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4 16:17:04

대전광역시

대전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대전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대전(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특별시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
광역시
파일:부산광역시 휘장.svg
부산광역시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광역시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
파일:광주광역시 휘장.svg
광주광역시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대전광역시
파일:울산광역시 휘장.svg
울산광역시
특별자치시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svg
세종특별자치시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파일:경기도 휘장.svg
경기도
파일:충청북도 휘장.svg
충청북도
파일:충청남도 휘장.svg
충청남도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전라남도
파일:경상북도 휘장.svg
경상북도
파일:경상남도 휘장.svg
경상남도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특별자치도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svg
강원특별자치도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svg
전북특별자치도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
제주특별자치도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미수복지역
파일:황해도 휘장(이북5도위원회).svg
황해도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미수복지역은 자치 기능이 없는 명목상 행정구역이므로 실질적인 광역자치단체가 아니다.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00ae4d>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구
파일:동구(대전광역시) CI.svg
동구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중구
파일:서구(대전광역시) CI.svg
[[대전광역시청|
시청
]] 서구
파일:유성구 CI.svg
유성구
파일:대덕구 CI.svg
대덕구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대한민국 광역시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대전광역시
大田廣域市
Daejeon Metropolitan City
}}}
<colbgcolor=#00ae4d><colcolor=#fff> 시청 소재지 서구 둔산로 100 (둔산동)
하위 행정구역 5
면적 539.8㎢[1][2]
인구 1,441,689명[3]
인구 밀도 2,670.50명/㎢[4]
GDP $390억(2021)[5]
1인당 GDP $26,387(2021)[6]
시장
이장우 (초선)
부시장 <colbgcolor=#00ae4d><colcolor=#fff> 행정
유득원 (15대)
경제 과학
장호종 (2대)
시의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20석[7]

2석[8] }}}}}}}}}
교육감 [[보수주의|
보수
]]
설동호 (3선)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7석[9] }}}}}}}}}
구청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3석[10]

2석[11] }}}}}}}}}
상징 시화 백목련
시목 소나무
시조 까치
지역번호 042[12]
ISO 3166-2 KR-30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역사4. 지리
4.1. 인구
5. 교통
5.1. 도시철도 건설 문제
6. 경제
6.1. 산업6.2. 과학·연구6.3. 상권6.4. 대전의 통계
7. 관광8. 교육9. 생활문화10. 치안11. 행정12. 정치13. 군사14. 하위 행정구역
14.1. 전체 행정구역 변천사
14.1.1. 충청남도 대전시 시기14.1.2. 대전직할시 시기14.1.3. 대전광역시 시기
15. 폐지된 행정구역(행정동 기준)16. 대중문화 속의 대전
16.1. 대전광역시를 배경으로 하거나 촬영된 영화, 드라마16.2. 대전광역시를 배경으로 하거나 관련된 웹툰16.3. 대전광역시를 배경으로 하거나 관련된 소설
17. 자매결연 지역18. 대전 출신 인물19. 둘러보기20.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개척자들의 도시, 대전'
Daejeon is U
대전이쥬
일류 경제도시 대전
대한민국 광역시다. 남한의 중앙에 위치해 있다. 조선시대에는 회덕현, 진잠현의 두 소읍과 공주목의 일부로 구성된 지역이었으며, 1914년에 회덕군과 진잠군을 통합하고 공주군에서 일부 지역을 편입하여 현 대전광역시의 전신인 대전군이 지금과 같은 구획으로 신설되었다. 순우리말 이름은 비수리(계족산만 해당), 한밭, 큰밭이고 한밭이 대전과 같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순우리말/지명 문서 참조.

충청도 제1의 도시로 중부지방과 남부지방을 잇는 교통의 요지이자 대덕연구개발특구(대덕연구단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가 조성된 한국 최대이자 전 세계에서도 손꼽히는 과학·연구도시다.[13] 또한 4년제 대학만 13곳이 소재한 교육도시다.[14][15]

그와 동시에 정부대전청사[16]와 다수의 국가기관 본사가 자리한 행정도시이며 3군 본부와 인접해 있고, 국군의 군사 교육 및 훈련 시설이 밀집한 자운대 육군군수사령부, 국방과학연구소 등이 자리해 군사도시의 기능도 수행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 철도로 가장 수혜를 많이 본 도시다. 철도 하나 덕분에 시골 깡촌에서 한국 6대 광역시 중 한 곳까지 발전한 도시다. 대전조차장역 경부선 호남선 철도 분기는 훗날 경제발전기에 경부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의 분기로 이어졌고 남한의 중앙에 있는 교통의 요지로 각종 국가적 시혜[17]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대전의 유명 관광 명소인 성심당 대전역이 없었으면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18] 비록 고속철도 분기는 오송이 가져갔지만 아직도 서대전역 경유 호남선 KTX가 상당수 운영하고 있어 철도의 분기점이라는 위상은 여전히 남아있다. 또한, 한국철도공사 국가철도공단과 그 외 자회사들의 본사가 대전에 있어서 관련 사진에 철도기관 공동사옥, KTX가 꼭 들어간다.

