릿 밴드 닐 세다카 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 포인터 시스터스 존 덴버
출처 }}}}}}}}}

세계 음악가 음반 판매량
List of best-selling music artists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억 이상 판매한 음악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순수 음반 판매량이 아닌, 뮤직비디오 스트리밍, 싱글 다운로드와 스트리밍, 정규, EP, 컴필레이션 앨범 등의 다운로드 및 스트리밍이 포함된 국가별 앨범 인증단위를 기준으로 계산하였다.[1] 출처는 위키백과이다. 위키백과 자료 설명 글에 "글로벌 음반 판매량을 기록한 기관이 없기 때문에 이 정보는 공식적으로 기재할 수 없습니다."라고 언급되었다.[2]
비틀즈 엘비스 프레슬리 마이클 잭슨 마돈나 엘튼 존
최대 600,000,000장[3] 500,000,000장 최대 400,000,000장[4] 최대 300,000,000장[5] 최대 300,000,000장[6]
<rowcolor=#FFD700> 레드 제플린 리아나 핑크 플로이드 비 지스 에미넴
최대 300,000,000장[7] 250,000,000장 최대 250,000,000장[8] 220,000,000장 220,000,000장
머라이어 캐리 <rowcolor=#FFD700> 테일러 스위프트 휘트니 휴스턴 이글스
220,000,000장 200,000,000장 200,000,000장 200,000,000장 200,000,000장
롤링 스톤스 <rowcolor=#FFD700> 셀린 디옹 AC/DC
200,000,000장 최대 200,000,000장[9] 최대 200,000,000장[1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1억 5천만 이상 판매한 음악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D700> 드레이크 가스 브룩스 칸예 웨스트 빌리 조엘 저스틴 비버
170,000,000장 170,000,000장 160,000,000장 160,000,000장 150,000,000장
<rowcolor=#FFD700> 에드 시런 브루노 마스 브루스 스프링스틴 U2 에어로스미스
150,000,000장 150,000,000장 150,000,000장 150,000,000장 150,000,000장
<rowcolor=#FFD700> 필 콜린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ABBA 프랭크 시나트라
150,000,000장 150,000,000장 150,000,000장 150,000,000장
[ 각주 ]

[1] 그러나 미국의 인증은 소속사에서 수동적으로 업데이트를 해야 하기 때문에 위의 자료는 더 정확성을 잃게 된다. [2] # [3] 최소 500,000,000장 – [4] 최소 350,000,000장 – [5] 최소 275,000,000장 – [6] 최소 250,000,000장 – [7] 최소 200,000,000장 – [8] 최소 200,000,000장 – [9] 최소 175,000,000장 – [10] 최소 150,000,000장 –
1억 5천만 미만부터는 영문 위키백과 문서 참조.
같이보기 : 세계 음악가 음반 판매량 / 세계 앨범 판매량 순위1 / 2 ( 영국 / 미국 / 일본), 연도별 최다 판매 앨범
}}}}}}}}} ||

파일:미국 국기.svg
음악가별 미국 내 총 음반 판매 순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위 – 9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bb133e> 1위 비틀즈 <colcolor=#333,#fff>183,000,000+장
2위 가스 브룩스 157,000,000+장
3위 엘비스 프레슬리 139,000,000+장
4위 이글스 120,000,000+장
5위 레드 제플린 112,500,000+장
6위 마이클 잭슨 89,000,000+장
7위 빌리 조엘 86,500,000+장
8위 엘튼 존 79,000,000+장
9위 AC/DC 75,000,000+장
9위 핑크 플로이드 75,000,000+장
9위 머라이어 캐리 75,000,000+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2위 – 25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bb133e> 12위 브루스 스프링스틴 <colcolor=#333,#fff>71,000,000+장
13위 에어로스미스 69,500,000+장
13위 조지 스트레이트 69,500,000+장
15위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68,500,000+장
16위 롤링 스톤스 66,500,000+장
17위 마돈나 64,500,000+장
18위 메탈리카 63,000,000+장
19위 에미넴 61,500,000+장
20위 휘트니 휴스턴 61,000,000+장
21위 밴 헤일런 56,500,000+장
22위 플리트우드 맥 54,500,000+장
23위 셀린 디옹 53,000,000+장
24위 저니 52,500,000+장
25위 U2 52,000,000+장
26위 이하로는 출처를 참고하십시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00000, #1D1D1B, #000000 20%, #000000 83.9%, #000000 83.9%);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rowcolor=#000,#fff> ※ 2002년에 미국의 음악지인 스핀 매거진 발표한 리스트이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라몬즈 레드 제플린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 너바나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팔리아멘트/펑카델릭 더 클래시 퍼블릭 에너미 롤링 스톤스 비스티 보이즈
}}}}}}}}} ||

파일:월스트리트 저널 로고.svg 선정
가장 인기 있는 록 밴드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월스트리트 저널이 2018년 음반 판매량, 유튜브 조회수, 차트 및 음원 성적 등을 종합하여 통계 산출을 통해 역사상 가장 인기 있는 록밴드를 선정했다.
<rowcolor=#fff,#000>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레드 제플린 핑크 플로이드 롤링 스톤스
<rowcolor=#fff,#000>6위 7위 8위 9위 10위
AC/DC 이글스 메탈리카 건즈 앤 로지스 에어로스미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5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000>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플리트우드 맥 린킨 파크 레드 핫 칠리 페퍼스 마룬 5 본 조비
<rowcolor=#fff,#000>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U2 밴 헤일런 저니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산타나
<rowcolor=#fff,#000>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시카고 너바나 더 후 비치 보이스 콜드플레이
<rowcolor=#fff,#000>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도어즈 레너드 스키너드 그린 데이 펄 잼 포리너
<rowcolor=#fff,#000>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블랙 사바스 니켈백 데프 레파드 푸 파이터스 하트
<rowcolor=#fff,#000>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폴 아웃 보이 더 폴리스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 ABBA 원리퍼블릭
<rowcolor=#fff,#000>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제네시스 R.E.M. 키스 러시 ZZ TOP
<rowcolor=#fff,#000>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고릴라즈 일렉트릭 라이트 오케스트라 패닉! 앳 더 디스코 blink-182 다이어 스트레이츠
51위부터는 링크 참조.
}}}}}}}}} ||}}}}}}}}} ||

파일:Evening_Standard_logo_투명.png
이브닝 스탠더드 선정 20대 영국 록 밴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5deg, #1D1D1B, #1D1D1B 20%, #1D1D1B 83.9%, #DD052B 83.9%);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rowcolor=#000,#fff> 2019년 영국의 일간지 이브닝 스탠더드 The 20 greatest British rock bands of all time를 발표.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레드 제플린 라디오헤드 핑크 플로이드 롤링 스톤스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더 스미스 오아시스 더 큐어 더 클래시 스톤 로지스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킹크스 블러 블랙 사바스 더 후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록시 뮤직 티렉스 더 잼 슈퍼 퍼리 애니멀즈 조이 디비전
같이 보기: 영국 밴드, 미국 밴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999년 배철수의 음악캠프에서 전문가 81명/청취자 1,556명에게 투표를 실시하여 Top 10 선정.
※ 전문가 81명↓
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엘비스 프레슬리 마이클 잭슨 레드 제플린 핑크 플로이드
6위 7위 8위 9위 10위
엘튼 존 밥 딜런 롤링 스톤스 에릭 클랩튼 마돈나
※ 청취자 1,556명↓
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엘비스 프레슬리 마이클 잭슨 너바나
6위 7위 8위 9위 10위
레드 제플린 에릭 클랩튼 마돈나 ABBA 핑크 플로이드
※ 전문가 + 청취자 종합↓
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엘비스 프레슬리 마이클 잭슨 레드 제플린 너바나
6위 7위 8위 9위 10위
핑크 플로이드 마돈나 에릭 클랩튼 밥 딜런
출처 }}}}}}}}}

파일:인터스코프 레코드 로고.svg 파일:인터스코프 레코드 로고 흰색.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소속 아티스트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
[ 관련 문서 ]
||<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4> 게펜 레코드 ||<width=50%> The SuperStar ||