대전권 충청도의 중추도시다.[19] 대전권은 한국 도시권 중 권역 내 교류가 제일 활발한 편인데 한 달에 한 번 대전광역시장, 세종특별자치시장, 충청북도지사, 충청남도지사들이 모여 간담회를 진행할 정도고, 네 자치단체끼리 서로 엄청나게 밀어주고 끌어주고 있다. 특히 세종과의 관계가 밀접한 편으로 세종시 출범 이후 대전세종연구원을 설립하고 대전과 세종 협력 시범사업까지 자주 이뤄지고 있다. 대전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 중이지만 유출된 인구의 상당수는 세종이 흡수했기 때문에 대전권의 인구는 증가 추세에 있다.

2019년 대한민국에서 살고 싶은 도시로 서울, 부산, 제주에 이어 4위를 차지하고 # 2021년 전국 지방자치단체 평가에서 삶의 질, 보건, 환경, 교통, 행정역량지수에서 1등, 재정과 행정이 포함된 종합부문에선 서울에 이어 2등이라는 쾌거를 달성할 정도로 지역 이미지는 대체로 좋은 편이다. 다만 살기에는 좋아도 이렇다 할 지역 특색이 적은 탓에[20] 대표적인 '노잼도시'로 손꼽힌다는 게 아쉬운 점이다.

지방자치 제도가 굉장히 잘 잡힌 도시기도 하다. 이를 계기로 2022년 10월 세계지방정부연합총회를 개최했다. 140개국, 1,000여개 지방정부와 지방정부 협의체들이 회원으로 참여했다.

2026년, 한국 대전광역시에서 세계태양광총회 개최가 확정되었다. 전세계 환경 재생에너지 관련 최대 행사로, 대전광역시에서 최초 세계태양광총회를 유치하게 되었다.

20대 거주 비율이 매우 높은 지역이고 인구가 감소세지만 대부분이 인접한 세종과 충청으로의 전출이라 지방 광역시 중 가장 미래가 밝다.

2. 상징

대전광역시의 휘장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대전광역시의 휘장. 대전의 '大'와 전국 각지로 뻗어나가는 국토의 중심, 교통의 요충지임을 이미지화했다.
대전광역시의 시기
파일:대전광역시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역대 시기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colbgcolor=#ffffff,#191919> 파일:대전직할시 시기 (1972-1995).svg
1946년~1996년
1946년부터 1996년까지 쓰인 대전시의 시기이다. }}}}}}}}}}}}}}}
대전광역시의 시정 슬로건
파일:대전광역시 민선 8기 시정 슬로건_이장우.jpg
2022년부터 사용 중인 민선 8기 이장우 시정의 슬로건이다.
대전광역시의 브랜드 슬로건
파일:대전광역시 브랜드 슬로건.svg
2020년 9월 24일부터 사용된 슬로건. ‘대전이 바로 당신입니다’ 라는 의미로, 대전시의 핵심가치가 시민임을 상징한다. 또, 이 문장을 발음하면 대전이쥬가 되는데, 이는 충청 방언 높임체해유체를 이용한 언어유희이다.[2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역대 브랜드 슬로건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fff
파일:external/sstatic.naver.com/37292.gif 2004년 7월 9일부터 2020년 9월 23일까지 쓰였던 구 슬로건. 대부분의 슬로건은 위의 것으로 교체되었으나 대전 곳곳을 돌아다니다 보면 간혹가다 구 슬로건이 보이며 대전지하철 열차에도 이게 쓰여져 있다. }}}}}}}}}}}}}}}
대전광역시의 마스코트
파일:대전광역시 마스코트 한꿈이와 꿈돌이.svg 파일:대전광역시 마스코트 소망이.svg
대전광역시의 마스코트인 한꿈이와 꿈돌이. 한꿈이 마스코트는 2000년에 런칭되었다. 다만, 인지도는 꿈돌이가 더 높은데, 카카오톡을 통해 출시된 이모티콘도 꿈돌이로만 구성되어 있다.
한꿈이의 여성형 마스코트인 소망이도 있다. 사람들은 꿈순이라고 부르고 있지만 공식적인 이름은 소망이다. 꿈순이는 꿈돌이의 여자 짝꿍이다.

3.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전광역시/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대전광역시의 행정구역 변천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상고
<colbgcolor=#4eae47> <colbgcolor=#00a6a9>
대전직할시
大田直轄市
1989
대전광역시
大田廣域市
1995
}}}}}}}}}
대전광역시 행정구역 변천사
충청남도 회덕군 (忠淸南道 懷德郡, 1895)
충청남도 진잠군 (忠淸南道 鎭岑郡, 1895)
충청남도 공주군 일부 (忠淸南道 公州郡 一部)
충청남도 대전군 (大田郡, 1914)
대전부 (大田府, 1935)
대덕군 (大德郡, 1935)
대전시 (大田市, 1949)
대덕군 (1949)
대전직할시 (大田直轄市, 1989)
대전광역시 (大田廣域市, 1995)

4. 지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전광역시/지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 인구