}}} ||

}}} ||
<colbgcolor=#fff,#000><colcolor=#e6001d>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000> 파일:롤링 스톤스 심볼.svg 롤링 스톤스
The Rolling Stones
}}}
파일:롤링 스톤스 프로필.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다른 사진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RS 2021.jpg
현재 (2021년)
왼쪽부터 로니 우드, 믹 재거, 키스 리처즈
}}}}}}}}} ||
국적
[[영국|]][[틀:국기|]][[틀:국기|]]
결성 1962년 7월 12일 (결성 [age(1962-07-12)]주년)
잉글랜드 런던
데뷔 1963년 6월 7일
(데뷔일로부터 [dday(1963-06-07)]일, [age(1963-06-07)]주년)
싱글 Come On
데뷔 앨범
멤버 믹 재거 (보컬, 1962 ~ )
키스 리처즈 (리듬 기타, 1962 ~ )
찰리 와츠 (드럼, 1963-2021)
로니 우드 (리드 기타, 1975 ~ )
전 멤버 브라이언 존스 (기타 외[1], 1962-1969)
이언 스튜어트 (피아노, 1962-1963)
빌 와이먼 (베이스, 1962-1993)
믹 테일러 (리드 기타, 1969-1974)
장르 , , 로큰롤, 블루스 록, 하드 록, 루츠 록, 컨트리 록
레이블 롤링 스톤스[2], EMI, 런던, 데카, 폴리도르, 컬럼비아, 애틀랜틱 레코드, ABKCO[3]
링크 파일:롤링 스톤스 심볼.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Threads 아이콘.svg

1. 개요2. 약력3. 상징
3.1. 밴드 명3.2. 로고
4. 멤버5. 역사6. 평가와 영향력7. 인기
7.1. 한국에서의 인지도7.2. 유명한 팬들
8. 시도한 음악 장르9. 논란 및 사건 사고10. 밴드 관련 인물
10.1. 세션 멤버10.2. 기타 관련 인물
11. 기타
11.1. 대중매체 속 롤링 스톤스11.2. 비틀즈와의 라이벌리11.3. 관련 도서11.4. 팬 커뮤니티
12. 롤링 스톤스에 대한 언사13. 디스코그래피
13.1. 싱글
13.1.1. 빌보드 Hot 10013.1.2. 그 밖의 싱글13.1.3. 대표곡

[clearfix]

1. 개요

파일:RS 1972 gig.jpg
롤링 스톤스는 1962년 결성되어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는 영국 록 밴드이다.

‘구르는 돌’이라는 이름답게 롤링 스톤스는 비틀즈, 레드 제플린, 등과 더불어 다양한 장르를 시도한 밴드였다. 이들은 블루스 음악을 바탕으로 다양한 음악을 시도하여 하드 록, 블루스 록 등 록 음악의 하위 장르를 개척해 나갔으며, 이에 안주하지 않고 삼바, 디스코, 레게, 컨트리 뮤직, 펑크, 더 나아가 80년대에는 스타일과 일렉트로니카를, 90년대에는 현대적인 록 사운드를 흡수해 나가는 행보를 보였다.

롤링 스톤스 음악의 특징은 섹스, 마약, 심지어 인종차별이나 성차별적 내용까지도 스스럼없이 노래하는 특유의 퇴폐성과 음악 전반에 깔린 '자유'라고 할 수 있다. 복잡하지 않으면서 흥겹고 풍부하고, 때로는 직설적이고 풍자적인 가사도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 대중음악에서 음악가들과 평론가들이 꼽는 록 음악의 정신이 '자유', '저항', '퇴폐' 등으로 요약되므로 어쩌면 가장 록다운 록을 들려주는 밴드라고 평가할 수 있다. 롤링 스톤스는 이러한 행보를 록 음악이 형성되기 시작했던 1960년대 중반부터 보여왔기에, 록이라는 정체성을 확립한 밴드라고 평가받고 있다.

거친 흑인 스타일의 블루지한 보컬 믹 재거의 거리낌없이 자유롭게 노래하는, 속된 말로 '깡패 창법'은 고음과 괴성이 아닌 진정한 보컬의 표현력에 대해 생각하게 해주는 롤링 스톤스의 상징이다. 또 다른 핵심 멤버 키스 리처즈의 화난 듯 거침없이 긁어대는 기타 사운드와 전설적인 리프들 역시 롤링 스톤스 음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라이벌이라고 불리는 비틀즈가 공연장보다는 스튜디오에서의 실험에 집중한 것과 달리 롤링 스톤스는 공연장에서 수많은 퍼포먼스를 시도하면서 소위 말하는 ‘관객 조련’이라는 개념을 만들어냈다. 2000년대 라이브 공연 중 하나인 코파카바나 해변 공연에서는 150만에[4] 가까운 인파를 휘어잡는데, 롤링 스톤스는 이러한 행보를 1960년대부터 보여왔었다.

단순히 비평적으로 성공한 것을 넘어서 상업적으로도 매우 성공하였다. 공식적인 음반 판매량이 무려 2억 장 이상인데, 이는 록 밴드로만 한정할 시 6위에 달하는 수치이다.[5] 현재에도 비틀즈, 레드 제플린, 핑크 플로이드, , 너바나, AC/DC, 메탈리카와 함께 전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밴드이며, 록씬의 쇠퇴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높은 인기를 자랑한다. 또한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해체 없이 활동 중이기에[6] 팬덤의 세대 또한 베이비 부머 세대부터 밀레니엄 세대까지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그리고 한국에서는 인지도가 워낙 처참하다보니[7] 롤링 스톤스의 음악도 모르는 경우가 많지만, 패션 업계에서도 이름이 높은 밴드다. # #

2. 약력

1962년 브라이언 존스에 의해 결성되었으며, 이후 몇 번 멤버 교체를 겪다가 1963년 찰리 와츠가 드러머로 영입되고 이안 스튜어트가 퇴출되면서 최종적으로 밴드가 완벽하게 결성되었다.

당시의 수많은 록 밴드들처럼 초창기에는 고전 블루스 혹은 로큰롤 곡들을 커버하거나 비틀즈가 써준 곡을 발매하는 등 소위 말하는 ‘아이돌 밴드’의 행보를 보였다. 그러나 1965년 키스 리처즈의 자작곡인 (I Can't Get No) Satisfaction이 전 세계적으로 대히트를 치면서 작사 작곡에도 눈을 뜨게 되었다. 이후 전곡을 자작곡으로 채워서 발매한 Aftermath가 미국에서 히트를 치면서 더 후와 함께 1960년대 중반 브리티시 인베이전을 이끄는 밴드가 되었다.

이후 1960년대 후반 롤링 스톤스 4대 명반이라 불리는 앨범들을 발매하면서 상업적, 음악적 양쪽 모두 세계 최고의 록 밴드의 자리에 올라섰다. 이후 1970년대 중반 잠깐 침체기를 겪었으나, 1970년대 후반에 Some Girls를 발매하며 화려하게 부활하였고, 이후 80년대와 90년대, 현재까지 이르러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3. 상징

3.1. 밴드 명

대중들이 현재 알고 있는 5인조 밴드로 자리잡기 전 롤링 스톤스는 아직 이름이 없는 상태였다. 브라이언 존스가 구인 광고를 내걸고 밴드 멤버들을 모집하긴 했으나, 당시 믹 재거와 키스 리처즈, 그리고 딕 테일러가 소속된 밴드였던 ‘더 블루 보이스’의 모든 멤버들이 가입했기 때문에 밴드명은 그대로 더 블루 보이스로 갈 가능성도 있었다.

더 블루 보이스 전체가 브라이언 존스의 밴드로 들어오긴 했으나 구인 광고를 내걸고 새로운 밴드를 결성한 사람은 브라이언 존스였기에 밴드의 명명권은 브라이언 존스에게 있었다.

한편 브라이언 존스를 포함한 밴드의 모든 멤버들은 블루스 음악, 특히 머디 워터스를 굉장히 좋아했다. 키스 리처즈가 전화를 하고 있던 브라이언 존스에게 밴드의 이름이 무엇이냐고 물었을 때도 근처에는 머디 워터스의 앨범이 있었다. 그렇기에 브라이언 존스는 머디 워터스의 곡인 ‘Rollin’ Stone’을 밴드 이름으로 정했고, 나머지 멤버들도 이에 찬성하여 밴드의 이름은 이를 살짝 변형시킨 ‘롤링 스톤스(The Rolling Stones)’가 되었다.

밴드 명이 롤링 스톤스이기 때문에, 각각의 멤버들을 ‘롤링 스톤’이라 부르기도 한다. 멤버들 중 가장 유명한 롤링 스톤은 프론트맨/리드 보컬인 믹 재거다.

3.2. 로고

파일:롤링 스톤스 심볼.svg
파일:롤링스톤스 로고.png
입술 로고 글자 로고

AC/DC, 건즈 앤 로지스, 레드 제플린 등과 더불어 로고가 엄청나게 유명한 밴드중 하나이다. 이 입술 로고는 세계적으로 의류와 캐릭터 상품으로서 활발하게 소비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의류 로고로 굉장히 유명하기에, 록 음악에 문외한인 사람이라도 단번에 아는 수준이다. 그래서 록 음악의 인지도가 떨어지는 국내에서는 롤링 스톤스를 밴드가 아닌 의류 브랜드로 알고 있는 사람들도 상당히 많으며, 더 나아가 이 입술 로고가 롤링 스톤스라는 밴드의 로고인지도 모르는 사람이 대다수이다.

롤링 스톤스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입술 로고는 영국의 디자이너인 ‘존 파시(John Pasche)’가 디자인했다. 이 로고는 단돈 50파운드에 제작되었는데, Sticky Fingers 발매 시기인 1971년부터 밴드의 로고로 사용되었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이 로고가 믹 재거의 입술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다고 알고 있지만, 사실 인도 신화에 등장하는 신인 칼리에게서 영감을 얻은 로고이다.[8] 인도 신화에서 칼리는 툭 튀어나온 입과 뾰족하고 큰 혀를 갖고 있다고 묘사되는데, 로고에 이러한 점을 담아낸 것. 또한 반권위적이고 반항적인 이미지를 로고에 담아냄으로써 ‘악동’이라는 이미지를 가진 롤링 스톤스의 특징을 잘 담아냈다는 해석 또한 존재하며, 믹 재거는 이 로고에 섹스에 대한 이미지도 담겨 있다고 설명했다.[9]

글자 로고는 상단에 제시된 글자 로고가 대표적이지만, 이 외에도 여러 개의 글자 로고가 존재한다. 사실 그 중 일부는 실제로 밴드에서 썼던 것은 아니었는데, 밴드의 로고가 패션 상품으로 활발하게 소비되면서 여러 디자이너들이 자체적으로 글자 로고를 제작한 것이다.

4. 멤버

롤링 스톤스의 구성 멤버
믹 재거 Mick Jagger
<colbgcolor=#fff><colcolor=#e6001d> 출생 1943년 7월 26일 ~ ([age(1943-07-26)]세)
출신지
[[잉글랜드|]][[틀:국기|]][[틀:국기|]] 켄트 다트퍼드
활동 1962년 - 현재
포지션 리드 보컬, 하모니카, 기타
키스 리처즈 Keith Richards
출생 1943년 12월 18일 ~ ([age(1943-12-18)]세)
출신지
[[잉글랜드|]][[틀:국기|]][[틀:국기|]] 켄트 다트퍼드
활동 1962년 - 현재
포지션 기타
로니 우드 Ronnie Wood
출생 1947년 6월 1일 ~ ([age(1947-06-01)]세)
출신지
[[잉글랜드|]][[틀:국기|]][[틀:국기|]] 미들섹스 힐링던[10]
활동 1975년 - 현재
포지션 기타
찰리 와츠 Charlie Watts
생몰 1941년 6월 2일 - 2021년 8월 24일 (향년 80세)
출신지
[[잉글랜드|]][[틀:국기|]][[틀:국기|]] 런던 홀본 블룸스버리[11]
활동 1963년 - 2021년
포지션 드럼
빌 와이먼 Bill Wyman
출생 1936년 10월 24일 ~ ([age(1936-10-24)]세)
출신지
[[잉글랜드|]][[틀:국기|]][[틀:국기|]] 런던 루이셤
활동 1962년 - 1993년
포지션 베이스 기타
브라이언 존스 Brian Jones
생몰 1942년 2월 28일 - 1969년 7월 3일 ( 향년 27세)
출신지
[[잉글랜드|]][[틀:국기|]][[틀:국기|]] 글로스터셔 첼트넘
활동 1962년 - 1969년
포지션 기타, 하모니카, 시타르
믹 테일러 Mick Taylor
출생 1949년 1월 17일 ~ ([age(1949-01-17)]세)
출신지
[[잉글랜드|]][[틀:국기|]][[틀:국기|]] 웰린가드시티
활동 1969년 - 1974년
포지션 기타
그 외
이언 스튜어트
파일:롤링 스톤스 심볼.svg
비틀즈와 함께 역사상 최고의 록 밴드로 평가받는 밴드답게 멤버들의 역량 또한 훌륭했다. 비록 ‘인간 흉기들의 모임’이라고 평가받는 크림,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 레드 제플린, 더 후 정도까지는 아니었지만[12], 이들을 제외하면 역대 최고라고 불러도 무방할 정도로 멤버들의 역량은 매우 뛰어났으며, 이에 따라 각 멤버들은 후대의 수많은 음악가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물론 위에서 서술한 밴드들은 하드 록 성향이 강한 반면, 롤링 스톤스는 좀 더 직선적인 연주를 지향하고 복잡한 연주를 지양하는 로큰롤 성향이 더 강한 밴드라는 것을 고려하자.[13]

멤버 대부분의 나이가 70세가 넘는다. 데뷔한지 60년이 되는 밴드이다 보니 어찌보면 당연하다. 가장 어린 멤버가 2023년 기준 76세인 로니 우드. 여담으로 밴드의 프론트맨인 믹 재거와 기타리스트 키스 리처즈는 유치원 동문이라고.

전성기 시절에는 리드 기타리스트를 제외한 다른 멤버들은 거의 변하지 않았다. 후두암으로 사망한 찰리 와츠, 고령으로 은퇴한 빌 와이먼을 제외하면 초창기 라인업들이 밴드를 그대로 지키고 있다. 리드 기타리스트는 1960년대 후반까지는 브라이언 존스, 1970년대 중반까지는 믹 테일러, 그리고 현재까지는 로니 우드가 맡고 있다.

4.1. 재거-리처즈

파일:Jagger-Richards Profile.jpg
1970년대의 재거-리처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재거-리처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롤링 스톤스/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롤링 스톤스 1965.jpg
파일:롤링 스톤스 1971.jpg
1965년. 브리티시 인베이전을 시작했을 당시. 1971년. Sticky Fingers 발매 당시로, 음악적 전성기를 맞은 시절이다.
파일:롤링 스톤스 1980.jpg
파일:롤링 스톤스 2021.jpg
1980년. 제2의 전성기를 맞은 시절이다. 2021년의 모습.
1968년 롤링 스톤스 로큰롤 서커스에서의 " Sympathy for the Devil" 연주. 1972년 텍사스에서의 " Brown Sugar" 연주.
1981년 뉴저지에서의 " Tumbling Dice" 연주. 2016년 쿠바 아바나에서의 " Gimme Shelter" 연주.

6. 평가와 영향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롤링 스톤스/평가와 영향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인기

미국 베이비 부머 세대를 상징하는 밴드이기에 베이비 부머 세대들에게 엄청난 사랑을 받고 있다. 또한 전 세대를 아우를 수 있는 하드 록 장르의 시초 중 하나라고 평가받는 동시에 하드 록 외에도 다양한 장르를 시도했기 때문에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가장 인기있는 록 밴드 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다만 젊은 세대는 레드 제플린이나 밴 헤일런같은 밴드들처럼 악기를 통해 롤링 스톤스에 입문한다기 보다는 비틀즈처럼 영향력 때문에 입문하는 경우가 많다.[26]

1960년대에 롤링 스톤스의 인기는 어마어마해, 브리티시 인베이전의 대표 주자를 말할 때 비틀즈 다음으로 바로 언급되는 수준이며 60년대 전체를 씹어먹던 비틀즈의 유일한 대항마였다.[27] 이들이 1965년에 발매한 싱글인 (I Can't Get No) Satisfaction은 미국과 영국 양쪽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으며, 이후 발매된 Aftermath도 북미에서 인기를 끌면서 마찬가지로 1965년에 침공을 시작한 더 후와 함께 브리티시 인베이전을 대표하는 밴드가 되었다.