대전광역시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431,540명 (대전시 314,991명 + 대덕군 116,549명)
1970년 535,769명 (대전시 413,823명 + 대덕군 121,946명)
1975년 639,074명 (대전시 506,223명 + 대덕군 132,851명)
1980년 803,383명 (대전시 651,358명 + 대덕군 152,025명)
1983년 2월 15일 대덕군 유성읍, 회덕면 전역, 탄동면, 진잠면, 구즉면, 기성면 일부 → 대전시 편입
1985년 942,548명 (대전시 865,687명 + 대덕군 76,861명)
1987년 1월 1일 진잠면 계산리 → 대전시 중구 편입
1989년 1월 1일 충청남도 대전시 → 대전직할시 승격 분리
충청남도 대덕군(진잠면 남선리 제외) → 대전직할시 편입
1990년 1,049,122명
1995년 1월 1일 대전직할시대전광역시 개칭
1995년 1,265,081명
2000년 1,385,606명
2005년 1,454,638명
2010년 1,503,664명
2014년 7월 (정점) 1,536,349명
2015년 1,518,775명
2020년 1,463,882명
2024년 1월 1,441,56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60만 명
구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구 465,183명
유성구 366,294명
중구 223,506명
동구 218,037명
대덕구 170,086명
2023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50만 명
}}}}}}}}} ||
대전광역시 구별 행정동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저2동 48,695명
온천2동 40,458명
노은3동 36,636명
도안동 36,557명
둔산2동 34,906명
관평동 33,864명
구즉동 33,170명
원신흥동 29,222명
탄방동 26,618명
전민동 26,287명
송촌동 26,285명
온천1동 26,185명
산성동 26,035명
신성동 25,840명
상대동 25,462명
진잠동 25,061명
태평2동 24,630명
갈마2동 24,034명
노은2동 23,650명
내동 22,975명
효동 22,903명
복수동 21,686명
용운동 21,410명
갈마1동 21,230명
노은1동 21,157명
문화1동 20,784명
월평3동 20,490명
용전동 20,158명
산내동 19,622명
학하동 19,302명
둔산3동 19,088명
가양2동 18,949명
도마1동 18,901명
괴정동 18,832명
중리동 18,794명
목동 16,776명
도마2동 16,618명
석봉동 16,228명
비래동 15,470명
정림동 15,362명
신인동 15,289명
법2동 15,125명
관저1동 14,939명
석교동 14,836명
신탄진동 14,584명
대동 14,120명
은행선화동 14,025명
오정동 13,891명
중촌동 13,784명
변동 13,766명
월평2동 13,714명
유천2동 13,304명
삼성동 13,272명
대흥동 13,120명
덕암동 13,067명
가양1동 12,952명
태평1동 12,857명
법1동 12,496명
만년동 12,284명
판암1동 12,060명
용문동 11,914명
문화2동 11,805명
회덕동 11,484명
홍도동 11,303명
월평1동 11,261명
성남동 11,021명
가장동 10,943명
자양동 10,877명
가수원동 10,478명
오류동 10,333명
용두동 9,144명
판암2동 7,985명
대화동 6,494명
부사동 6,455명
목상동 6,188명
유천1동 5,918명
대사동 5,397명
문창동 4,303명
중앙동 3,848명
기성동 3,474명
대청동 2,268명
2023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각 행정동별 색깔은 각각 동구, 중구, 서구, 유성구, 대덕구 지역임.
}}}}}}}}} ||

2010년 150만 명을 돌파한 뒤 2014년 154만 명에 근접했으나 세종특별자치시 출범과 함께 인구 유출이 가속화되어 급격하게 감소되어 2018년 2월부로 150만 명이 붕괴되었다. # 인구 감소의 원인으로는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아파트 과잉공급으로 인한 베드타운화가 지속되고 있는 점이 크다. 2020년 8월 ~ 2021년 8월 1년간 14,752명이 감소했다. 특히 세종시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설 때마다 심각한 인구 유출이 발생한다. 다만 2021년 기준으로 세종시의 행정중심복합도시의 개발이 2/3 넘게 진행되었기에 향후 인구 전망은 미지수다.

인구 수가 광주광역시와 엇비슷한데 대전은 1998년 11월부로 광주 인구를 추월한 이후 인구 수 측면에서는 여전히 광주보다 우위에 있다. 2021년 광주와의 인구 격차가 1만명 대로 크게 줄어들자 광주에게 다시 인구 수를 추월당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으나 광주 역시 인구 감소가 가속화 되고 대전의 인구 감소세는 다소 완화되면서 인구 격차는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 2023년 현재에는 인구 차가 2만 명 수준으로 다시 벌어지고 있다.