록 음악의 춘추전국시대라고 불리는 1970년대에도 롤링 스톤스의 인기는 1960년대 못지않게 강했는데 레드 제플린, 핑크 플로이드 등 차트 경쟁력을 가진 후배 밴드들이 속출하는 가운데서도 롤링 스톤스는 1971년에 Sticky Fingers 빌보드 200에서 1위를 기록했으며, 이후 롤링 스톤스의 침체기에 나온 Goats Head Soup, It's Only Rock 'n Roll, Black and Blue 세 앨범도 미국과 영국 양쪽 차트에서 동시에 1위를 기록하는 등의 무시무시한 행보를 보였다.[28] 앨범 이외에도 Brown Sugar, Angie, Miss You라는 서로 다른 스타일의 곡들로 빌보드 핫 100 1위곡을 세곡이나 가지게 되었다. 실제로 펑크 음악과 디스코 음악의 강세로 수많은 록 밴드들이 1980년대까지 인기를 이어가지는 못했지만 롤링 스톤스는 Tattoo You와 Start Me Up이라는 초대형 히트곡으로 인기를 이어갔다.[29] 그리고 1990년대에는 Voodoo Lounge라는 앨범으로 그해 그래미 최우스 록 앨범을 수상하였고 그 인기는 21세기까지 이어진다. 21세기에는 음반 작업을 하기보다는 투어를 더 열심히 하고 있는 중이다. 2021년에는 2위 해리 스타일스를 크게 제치고 투어 수익 1위를 기록하였다. #

다만 롤링 스톤스의 음반 판매량은 약 2억 장으로[30], 약 3억 장 이상을 판매한 레드 제플린이나 약 2억 5천만 장 이상을 판매한 핑크 플로이드에 비해서 음반 판매량이 떨어지는 건 사실이다. 사실 이는 레드 제플린과 핑크 플로이드가 각각 헤비 메탈, 프로그레시브 록의 상징으로 일컬어지는 밴드들인데, 이 두 장르는 팬층이 두터운 록 음악 중에서도 특히나 더 팬층이 두터운 장르들이기 때문이다. 또한 롤링 스톤스는 컨셉 앨범이나 유기성을 중요시한 음반을 거의 발매하지는 않았다.[31] 실제로 Let It Bleed Sticky Fingers 같은 롤링 스톤스의 대표작들은 유기성, 통일성보다는 다양성을 중요시한 앨범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롤링 스톤스는 유럽과 동아시아에서 어마어마한 인기를 끌었던 , 하드 록의 상징인 AC/DC, 미국에서 어마어마한 인기를 끌었던 이글스와 거의 비슷한 음반 판매량을 올렸다.[32] 또한 2019년 빌보드 선정 올타임 앨범 차트에서 비틀즈에 이어 2위를 기록하였다. 그리고 싱글도 많이 발매했던 만큼 판매량은 록 밴드 중에서는 비틀즈 다음으로 높고[33] 빌보드 핫 100 1위를 차지한 곡들도 8개나 있다. 투어 수익은 후배 밴드인 U2 메탈리카를 누르고 1위를 오랫동안 차지하였지만 최근에 U2에게 따라잡혀 2위가 되었다.콩라인?

1960년대에 결성된 밴드라 베이비 부머 세대들에게만 인기가 높을 것 같지만, 위에서 서술하였듯이 하드한 사운드를 선호하는 현 젊은 세대들에게도 높은 인기를 자랑한다. 비틀즈, 레드 제플린, , 핑크 플로이드와 함께 현 세대들에게 인기 있는 록 밴드 top 5 안에는 꼭 들어간다. 미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최고의 록 밴드를 묻는 투표에서 롤링 스톤스는 2등을 차지했다.[34] 그리고 2018년 월스트리트 저널이 음반 판매량, 유튜브 및 음원 조회수, SNS 등을 종합한 통계 산출을 통해 '역사상 가장 인기있는 록 밴드' 순위를 산정했는데, 롤링 스톤스는 여기서 5위를 기록했다.[35] #

서구권 록 밴드 중에서는 드물게 라틴 아메리카에서도 엄청난 사랑을 받고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중에서도 아르헨티나의 롤링 스톤스 사랑이 가장 유명하고 각별하다.[36] 심지어 아르헨티나의 한 지역에는 롤링 스톤스를 숭배하는 ‘롤링가’라는 부족들까지 존재한다고 하며, 아르헨티나인들도 본인들이 롤링 스톤스 공화국으로 유명하다는 사실을 자랑스럽게 여기는지 피켓을 만들어 롤링 스톤스가 투어하는 곳마다 따라다니는 것으로 유명하다. 아르헨티나의 축구 영웅들 또한 대부분 롤링 스톤스의 팬이며, 심지어 아르헨티나 축구 대표팀은 2018 러시아 월드컵 때 롤링 스톤스의 전용기를 타고 러시아로 갔다고 한다. 밴드 멤버들도 이런 아르헨티나의 사랑을 잘 아는지 인스타그램에 아르헨티나에 대한 애정을 담은 게시글을 자주 올리기도 한다.[37] 또한 고향인 영국에서도 인기가 당연히 좋으며, 의외로 중국과 일본 같은 아시아 국가들에게도 엄청난 사랑을 받고 있는 밴드다.

높은 인기와는 별개로 의외로 안티들도 많은 밴드이다. 물론 진지하게 음악적으로 비판을 받는것은 아니지만 이들의 방탕한 사생활, 키스 리처즈의 독설[38] 때문에 반감을 가지는 이들도 존재하는 듯하다. 또한 베이비 부머 세대를 상징하는 밴드가 지금까지도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는 사실에 반감을 가지는 젊은 세대들도 많으며[39], 특히나 최근에는 PC주의자들이나 페미니스트들에게 레드 제플린과 더불어 여성혐오 밴드라고 디스당하기 일쑤이다.[40] 물론 사생활적인 이미지나 독설 같은 부분에서 비판하는 사람들은 있어도, 일반적으로는 나머지 주장들은 헛소리로 치부되는 경우가 많다.[41] 또한 롤링 스톤스는 힙스터들에게 유독 찬밥 신세를 받는 밴드이기도 한데 대표적으로 Rate Your Music 차트를 보면 롤링 스톤스 앨범 중 가장 높은 순위는 Sticky Fingers로 고작 145위이다. 이는 힙스터들이 블루스, 하드 록을 선호하지 않는 취향차이에서 기인한다고 봐야한다. 이와 비슷하게 레드 제플린 또한 유독 RYM에서만 평가가 박하다. 가장 높은 앨범이 Led Zeppelin IV로 43위이지만 다른 앨범들은 롤링 스톤스처럼 100대 후반으로 떨어진다. 다른 예시로 더 후 역시 취급이 좋지 않으며 에어로스미스는 아예 차트에도 없다.[42]

7.1. 한국에서의 인지도

한국이 워낙에 록 불모지이지만, 이것을 감안하더라도 롤링 스톤스처럼 전 세계적인 인지도와 한국에서의 인지도가 심하게 차이나는 밴드 혹은 뮤지션은 없을 것이다. 당장 국내 인지도가 해외에 비해 많이 떨어져 내한 공연조차 한번도 안온 프린스 마돈나만 해도 이들의 이름이나 각종 히트곡들은 국내에 잘 알려져 있지만[43], 롤링 스톤스는 밴드 인지도는 커녕 히트곡 인지도도 거의 제로에 가까우며, 로고만이 잘 알려져 있다. 심지어 로고마저도 음악가의 로고가 아니라 롤링 스톤스라는 패션 브랜드의 로고로 잘못 알려져 있으며(…), 더 심한 경우에는 잡지 롤링 스톤을 롤링 스톤스와 혼동하기도 한다.아니 잡지 롤링 스톤도 알면서 롤링 스톤스를 모른다니[44]

롤링 스톤스 외의 다른 밴드 중에서는 U2 정도가 세계에서의 인지도와 한국에서의 인지도의 괴리감이 롤링 스톤스만큼 심한 편이다. 물론 U2의 히트곡도 기본적으로 널리 알려진 편은 아니지만 보노같은 경우에는 사회 운동으로 잘 알려져 있기도 하고, 무엇보다 U2는 얼마전에 내한 공연을 했다. 그러나 롤링 스톤스는 내한 공연을 한 번도 오지 않은 것은 물론이고, 80을 바라보는 멤버들의 나이를 감안하면 앞으로도 내한 공연을 올 것이라는 보장도 없는 것이 사실이다.[45] 참고로 롤링 스톤스의 내한 공연과 관련된 충격적인 통계가 존재하는데, OECD 38개국 중에서 한번도 공연하지 않은 나라는 코스타리카, 아이슬란드,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대한민국 이렇게 7개국뿐인데, 이중 대한민국을 제외한 나머지 6개국은 인구가 수십만명에서 많아봐야 600만명을 넘지 않는 나라들이다. 한마디로 인구와 경제규모가 어느정도 되는 대국 중 롤링 스톤스의 공연이 열리지 않았던 나라는 한국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이다. 한국이 음반 판매량이 높은 국가는 기본적으로 아니지만 유독 롤링 스톤스의 인지도가 떨어지는 나라라는 점은 이토록 분명하다. 실제로 롤링 스톤스는 동아시아 투어에서는 다른 록 밴드들처럼 일본까지밖에 가지 않았기에 밴드 멤버들도 한국에서는 본인들의 인지도가 제로에 가깝다는 사실을 알고 있을 확률이 높다.[46]

지금 시대보다 록 음악의 인기가 높았던 70, 80년대에 해외 록 음악을 향유하던 사람들에게도 인지도가 높은 편이 아니다. 그나마 Angie As Tears Go By 같은 부드러운 발라드 곡이나, 베트남 전쟁을 다루던 영상 매체에서 단골로 쓰였던 Paint It Black 정도만 유명하다. 그러나 영미권에서는 록 음악을 듣지 않는 세대들까지 다 아는 60년대 최고의 히트곡이었던 Honky Tonk Women이나, 불후의 명곡이며 이들의 삐딱한 태도를 대표하는 (I Can't Get No) Satisfaction[47] 같은 곡들마저도 아무도 모른다. 그렇기에 국내에서는 팬들이나 심지어 평론가들에게도 평가 절하를 당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 문서를 읽어보면 알겠지만 롤링 스톤스는 일반적으로 비틀즈, 밥 딜런과 비슷한 수준의 평가를 받는 것에 비해, 국내에서는 일반적으로 이 음악가들 다음 가는 수준이라고 평가받는 레드 제플린, 데이비드 보위보다도 낮은 평가를 받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배철수의 음악캠프에서는 국내 평론가들을 대상으로 20세기 최고의 뮤지션을 뽑았는데 롤링 스톤스는 여기서 고작 8위를 기록했고, 청취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했을 때는 아예 순위에도 없었다.[48] 그나마 한국의 7080 뮤지션들 중에서는 인지도가 낮진 않았는데, 조용필 Jumpin' Jack Flash를 가장 좋아하는 곡으로 뽑았거나, 봄 여름 가을 겨울 배철수가 이들을 가장 존경하는 밴드로 뽑았던 적이 있다.

그렇지만 이렇게 처참할 정도로 낮은 인지도는 스트리밍이 발달한 현대에 와서도 나아지지 않고 있다. 음악을 향유하는 젊은 세대들 대부분은 RYM 포스트락 갤러리로 새로운 음악과 과거 거장들의 음악을 접하는데, RYM 유저들 자체가 롤링 스톤스의 음악들을 선호하지 않는다. 또한 포스트락 갤러리에서는 허구한 날 틀내난다고 욕먹는다. 요약하면 한국에 로큰롤 붐이나 블루스 붐이 오지않는 이상 롤링 스톤스의 이미지가 반등해 내한 공연까지 진행되는건 영원한 꿈인듯 싶다. 그래도 마룬5 Moves Like Jagger 같은 곡이나 여러 일화들로 믹 재거와 롤링 스톤스의 이름이 조금이나마 알려졌고, 유튜브에 롤링 스톤스의 플레이리스트와 가사 영상들도 올라오는 등 인지도가 조금씩 오르고 있기는 하다.[49] 여담이지만 신해철은 롤링 스톤스의 실황 다큐 샤인 어 라이트 시사회를 진행하면서 "롤링 스톤즈가 거쳐간 나라와 안 거쳐간 나라의 음악 수준이 달라진다. 우리나라는 굿 보이즈 비틀즈까지는 받아들였지만 배드 보이인 롤링 스톤즈를 겪지 못했기 때문에 지금 음악계가 이렇게 후지다”' 라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 #

이렇게 한국에서 롤링 스톤스의 인지도가 유독 떨어지는 가장 큰 이유는 롤링 스톤스의 블루스 음악이 한국 감성과 맞지 않기 때문이다. 정교한 연주와 신비주의적인 이미지가 아닌 그루브한 연주와 가벼운 이미지는 한국인들과 익숙한 느낌은 아니다. 영미권과 라틴 지역은 춤추는 문화가 발달되었고 5,60년대부터 대중음악을 접해 블루스 로큰롤이 익숙하지만, 한국의 5,60년대는 6.25 전쟁으로 모든게 박살난 상태라 잊혀진 기억이기 때문이다. 전쟁으로 나라가 박살난 상태고 정부는 경제만을 살리기 위해 급급한데 이 상태에서 록 음악이 발달하고 로큰롤 음악과 블루스 음악을 즐기는 일은 있을 수가 없었던 것이다. 이렇게 아픈 역사가 아니더라도 블루스 음악의 끈적끈적한 리듬과 쾌락적이고 퇴폐적인 감성이 한국인의 성향과 맞았을지는 의문이다. 물론 난 항상 그대를이나 취중진담, 빗속에서같이 블루스 음악을 한국인의 입맛에 맞추어 대성공한 히트곡들은 몇 개 있긴하지만, 90, 00년대의 주류 음악은 댄스 혹은 록발라드였으며, 현대에도 아이돌 그룹의 댄스 음악이 대세이며 블루스 음악은 극히 생소한 음악이다. 한국이 록 불모지이지만 펑크나 메탈, 얼터너티브같은 록의 세부 장르들의 계보가 끊기지 않고 꾸준히 인기를 유지하고 있는 반면에, 한국에서 블루스 음악은 비주류인 록 음악 중에서도 가장 비주류였기 때문이다.[50][51]

또한 록 팬들은 롤링 스톤스의 방탕한 사생활로 인한 악동 이미지, 그리고 쾌락적인 내용이 많은 가사들이 한국같은 비교적 보수적인 국가들과 안 맞아서라고 생각을 한다. 그러나 롤링 스톤스에 버금가는 막장적인 사생활과 쾌락적인 내용의 가사들로 가득한 레드 제플린은 한국에서 상당히 유명한 편이며, 방탕한 사생활과 수위 높은 가사들로 유명한 각종 흑인 힙합 아티스트들도 국내에서 인기가 많기에 이는 너무 나간 생각인 듯하다.[52] 하지만 북한 측에서 롤링 스톤즈의 북한 공연을 거절한 이유가 그들이 너무 퇴폐적이라는 일화를 생각해보면 보수적인 국가들이 롤링 스톤스를 싫어하는 것은 지나치게 퇴폐적인 이미지도 한 몫 할지도 모른다.[53]

7.2. 유명한 팬들

8. 시도한 음악 장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롤링 스톤스/시도한 음악 장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롤링 스톤스/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밴드 관련 인물

10.1. 세션 멤버

이하의 멤버들은 비록 정규멤버는 아니지만 롤링 스톤스 4대 명반을 비롯하여 전성기 시절에 기여한 공이 워낙 크기 때문에 이들의 팬들이라면 무조건 알고 있는 이름들이다. 특히 바비 키스, 니키 홉킨스, 짐 프라이스 등은 지금까지도 본인들 분야의 원탑 소리를 들을 정도로 뛰어난 실력을 가지고 있어 지금까지도 회자되는 전설의 이름들이다. 가히 롤링 스톤스 음악의 특급 조연이라고 할 수 있다.

10.2. 기타 관련 인물

11. 기타

사실 스코세이지의 롤링 스톤스에 대한 선호도를 넘어, 두 아티스트는 분야는 다르지만 비슷한 점이 많다. 스코세이지의 데뷔가 좀 늦지만 둘다 50년을 넘어 현재까지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다는 점도 그렇고, 둘다 이방인 출신이지만[63] 각각 컨트리와 블루스로 대변되는 미국의 전통적인 록 음악과 미국의 작가주의 뉴욕파 영화를 상징한다는 점도 그렇다. 또한 작품이 다소 마초적인 성향을 띈다는 것도 많이 비슷하다.[64]

11.1. 대중매체 속 롤링 스톤스


11.2. 비틀즈와의 라이벌리

파일:존레논 믹재거.jpg
1968년, 존 레논 믹 재거의 모습.
롤링 스톤스 라이벌을 꼽으라면 팬들이나 평론가들이나 이구동성으로 동시대에 활약했던 비틀즈를 꼽는다. 이러한 라이벌리는 1965년 경부터 시작되었으며, 대중음악 역사상 최초이자 가장 유명한 라이벌리로 뽑힌다.[66] 실제로 롤링 스톤스는 비틀즈가 1960년대 유럽과 북미를 휩쓸고 다닐 때 대중적 인기나 비평적 성과로 대항할 수 있었던 거의 유일한 밴드였다.[67]

이 두 밴드가 라이벌로 꼽혔던 이유는 인기 뿐만 아니라 대조되는 이미지와 특성 탓도 있었다. 먼저 비틀즈가 신사나 모범생의 이미지로 유명했다면 롤링 스톤스는 악동이라는 대조되는 이미지로 유명했다.[68] 그리고 비틀즈가 다소 팝적인 음악을 발매하거나 스튜디오에서의 실험에 집중한 반면, 롤링 스톤스는 블루스와 로큰롤에 기반한 정통 하드 록 블루스 록적인 음악을 발매하거나 라이브 투어를 중시했다.[69]

이렇게 라이벌리가 유명하지만 밴드 멤버들끼리는 서로 음악적인 영향도 자주 주고받고 서로 교류도 자주하는 친한 사이이다.[70] 하지만 라이벌답게 서로 은근히 디스를 주고받은 적도 많은데, 몇 가지 사례로 존 레논 믹 재거의 춤이 Faggot스럽다고(…) 디스를 한 적도 있고, 키스 리처즈 페퍼 상사가 똥같다고 디스를 한 적이 있다. 그리고 비교적 최근인 2020년에도 폴 매카트니가 롤링 스톤스는 블루스 커버 밴드라는 묘한 말을 남겼고, 이에 대응해 믹 재거는 비틀즈는 매디슨 스퀘어 가든같은 큰 규모의 공연장에서 공연한 적이 없고 투어 비즈니스가 자리를 잡기 전에 해체를 했기 때문에 롤링 스톤스와 비교대상이 될 수 없다라는 묘한 말을 남겼다.[71]