2022년 10월 들어서는 인구가 다시 보합 및 소폭 감소세로 전환되면서 인구격차를 다시 벌리고 있으며 비수도권 광역시중 유일하게 대전권만 인구가 늘고 있어서 수도권으로의 인구유출이 심각한 다른 비수도권 광역시들에 비해서는 사정이 나은 편이다. 대전권에 속하는 세종시를 국가적으로 밀어주는 것도 있지만 비수도권 광역시 중에서 수도권과 가까운 위치도 한몫하고 있다. 특히 실제로 지역언론이 분석한 결과 실제로 세종시 순유출분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인구가 4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대한민국 광역자치단체 중에서 유일하게 2022년에 신생아가 증가했다. #

대전의 인구 이동은 영·호남지역의 중소도시, 충청지역의 중소도시 인구가 주로 유입되며, 충청권에서는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권역별 도시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다.

또한 대전은 전국적으로도 젋은지역으로 뽑히고 있는데 대전의 전체인구 대비 청년인구(만 19-34세) 비중은 21.8%로 나타나 전국에서 2위를 차지했다. 대전의 청년인구 비율은 전국에서 서울 다음으로 높고 비수도권에서는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서울은 대학교 때문에 20대 인구가 많을뿐 10대 아이들 및 30~40대 젊은층 경제활동 인구는 경인 지역에 크게 밀리고 있는데 대전은 비수도권에서 10대 및 30~40대 인구도 비교적 많은 편이다.

5.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전광역시/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국 철도의 대동맥 격인 경부고속선, 경부선, 호남선이 모두 지나고, 국가 중추역인 대전역 서대전역이 있으며 대한민국 철도교통의 최고중심지인 대전조차장역이 있다.[22] 도로교통 역시 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지선,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통영대전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서산~대전)가 분기하는 교통이 매우 편리한 곳이다.

다만 광역시 중 유일하게 공항이 없다. 항공편을 이용하려면 제일 가까운 곳이 청주국제공항인데 청주공항은 제주도 이외의 항공편이 부족한 편이다. 물론 남한의 중앙부에 위치한 지역 특성상 섬 지역이 아니고서는 남한 어느 지역을 가든 부산-서울을 넘어가는 거리가 아닌 이상 비행기를 타기에는 애매한 거리이므로 큰 문제는 아니다. 어차피 버스, 자가용을 이용해도 본토지역이면 어디든 3시간 이내에 도착이 가능한 지역이 대전이다.

5.1. 도시철도 건설 문제

대전 도시철도 2호선을 두고 건설 방식의 문제(트램/자기부상/지하철) 등을 두고 논란이 있었는데, 그중 지하철은 재정상 무리가 있고 중앙 정부에서도 지원해주지 않아 어려운 상황이었고, 결국 노면전차 자기부상열차 두 가지로 좁혀졌었다. 고가가 도시 경관을 해칠 것이라는 우려 때문에 저심도 자기부상열차 안도 나온 적 있으나 재정이 없어서 폐기. 그러나 염홍철 시장 때 고가 자기부상열차로 결정되어, 이대로 논란이 끝나는 줄 알았으나, 민선 6기 시장직에 권선택 후보가 당선되면서, 순식간에 트램 방식으로 뒤집어졌다.

2022년도까지는 2호선 충청권 광역철도 간의 일부 구간 노선 중첩 문제 및 2호선의 건설비가 2배 이상으로 뛰는 바람에 한동안 지지부진 했다. 하지만 2023년에 들면서 급물살을 타게 되었고, 2023년 4월 23일, 완전 무가선 도입과 4개 구간 지하화 건설 등 이장우 시장이 취임한 후 수정 보완한 트램 건설 계획 예산이 중앙부처 심의를 최종 통과했다. 이로서 2024년 상반기 착공이 가능해졌다. 이 예산은 한국개발연구원(KDI)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를 통해 최종 확정되는데, 약간의 조정도 예상된다. 그리고 다음 날인 24일,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대전 도시철도 2호선을 반영해 수요예측 재조사를 한 결과 충청권 광역철도의 하루 평균 이용객이 2만3천239명으로 예측돼 타당성 재조사 절차가 필요 없어짐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기획재정부와 사업기간 조정을 포함한 총사업비를 협의한 끝에 2023년 12월 27일에 1단계 구간(계룡~신탄진)이 착공에 들어갔다.

충청권 광역철도와 2호선 이외에도 현재 1호선을 세종과 조치원을 거쳐 청주공항까지 연장하는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가 추진 중인데, 조치원 이후부턴 충북선을 활용할지, 청주 도심을 통과할지에 대한 논란이 계속해서 이어졌다. 2023년 6월에 들어서야 청주 도심 통과 안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혀졌는데, 문제는 노선의 방향성만 잡힌 것일 뿐이지, 아직 예비타당성 조사도 받지 않은 상태인데 청주시에선 이미 청주 지하철 시대가 열렸다며 대대적으로 홍보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 지역 언론에선 이 노선을 충청권 광역철도와 혼동하여 적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한때는 같은 사업으로 묶이긴 하였으나, 이미 2021년에 각자 다른 사업으로 분화된지 오래다.