팬들끼리의 관계는 두 밴드의 음악을 같이 향유하는 팬들이 가장 많지만, 가끔 나이가 지긋이 든 팬들끼리는 서로 싸우기도 한다.[72]

이렇듯 이들의 라이벌리가 너무 유명하다보니까 현재에도 라이벌을 표현할때 비틀즈와 롤링 스톤스 같다고 표현하기도 한다.[73]

11.3. 관련 도서

11.4. 팬 커뮤니티

12. 롤링 스톤스에 대한 언사

롤링 스톤스는 최후에는 진정 가장 위대한 로큰롤 밴드로 영원히 남을 것이다. 메탈, , 펑크, 뉴 웨이브, 팝 록, 어떤 것이든 당신은 모두 롤링 스톤스의 영향력을 찾을 수 있다. 그들이 처음이자 마지막이며 아무도 그들을 뛰어넘을 수 없을 것이다.
밥 딜런 #
나는 롤링 스톤스에게 어떠한 경쟁 심리도 느끼지 않는다. 롤링 스톤스는 언제나 최고의 자리에 있었으며, 의 가사는 그냥 놀라움 그 자체이다.
지미 페이지
롤링 스톤스는 영국 음악계에서 10대 초중반의 아이들에게 여러 음악을 선사해 준 주된 선구자이자 공급자이다.
로버트 플랜트[76]
롤링 스톤스가 다녀온 나라들은 롤링 스톤스가 공연을 한 이전과 이후의 음악 수준이 확연히 바뀔 정도인데, 한국이 굿 보이 비틀즈는 받아 들였지만 배드보이 롤링 스톤스는 못 받아들였기 때문에 한국 음악이 후진 것이다.[77]
신해철
롤링 스톤스는 나의 밴드에 대한 기준을 만든 밴드이다. 하지만 난 그들처럼 투어하는 것은 상상할 수 없다. 왜냐하면 내 무릎이 버틸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존 본 조비
롤링 스톤스는 우리가 한 번도 같이 연주를 하지 않은 밴드지만 항상 같이 연주를 하고 싶었던 밴드이다.
라스 울리히
많은 뮤지션들은 본인들이 롤링 스톤스라도 된것처럼 착각하기 시작하면서 망가지기 시작한다.
조니 마
적어도 펑크가 도래할 때까지 아무도 그들처럼 몰아(沒我)의 에너지로 철저히 록을 한 사람들은 없었다.
로버트 크리스트가우
만약 당신이 미국에서 자랐다면 당신은 레드 제플린. 블랙 사바스, 그리고 롤링 스톤스의 영향을 받았을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왜냐면 그들의 음악이 항상 라디오에서 흘러나왔기 때문이다.
크리스 코넬
롤링 스톤스의 일부 노래들은 기절초풍(Stunner) 그 자체이다 .
존 라이든[78]
비틀즈, 필 스펙터, 그리고 롤링 스톤스 이들이 저의 우상입니다.
브라이언 윌슨
어린 시절 나의 우상들인 비틀즈, 핑크 플로이드, 롤링 스톤스의 음악을 들으면서 자랐다.
로버트 스미스[79]

13. 디스코그래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롤링 스톤스/음반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1. 싱글

13.1.1. 빌보드 Hot 100

롤링 스톤스의 Billboard HOT 100 차트인 목록
년도 곡명 최고 순위 수록앨범
<colbgcolor=#fff> 1964년 Not Fade Away 48위 England's Newest Hit Makers
Tell Me (You're Coming Back) 24위
It's All Over Now 26위 12 X 5
Time Is On My Side 6위
1965년 Heart Of Stone 19위 The Rolling Stones, Now!
The Last Time 9위 Out of Our Heads
Play With Fire 96위
(I Can't Get No) Satisfaction 4주연속 1위
Get Off of My Cloud 2주연속 1위 December's Children (And Everybody's)
1966년 As Tears Go By 6위
19th Nervous Breakdown 2위
Paint It, Black 2주연속 1위 Aftermath
Mother's Little Helper 8위
Lady Jane 24위
Have You Seen Your Mother, Baby, Standing In The Shadow? 9위
1967년 Ruby Tuesday 1주 1위 Between the Buttons
Let's Spend the Night Together 55위
We Love You 50위
Dandelion 14위
1968년 She's a Rainbow 25위 Their Satanic Majesties Request
Jumpin' Jack Flash 3위
Street Fighting Man 48위 Beggars Banquet
1969년 Honky Tonk Women 4주연속 1위
1971년 Brown Sugar 2주연속 1위 Sticky Fingers
Wild Horses 28위
1972년 Tumbling Dice 7위 Exile on Main St.
Happy 22위
1973년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 42위 Let It Bleed
Angie 1주 1위 Goats Head Soup
1974년 Doo Doo Doo Doo Doo (heartbreaker) 15위
It's Only Rock 'N Roll (But I Like It) 16위
Ain't Too Proud To Beg 17위
1975년 I Don't Know Why 42위
Out Of Time 81위 Aftermath
1976년 Fool To Cry 10위 Black and Blue
Hot Stuff/fool To Cry 49위
1978년 Miss You 1주 1위 Some Girls
Beast of Burden 8위
1979년 Shattered 31위
1980년 Emotional Rescue 3위 Emotional Rescue
She's So Cold 26위
1981년 Start Me Up 2위 Tattoo You
1982년 Waiting On A Friend 13위
Hang Fire 20위
Going To A Go-Go 25위
1983년 Undercover Of The Night 9위 Undercover
1984년 She Was Hot 44위
1986년 Harlem Shuffle 5위 Dirty Work
One Hit (To The Body) 28위
1989년 Mixed Emotions 5위 Steel Wheels
Rock And A Hard Place 23위
1990년 Almost Hear You Sigh 50위
1991년 Highwire 57위 Flashpoint
1994년 Love Is Strong 91위 Voodoo Lounge
Out Of Tears 60위
1998년 Saint Of Me 94위 Bridges to Babylon
2003년 Sympathy for the Devil (Remixes) 97위

13.1.2. 그 밖의 싱글

13.1.3. 대표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롤링 스톤스/대표곡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사용 악기가 많기 때문에 특정하기 어렵다. [2] 자체 설립. [3] 현재는 1960년대 후반 음악들은 이쪽으로 저작권을 통일시켰는지 2018년부터 이쪽 계정으로 롤링 스톤스의 영상들이 올라오고 있다. 롤링 스톤스 공식 유튜브 계정보다도 영상에 더 자주 올라오는 수준. [4] 롤링 스톤스의 코파카바나 해변 공연은 추정치 150만이며 최소 120만의 인원이 운집된 것으로 추산된다. [5] 참고로 4위인 , 5위인 AC/DC, 7위인 이글스의 음반 판매량 또한 2억 장 이상인데, 이 때문에 통계에 따라 네 밴드의 판매량 순위가 서로 변동되기도 한다. [6] 활동 기간이 롤링 스톤스만큼 길다는 더 후 키스 문의 죽음 이후에 잠깐 해체했던 적이 있었다. [7] 한국이 이 분야에서 갈라파고스화가 심한 국가다. [8] 물론 믹 재거에게서도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9] 혀를 통해 애무하는 이미지를 담아냈다고 설명하는 것이다. 즉 이것도 롤링 스톤스가 가진 악동이라는 이미지를 담아낸 것. [10] 그레이터 런던 힐링던 [11] 캠던 블룸스버리 [12] 애초에 이 밴드들은 더 후, 레드 제플린을 제외하면 전부 슈퍼밴드이다. 레드 제플린 또한 슈퍼밴드로 분류되는 경우가 드물 뿐이지 슈퍼밴드의 개념에 부합하는 밴드이다. 슈퍼밴드가 아닌데도 역량이 어마어마한 더 후 [13] 애초에 솔로 플레잉을 즐겨하는 멤버가 믹 테일러에 국한될 정도로 롤링 스톤스의 멤버들은 솔로 플레잉보다는 리듬감 있는 연주를 더 선호하였다. [14] 당장 또다른 록 역사상 위대한 프론트맨중 하나로 뽑히는 짐 모리슨. 로버트 플랜트, 로저 달트리, 프레디 머큐리보다 시기상 앞선다. [15] 다만 항상 막 불렀던 건 아니고, No Expectations같은 어쿠스틱 넘버에서는 미성을 보여주기도 했다. 또한 Some Girls 이후부터는 팔세토까지 마스터했다. [16] 또 다른 최고의 리릭시스트로 뽑히는 밥 딜런 짐 모리슨이 시적인 작사에 능하다면 믹 재거 모리세이 같은 재치있는 표현과 비유에 능한 리릭시스트라고 할 수 있다. [17] 60년대까지는 깁슨 레스폴을 애용했다. 레스폴을 사용한 유명한 라이브로는 롤링 스톤스 로큰롤 서커스 등이 있다. [18] 이 때문에 커버하기가 상당히 힘들다. 또한 튜닝을 자주 바꾸면 번거롭기도 하고 기타줄이 잘 망가지기 때문에 오히려 비효율적이다. 혹시라도 키스 리처즈의 곡들을 커버해보고 싶다면 아예 오픈 g튜닝용 기타를 새로 장만하는 것을 추천한다. [19] 존 본햄과 키스 문은 찰리 와츠와 다른 스타일의 드러머이긴 하다. 존 본햄과 키스 문이 화려한 필인과 엄청난 속도의 속주를 지향한다면 찰리 와츠는 최대한 필인을 자제하고 대신에 정확한 리듬이나 그루비한 리듬을 지향하는 편이다. 사실 이러한 탑 클래스 드러머들 사이에서는 실력 비교가 무의미하긴 하나, 존 본햄과 키스 문이 역사상 가장 위대한 드러머라고 평가받는 것은 이들의 막대한 영향력에 있다. [20] 1936년생으로, 다른 멤버들보다 최소 몇 살은 더 많다. 그래도 외모만 보자면 엄청난 동안이라 전혀 위화감은 없었지만... [21] 하지만, 그가 밴드를 탈퇴했던 당시 그의 나이는 50대 후반이었는데, 롤링 스톤스가 다른 멤버들이 팔순이 넘은 현재에도 큰 무리 없이 활동하는 것을 보면... [22] 애초에 활동 시작 시기가 앞서 언급했던 인물들 중에서 폴 매카트니와 비슷하다. [23] 물론 이러한 전성기를 이끌었던 주요 덕택은 재거-리처즈의 역할이 제일 크긴 했다. [24] 지미 헨드릭스는 믹 테일러가 한창 활동하던 1970년에 요절하였고, 에릭 클랩튼은 한창 마약 패티 보이드 때문에 고생하던 시절이다. 또한 동시대에 있던 키스 리처즈, 피트 타운젠드는 이들처럼 리드 기타리스트가 아닌 리듬 기타리스트였다. [25] 당장 ‘롤링 스톤스 4대 명반’으로 불리는 앨범 중에서 Beggars Banquet을 제외한 나머지 3개의 앨범 작업에 믹 테일러가 참여했다. [26] 이는 롤링 스톤스의 음악이 스킬보다는 그루브함이 강조되고, 키스 리처즈의 기타같은 경우는 일반 튜닝이 아닌 오픈 G 튜닝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유들로 인해 객관적인 세션 난이도 자체는 어렵지 않은 편이지만 연주하기가 상당히 까다로우며, 롤링 스톤스 특유의 그루브함까지 살려서 연주하기에는 매우 쉽지 않은 편이다. [27] 물론 1964년에 각각 You Really Got Me, The House of the Rising Sun으로 먼저 침공했던 킹크스 애니멀스가 있긴 했지만, 비틀즈 다음으로 가장 큰 인기를 얻고 이 인기를 오랫동안 유지했던 밴드는 롤링 스톤스이다. [28] 물론 여기서 침체기라는 단어는 디스코그래피가 어마어마한 롤링 스톤스의 커리어 내에서라는 것이다. 실제로는 이 앨범들도 명반까진 아니어도 수작 취급을 받는다. [29] 하지만 이런 롤링 스톤스에게도 1980년대는 가장 힘든 시기였으며, 재거-리처즈의 불화로 해체설까지 돌았던 유일한 시기였다. 그리고 이들의 최악 앨범인 Dirty Work가 탄생한 시기도 1980년대다. [30] 물론 이것도 역대 아티스트 순위 20위 권에 들만큼 엄청난 양이지만, 빌보드 올타임 차트에 2위를 차지한 롤링 스톤스의 위상을 생각해본다면 의외로 많은 편은 아니다. [31] 물론 사이키델릭 시절 앨범이나 Exile on Main St. 같은 앨범들은 컨셉 앨범이다. 정말 컨셉 앨범 혹은 유기성을 중시하는 앨범을 단 하나도 발매하지 않았지만 스톤스보다 음반 판매량이 많은 밴드는 이 밴드 뿐이다. [32] 세 밴드 모두 음반 판매량은 약 2억 장으로, 롤링 스톤스와 거의 비슷한 양이다. [33] 상기한 밴드 중 레드 제플린은 싱글 발매를 꺼려 싱글은 거의 발매하지 않거나 제한적으로 발매했으며, 핑크 플로이드의 빌보드 핫 100 성적은 롤링 스톤스보다 더 뒤쳐진다. [34] 1등은 당연히 비틀즈. [35] 1위는 비틀즈, 2위는 레드 제플린, 3위는 , 4위는 핑크 플로이드. [36] 비유하자면 일본의 사랑이나 대한민국의 오아시스 사랑과 비슷하다. [37] 실제로 밴드 공식 인스타그램 혹은 멤버들의 인스타그램을 들어가보면 매우 높은 확률로 아르헨티나인 댓글을 확인할 수 있다. [38] 특히 키스 리처즈가 메탈 밴드들, 힙합 음악, 레드 제플린, 비틀즈 등 거대한 팬덤들을 가진 아티스트들을 항상 공격해왔기 때문에 저 팬들 중에서 롤링 스톤스를 싫어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그러나 키스 리처즈 문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롤링 스톤스는 비틀즈, 레드 제플린과 실제로는 친한 사이이기에 독설가로서의 이미지를 위해 한 말일 가능성도 있으며, 이 밴드들의 팬덤에서 진지하게 롤링 스톤스를 싫어하는 사람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또한 이 사람은 록부심 때문에 힙합을 까는 것도 아닐 뿐더러, 일단 자기네 보컬도 디스하는 양반이라(…) 이러한 사실을 안다면 웬만큼 힙부심을 가진 사람들이 아니면 딱히 안티가 되는 경우는 없다. [39] 미국도 한국 못지 않게, 혹은 한국 이상으로 세대 갈등이 심한 나라이다. [40] 이러한 것 때문에 PC를 대거 받아들인 롤링 스톤지에서의 평가가 매우 낮아졌다. 이는 레드 제플린도 마찬가지. 물론 음악 팬들은 롤링 스톤의 이런 행위를 매우 부정적으로 본다. [41] 대표적으로 개정판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에서 롤링 스톤스와 레드 제플린은 엄청난 순위 후려치기를 당했는데, 이러한 몇몇 이유 때문에 현재 서구권에서 롤링 스톤의 이미지는 국내의 한경오와 같은 입진보 신문의 이미지가 되어 버렸다.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 [42] 물론 차트마다 찬밥 신세를 받는 아티스트는 다르긴 하다. 이를테면 롤링 스톤에서는 킹 크림슨 더 스미스가 찬밥 신세를 받는다. [43] 프린스와 마돈나가 워낙에 80년대를 씹어먹던 스타들이라 그시절 우리나라에도 많이 알려진 이름들이었다. [44] 2022년 초까지는 나무위키에서도 본 문서에 서술되어 있는 정보가 극히 적었다. [45] 심지어 롤링 스톤스는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서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러시아 같은 전 세계의 오지들은 전부 가봤지만, 한국은 안 가봤다는 농담도 존재한다. [46] 다만 이건 일본에서 록 음악의 인기가 매우 높다는 것을 감안해야한다. 