6. 경제

6.1. 산업

<colbgcolor=#00ae4d><colcolor=white> 지역내
총생산
<colbgcolor=#00ae4d><colcolor=white> 전체 44조 1,030억 원2020 (전국 대비 2.2%)
1인당 2,939만 8,000 원
지역
총소득
전체 46조 7,000억 원2018 (전국 대비 2.4%)
1인당 3,073만 5,000원
개인
소득
전체 48조원2020
1인당 2,135만 1,000원
성장률 3.3%2019
대전은 소비에 의존하는 서비스업이 주종인 전형적인 소비도시이다. 대전의 산업별 비중을 보면 2014년 기준으로 제조업이 17.6%, 서비스업이 83.4%로 서비스업이 압도적이다. 그렇다고 소득수준은 낮다고도 볼 수는 없는데 1인당 개인소득은 2022년 기준으로 서울, 울산 다음으로 전국 3위이다. 이는 대덕연구개발특구 정부대전청사, 자운대 등을 비롯해 그외 많은 국가기관 본사들과 군사시설들이 대전에 자리잡은 것이 크다.[23]

1970년대부터 대덕연구단지를 시작으로 한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의 지방이전 정책으로 엄청난 특혜를 받아, 다수의 정부 유관기관들이 대전에 소재하기 시작했다. 특히 중앙행정기관이 지방으로 이전한 첫 사례도 대전이 최초였다.[24]

대전에는 우선 정부대전청사에 자리한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 병무청, 문화재청, 산림청, 특허청, 기상청, 국가기록원, 특허심판원, 행정기록관, 병무민원상담소, 수치모델링센터, 충남지방노동위원회, 대전청사관리소 말고도 방위사업청, 국립중앙과학관, 국립대전현충원, 국가정보자원관리원, 국제지식재산연수원, 국립문화재연구원, 관세분류평가원, 통계교육원, 통계개발원,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대체역심사위원회, 대전인권사무소 등 일명 지방청이라고 부르는 특별지방행정기관을 제외하고도 27개의 중앙행정기관과 소속기관들의 본부가 자리잡았으며 추가로 기반전력사업본부, 미래전력사업본부, 기상레이더센터가 대전으로 이전 예정이며 특허청 버프로 고등법원급인 특허법원이 추가로 대전에 자리잡았다. 그 외에도 한국연구재단,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기초과학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중이온가속기연구소, 나노종합기술원,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보안기술연구소,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한국철도공사(코레일), 국가철도공단, 한국수자원공사(케이워터), 한국조폐공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한전원자력연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신용협동조합중앙회(신협중앙회), 한국등산·트레킹지원센터, 코레일테크, 한국산림복지진흥원, 한국임업진흥원, 한국특허정보원, 한국특허기술진흥원, 한국특허전략개발원, 한국통계정보원, 한국기상산업기술원, 케이워터운영관리, 케이워터기술, 과학기술시설관리단, 한국산림보전협회, 한국산불방지기술협회, 한국산림기술인회, 한국산림토석협회, 엽연초생산협동조합중앙회, 연초생산안정화재단, 담배인삼공제회, 한국발전인재개발원 등 50여개가 넘는 공공기관이나 정부유관기관들이 대전에 본부나 본사가 있으며 이 수치는 서울을 제외하고 가장 많은 공공기관을 보유한 수치이다. 즉 대전 자체가 세종과 함께 실질적인 수도기능을 하는 거대한 행정도시라고 볼 수 있으며 대전의 경제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또 대전역세권지구, 연축지구가 혁신도시로 확정되었다. 그리고 2021년에는 국회도서관 분원이 도안신도시 호수공원에 건립 확정되었다. #

또한 행정뿐만 아니라 군사적으로도 중추역할을 하고 있다. 육군대학, 해군대학, 공군대학, 국군대전병원, 국군의학연구소, 국군간호사관학교, 국군의무학교, 국방정신전력원, 육군교육사령부 등 각종 군사 교육을 담당하는 시설과 국직부대들이 모여 있는 대규모 군사기지인 자운대가 위치하고 있어 많은 군인과 군무원들이 근무하고 있으며 그외에도 육군군수사령부도 대전에 소재하고 있고 대전 생활권인 충남 계룡시에는 3군 본부가 위치해 있는 계룡대가 소재하고 있어 군사도시로써 면모를 보이고 있으며 과학, 행정과 함께 대전의 경제에 중추역할을 하고 있다.

과거에 자체 지방은행으로 현재는 하나은행에 합병된 충청은행이 있었다. 지금도 퇴출된 타 지역은행이 지역색이 많이 없어진 것과 달리 경영지원그룹이나 글로벌그룹과 동급의 별도의 인사/예산권을 가진 하나은행 충청영업그룹이라는 별도의 조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25], 하나은행은 충청은행 시절부터 40년 넘게 대전광역시청의 제1금고 은행이다 그리고 지역은행은 아니지만 전국구 대형 금융기관인 신용협동조합중앙회(신협중앙회) 중앙본부(본사)가 대전에 소재하고 있다. 신용협동조합중앙회의 경우 전국 5대 상호금융기관[26] 중 유일하게 비수도권에 중앙회 본부가 자리한 사례다.