일본은 미국과 영국다음으로 전 세계에서 록음악 시장의 규모가 큰 나라며 잉베이 말름스틴이나 레인보우 같은, 인기가 예전같지는 않은 하드 록, 헤비 메탈 밴드들이 아직까지 엄청난 인기를 누리는 국가다. 심지어 블랙모어스 나이트 결성 이후 리치 블랙모어가 하드 록을 버리고 독일 중세풍의 르네상스 음악으로 방향을 선회했을때도 독일과 더불어 유이하게 리치 블랙모어에게 마음을 열어준 국가가 일본이었다. 이 때문에 록 음악가들이 일본에 대해 가지는 감정은 무척 호의적인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레드 제플린은 서구권 록 밴드 중 최초로 일본 전국 투어를 개최했으며, 미스터 빅은 밴드의 앨범에 일본 음악 리메이크 버전을 수록하기도 하고, 은 앨범에 일본어로 된 곡을 수록하기도 했다. 밴 헤일런의 보컬로 유명한 데이비드 리 로스와, 메가데스 소속의 기타리스트 마티 프리드먼은 아예 일본에 건너가서 살고있다. 게다가 일본은 서구권의 록뿐만 아니라 자국의 록 아티스트들도 현재까지 큰 인기를 얻고 있는 국가이다. 대표적으로 ONE OK ROCK. 그리고 이 시기의 한국은 유신 정권이었기에 내한하기 힘들었던 것도 있었다. [47] 그나마도 이 곡은 원곡보다도 배철수의 음악캠프에서 나오는 버전이 더 유명하다. [48] 심지어 이 설문조사는 2001년에 진행된 것으로, X세대 386세대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구세대에서 진행된 설문조사임에도 불구하고 롤링 스톤스에 대해 잘 모르는 것. 보통 국내의 신세대인 Z세대는 올드 팝을 듣는 부모님을 따라 고전 록 음악에 입문하는 경우가 많은데, Z세대의 부모님 세대도 잘 모르는 아티스트가 바로 롤링 스톤스이니 국내 인지도는 현재에도 처참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49] 물론 다른 밴드에 비하면 여전히 처참할정도로 적다.눙물 [50] 물론 신촌 블루스같이 뛰어난 블루스 아티스트들도 한국에선 많았지만 대중적인 인기는 록의 모든 세부장르 중에서도 가장 낮다고 볼 수 있다. [51] 롤링 스톤스처럼 전세계적인 인지도에 비해 한국에서의 인지도가 낮은 레드 제플린도 블루스 성향이 강한 밴드이다. 당장 블루스 록의 대표 아티스트 중 하나로 꼽히며 그들의 명곡들도 Black Dog Since I've Been Loving You처럼 블루스적인 요소를 사용한 곡들이다. 그러나 레드 제플린은 롤링 스톤스에 비해 좀 더 하드한 헤비 메탈 넘버들과 비교적 잔잔한 포크 록 넘버들이 많기에 국내에서 그나마 인지도가 있고 인기도 있는 것이다. [52] 물론 해외에서의 인기에 비해 국내에서의 인기가 매우 적은 편이긴 하다. 또한 국내에서 레드 제플린의 명곡들은 그나마 내용이 건전한(?) Stairway to Heaven, Immigrant Song, Rock and Roll 등의 노래들만 알려져 있다. 사실 또다른 유명한 곡인 Black Dog이나 Whole Lotta Love도 건전하진 않다 [53] 사실 대부분의 록 밴드들이 퇴폐적인 이미지는 공유하지만 롤링 스톤스는 반문화적, 저항적 이미지가 강하기 때문에 북한 측에서 거절한듯하다. 물론 북한측이 거절하지 않았더라도 권위주의를 혐오하는 스톤스가 지상 최악의 독재자 중 한명이 통치하는 국가에서 공연했을지는 의문이다. [54] 특히 보컬인 스티븐 타일러가 외모와 창법이 믹 재거와 비슷했던 지라.. [55] 그의 외모가 맘에 안들었는지 앤드류 올드햄이 탈퇴시켰다고 한다. [56] 그 당시 영국은 재즈 클럽이 더 많았다고 한다. [57] 수익에 대한 권리가 아니라 배급에 대한 권리이다. 즉 롤링 스톤스가 돈을 아예 못 받는거는 아니지만, Let It Bleed이전에 만든 곡들에 대한 배급권리가 이 회사에 있다. 이게 팬들이 불만을 가지는 요소인데 대표적으로 Let It Bleed의 50주년 앨범에 B사이드 트랙이 하나도 발매가 안 되어서 팬들이 충격을 받은 적이 있다. 롤링 스톤스가 묵혀왔던 곡을 발표하고 싶어도 못 하고 이 회사가 발표를 해야하는데, 한 곡도 발표를 하지 않은 것이다. [58] 근데 자막 업로드 영상이 은근 롤링 스톤스 스타일과 어울려서 일반 음악 팬들에게는 고평가받는다. [59] 그리고 현재까지 앙금이 안 풀린듯 하다. [60] 이때 당시 지미 페이지, 제프 벡, 찰리 와츠, 빌 와이먼과 부르던 노래가 Stairway to Heaven, Layla였는데, 이에 대해 ‘최고의 기타리스트들과 스톤스 멤버들이 조지 해리슨의 와이프에게 구애한다’라는 드립이 있었다(…). [61] 그리고 그녀가 자서전이나 인터뷰에 스톤즈 썰을 너무 자세하게 풀어줘서 팬들이 감사하게 여기고 있다.. [62] 믹 재거와 키스 리처즈가 자기들의 다큐를 감독할 사람으로 스코세이지를 뽑았다고 한다. [63] 롤링 스톤스는 영국, 스코세이지는 이탈리아계이다. [64] 비단 갱스터 영화뿐만 아니라 스코세이지의 영화에선 욕이나 마초적인 캐릭터가 많이 나온다. [65] 다만 밴드 최연장자인 빌 와이먼은 무려 1936년 생으로, 엘비스 프레슬리보다 고작 한 살 어리다. [66] 보통 1970년대의 레드 제플린 VS 핑크 플로이드, 1980년대의 마이클 잭슨 VS 프린스, 1990년대의 투팍 VS 비기와 함께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라이벌리로 꼽힌다. [67] 당시 브리티시 인베이전을 이끌었던 밴드 중 비틀즈만큼 빌보드와 UK 차트 1위를 밥 먹듯이 차지했던 밴드는 롤링 스톤스밖에 없었다. [68] 아이러니하게도 비틀즈는 노동 계급 출신이지만 롤링 스톤스는 유복한 중산층 출신이다. 특히 스톤스의 보컬인 믹 재거는 그 유명한 런던 정치경제대학교의 경영대학 출신으로, 브라이언 메이, 존 디콘, 로저 테일러와 더불어 록 아티스트 중에서 학력이 가장 높은 사람이다. 어째 이 세 명이 같은 밴드 소속인 것 같지만 넘어가자 그렇기에 실제로 당시 비틀즈는 ‘모범생인 척하는 악동들’로, 스톤스는 ‘악동인 척하는 모범생들’로 불렸었다. [69] 여기서 의미하는 것은 ‘주로 추구했던 장르’를 말하는 것으로, 사실 비틀즈도 정통 하드 록, 블루스 록 넘버들을 많이 발매하였고, 롤링 스톤스도 다소 팝적인 음악들을 많이 발매하였다. [70] 사실 60~70년대 영국 음악계는 매우 좁아서 웬만한 뮤지션들은 서로 다 안면이 있거나 친한 사이였다. [71] 이에 대해 양쪽 모두와 친한 지미 페이지는 “쟤넨 60년대부터 저랬다”며(…) 크게 의미를 둘 필요는 없다고 했다. [72] 국내 록 커뮤니티에서 나이가 지긋이 든 레드 제플린 팬과 딥 퍼플 팬의 키배를 생각하면 쉽게 이해된다. [73] 1960년대 미국에서 잠깐 지냈던 한대수가 롤링 스톤스는 껄렁한(...) 아이들이 좋아했다고 한다. [74] 빌 재노비츠라는 미국의 가수이자 저널리스트가 롤링 스톤스의 Exile on Main St.시절을 연구한 책이다. 아마존에서도 스톤즈 관련 도서 중 압도적으로 평가가 좋으며 만약에 롤링스톤즈에 관한 학위가 있다면 저자는 박사 학위를 바로 받았을 것이라는 극찬을 받았다. [75] 책도 짧고 위키에서 얻을 수 없는 정보도 많기 때문에 롤링 스톤스의 팬이나 그들의 음악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한번쯤 읽어보는 것을 추천한다. [76] 로버트 플랜트가 빨리 데뷔해서 대다수가 잘 모르는 사실이지만, 롤링 스톤스가 전성기를 맞았을 당시 로버트 플랜트는 10대 청소년이었다. 즉 레드 제플린 데뷔 당시에도 10대였다는 말. [77] 실제로 아르헨티나 같은 나라들은 롤링 스톤스가 처음 아르헨티나 공연을 시작한 이래로 그들과 비슷한 음악을 하는 많은 록 밴드들이 나오기 시작하면서 아르헨티나 록음악이 발전했다고 한다. [78] 여담이지만 존 라이든은 1970년대에 믹 재거와 지미 새빌을 죽이고 싶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러나 현재엔 자신이 현역에 깠던 레드 제플린, 핑크 플로이드를 사실은 좋아한다고 밝히기도 해서(…). [79] 링크가 1700년대 미국에서 태어난 국무장관으로 연결돼 있지만 더 큐어의 보컬 로버트 스미스를 이야기 하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