또 수도권과 가깝다는 지리적 이점으로, 컨텍(콜)센터들이 대전에 많이 소재하고 있다. 132여개 기업이 대전에 컨택센터를 두고 있으며 비수도권중에서는 가장 규모가 크다. 대표적으로 KT 계열사중에서 114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 컨택센터 운영을 맡고 있는 KTcs 본사와 SK그룹 콜센타 운영과 텔레마케팅 업무를 전담하는 서비스탑 본사가 대전에 소재하고 오류동에는 구 충청은행 본점 자리에 하나은행 콜센터가 노은지구에는 국민은행 콜센터가 소재한다. 특히 국민은행의 경우에는 근무인원이 2,000명으로 전국 콜센터중에서 규모가 가장 크며 어지간한 대기업 사업장 뺨친다. 그외에도 CJ대한통운, 신한카드, 현대해상, 에치와이, 금융위원회, 한국자산관리공사, 한화생명, 삼성카드, KB손해보험, 우리은행, OK저축은행, SK매직 컨택센터가 자리하고 있다. 한국철도공사의 철도고객센터 역시 대전조차장역에 자리잡고 있다.

지역 백화점으로 옛날에 동양백화점이 있었는데, 한화그룹이 인수하여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라는 갤러리아 지역법인이 되었고 과거 본점이었던 중앙로역 근처의 동양백화점은 NC백화점 대전 중앙로역점이 되었다. 그리고 서구 둔산동 928번지에 NC백화점을 더 짓고 있지만 수익성 문제로 결국 무산되었다. 그외 지역 백화점으로는 문화동에 있는 백화점 세이가 있고 서구 괴정동에 롯데백화점 대전점이 있다. 구 엑스포과학공원부지에 엑스포 제창조 사업의 일원으로 대전 사이언스콤플렉스 신세계백화점이 들어왔는데 규모가 매우 커 전국 5위의 영업면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또한 갤러리아타임월드나 대구신세계 사례처럼 대전신세계라는 별도의 지역법인으로 운영하고 있다.

2022년 현재 대전의 주 산업은 담배, 타이어, 자동차부품, 금속, 제제, 식품, 비료, 화학, 제약(바이오) 등이 있으며 제조업 사업장은 주로 대덕구 대화동에 있는 대전 1, 2산업단지와 대덕구 신일동의 대덕산업단지, 그리고 유성구 탑립동의 대덕테크노밸리에 몰려있다. 대전에 본사를 두고 있는 대기업으로는 공기업이였던 전매청 시절부터 대덕구 평촌동[27]에 본사를 두고 있는 KT&G가 있다. 대전으로 본사를 이전하기 전부터 현재 대전광역시인 충청남도 대덕군에 사업장과 연구소[28]를 모두 두고 있었다. 특히 신탄진 공장은 예전부터 동양최대 연초장으로 유명했으며, 현재에도 세계 최대 슬림담배 생산공장이기도 한다. 2021년 기준으로 시가총액 10조가량의 대기업인 한온시스템[29] 또한 대전에 본사를 두고 있다.

그 외에도 대전에 본사는 없지만 대전에 기반을 두는 대기업으로는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30], 한화에어로스페이스[31]가 있으며 그 외에도 다수의 유명 기업들이 대전에 본사를 두고 있다. 한화그룹의 한화인텔리전스와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하림그룹 계열사인 제일사료, 아모레퍼시픽 계열사인 코스비전, LX그룹의 계열사인 LX세미콘, SK그룹의 계열사인 SK바이오텍과 서비스탑, KT의 계열사인 KTcs와 KT MOS 남부, KT SERVICE 남부, 한국타이어그룹의 계열사인 한국프리시전웍스와 한국엔지니어링웍스, 아름덴티스트리, 세계적인 독일 자동차 부품업체 보쉬의 한국법인인 로버트보쉬코리아, 우리금융그룹의 계열사인 우리금융캐피탈, 군인공제회의 계열사인 한국캐피탈 등이 대전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그 외에도 아모레퍼시픽, 유한킴벌리, 애경화학, 애경산업, 유니레버, 농협케미컬, 롯데칠성음료, 롯데웰푸드, 한국SMC, 삼양패키징, 삼양바이오팜, 한솔제지, 효성, 크라운제과, 코오롱제약 등 유명기업의 사업장들이 대전에 자리하고 있다.

그리고 지리적 이점 덕에 많은 물류기업들의 메가급 허브터미널들이 대전과 대전 근교[32]에 몰려있다. 대전에 있는 대표적인 허브터미널을 두거나 건설예정인 대표적 기업이나 기관으로는 한진, CJ대한통운, 로젠택배, 쿠팡, 우정사업본부 등이 있으며 특히 한진은 유성구 대정동에 축구장 20배 면적의 크기의 초대형 메가 터미널을 운영 중이다.

한편 중구/동구를 중심으로 한 구도심과 서구/유성구를 중심으로 한 신도심이 산업으로 인한 경제격차[33]가 너무 벌어지다보니 경제/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대전광역시/지리 문서에 서술돼 있다.

6.2. 과학·연구

대덕연구개발특구(대덕연구단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가 있다.[34] 이곳들에는 정부 출연 연구기관들인 한국연구재단, 한국과학기술원, 국방과학연구소, 기초과학연구원, 기초과학연구원 부설 국가수리과학연구소, 기초과학연구원 부설 중이온가속기연구소, 나노종합기술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부설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연구재단 부설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설 국가보안기술연구소,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부설 안전성평가연구소 등 많은 연구기관들이 들어서있다. 이 연구소들은 지금도 자체적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고, 이공계열 박사학위 소지자들에게는 대학 교수직 다음가는 좋은 직장으로 인정받고 있다.

또한 대전에는 정부출연연구소 뿐만 아니라 공기업이나 민간기업 연구소들도 대거 소재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한국전력공사, 한국수력원자력, 한전원자력연료, 한국전력기술,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조폐공사,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한국콘텐츠진흥원, 금호석유화학, 금호폴리켐, 대한항공, 롯데케미칼, 삼성중공업, 삼양사, 애경케미칼, 태광산업, 풍산,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하림, 한국머크, 레고켐바이오, 한온시스템, 한솔제지, 한국화이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솔루션, 한화인텔리전스, 쎄트렉아이, DL케미칼, DL E&C, GS칼텍스, KT, KT&G, SK, SK이노베이션, SK온, LG생활건강, LG에너지솔루션, LG화학, LG U+, LIG넥스원, LX MMA, LX세미콘, MKS instruments 등이 대전에 연구소를 두고있다.

비수도권 중에서 제일 벤처기업, 스타트업 들이 활성화된 지역이다. 투자액으로 따지면 서울, 경기에 이어서 3위이고 투자액은 비수도권에서 가장 압도적이다.[35] 인구 1인당 벤처기업 수는 1위이다. 많은 연구소, 대학, 기업 등등 으로 인해 많은 벤처기업들이 들어섰고, 비수도권에서 벤처투자를 제일 많이 받는 지역이다. 사실 대전광역시는 예로부터 유지가 잘 되는 튼튼한 중소기업이 많기로 유명하다.

따라서 비수도권 지역 중에서는 R&D 계열 일자리가 가장 많은 편이다. 수도권과 비교적 가까운 위치, 정출연과 연계가 가능하다는 점이 장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47개국 102회원이 참가하는 세계과학도시연합은 세계 여러 도시국들과 연구기관, 대학, 기업들이 참가하는 연합으로 대전광역시는 1998년 10개국 22개 도시 시장들과 함께 만든 세계과학도시연합 회장 역할을 하고 있다. 세계과학도시연합은 매년 유네스코와 국제공동워크샵 등을 개최하는 등 국제기구와 다른 해외도시, 기업들과 협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런데 단점도 있다. 정부 소속/산하기관들이 많아서 일자리 창출은 되긴 하지만, 대전광역시에 지방세를 납부하는 기업체가 아니다 보니 정작 대전광역시의 재정자립도는 그리 높지 않아서 교육이나 사회복지 투자가 어렵다. 이런 상황을 강하게 비판하는 사람들은 '공무원과 연구원들이 쓰는 돈으로 먹고 사는 소비도시'라고 하기도 한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 조금 낮은 재정자립도가 지방에서 공업도시인 울산광역시와 버금가는 건실한 재정자립도라는 게 함정. 공업도시라는 특이성을 가진 울산을 제외하면 지방에선 가장 재정자립도가 나은 걸 보면 대전은 정부 소속/산하기관 효과를 보고 있다 할 수 있다. 또한 위에도 언급되어 있듯이 비수도권 중에서는 민간기업들도 R&D 계열을 중심으로 많은 편이다.

최근에는 남방한계선이라는 용어가 등장할 정도로 수도권 선호가 심해지면서 대전도 일부 영향을 받는 상황이 되었다. 실제로 일부 대기업들이 R&D 비중을 수도권으로 분산시키는 등 대전에 위치한 연구소들의 비중을 줄이기도 했지만 여전히 대기업들이 2차전지, 방산, 석유화학, 우주항공 분야 등에서 대전에 있는 연구소들을 R&D 핵심 축으로 삼거나 지속적으로 대전 R&D 인프라에 대규모로 투자하는 등 여전히 대전이 대기업 R&D 주요 축으로 기능하고 있다. #, #, #, #

6.3. 상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전광역시/상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4. 대전의 통계

통계청이 발표한 2010년 대전의 1인당 개인소득은 울산, 서울에 이어서 전국 3위이다. 자치구별로는 유성구의 소득이 가장 높다. 국세청이 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현황을 토대로 분석한 근로자의 평균 연간 급여는 대전이 전국 3위이다. 등록 자동차 대수는 2013년 12월말 기준 606,283대로, 가구 당 1.03대의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다. 2011년 기준, 주택보급률은 102.4%이고, 자가 비율은 50.8%로 서울(41.4%)보다 높다. 2011년 미국 아카마이 테크놀로지스의 인터넷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주요 도시별 인터넷 접속 속도 순위에서 대전은 57.6Mbps를 기록하여 1위에 자리했다.

2011년 대검찰청이 발간한 '2011년 범죄분석'에 따르면 대전의 인구 10만명당 범죄 발생비율은 1,367명으로 전국 평균인 3,750명의 36.5% 수준이었다. 2011년 보건복지부가 2011년 지역건강통계’에서 대전시민의 평균 건강수명은 72.85세로 전국 2위의 건강한 도시로 조사되었고, 흡연율(41.9%)은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2012년 현대경제연구원의 '대한민국 경제적 행복지수' 조사 결과, 대전에 사는 사람들의 경제적 행복감이 가장 높았다.

2013년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와 세이브더칠드런이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어린이 행복종합지수 분석에서 대전이 행복지수 전국 1위로 평가되었다. 2011년 대전에서 투자되는 연구개발비는 6조 8,173억원이다. 2007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대전의 연구개발비는 서울(1조 7,057억원), 경기(1조 1,096억원), 인천(3,151억원) 등 수도권을 합한 것보다 많고, 수도권과 대전을 뺀 지방 전체의 연구비를 합한 것(2조 1,668억원)보다 많다. IT(정보기술), BT(생명공학기술), NT(나노기술), ST(우주항공기술), ET(환경·에너지기술), CT(문화기술) 등 미래유망 신기술 6T(6Technology)에 대한 연구비도 수도권과 12개 지자체를 합한 것보다 높은 수치이다.

중국 사회과학원과 미국 버크넬 대학교 등이 공동 작성한 ‘2008년 세계 도시경쟁력 보고서’에서 대전은 대한민국 도시 중에는 서울(12위), 울산(162위)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203위를 기록했다. 대한민국 대도시 중에는 인천(221위), 부산(242위), 대구(287위), 광주(295위) 등 다른 광역시보다 높은 도시경쟁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삼성경제연구소(SERI)가 1997년 세계 주요 도시를 대상으로 도시경쟁력을 평가한 결과에서 대전은 서울(19위)에 이어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세계 25위의 도시경쟁력을 차지했다. 2006년 산업정책연구원이 국내 75개 도시를 대상으로 도시 경쟁력을 평가한 결과, 대전이 서울(2위)을 제치고 미래 경쟁력 1위 도시라는 평가를 얻었다.

2021년, 산업연구원(KIET)가 발표한 '지역별 혁신성장역량의 공간분포와 정책대응 기본방향' 보고서에서 대전광역시의 혁신성장역량이 전국에서 제일 높은 지수를 보였다.

7. 관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전광역시/관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전관광공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교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전광역시/교육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에서 남녀공학이 10번째로 많은 지역이다. 교육이 좋은 곳으로 알려져 있다.

4년제 국립대학만 4곳이나 있으며 그외에도 4년제 사립대학 9곳, 전문대학 4곳, 대학원대학이 2곳 소재한다.

9. 생활문화

9.1. 문화시설, 언어, 종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전광역시/문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1.1. 박물관

박물관도 여럿 있는데 대다수가 국공립 박물관이다.
이 곳들은 괜찮은 곳인데 대전의 박물관 중에서도 각 4년제 대학 내 박물관들이나 시립박물관인 대전선사박물관은 영세한데다 시설과 전시물도 별로다. 특히 선사박물관은 한국 고고학에 관련된 적당한 책 한권 훝어보는 게 가는 것보다 나은 수준이다. 선사박물관은 본래 박물관이 아닌 전시관 개념으로 추진 설계 준공된 곳이다. 그러나 양질의 유물이 부족하며, 유물을 제대로 보관할 수 있는 항온항습 시설마저도 제대로 준비되어 있지 않은 건물이 일각의 요구에 의해서 박물관으로 변경되어 문제가 생겼다. 하지만 가장 충격적인 것은 충청남도 과학교육원전시관과 창조과학전시관이다. 과학교육원전시관은 서울과학관만도 못한 수준에 입구에는 쌈마이 공룡 화석 모형과 영구와 아기공룡 쭈쭈에 나올법한 공룡 모형을 세워놓고 있으며 생긴 것도 닮았다. 창조과학전시관의 경우 말 그대로 창조과학을 홍보하는 곳인지라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36]

제일 중요한 것으로, 여기 소개된 박물관들은 전부 입장료가 무료다.[37] 창조과학전시관의 경우 자발적인 헌금을 부탁하고는 있다.

이 중 직간접으로 국비로 운영 되는 곳은 다음과 같다.

9.2. 음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전광역시/음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3. 의료기관

대전에 소재한 대학병원은 아래와 같다.
이중 대전의 상급종합병원은 총 2곳으로 충남대학교병원, 건양대학교병원이 지정되어 있다.

그 외 종합병원은 아래와 같다.

9.4. 대전 사람

대전사람, 대전인, Daejeonene

대전은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광역시 중에선 3대째 이상 살아온 본토박이의 비율이 가장 적다.[43] 또한, 같은 권역 출신들이 주로 몰리는 기타 지방 광역시들[44]과 달리 대전의 경우엔 충청도 외부[45]에서 유입되는 인구가 상당했기에 지역색이 옅어졌으며 애향심도 높지 않다고 한다. 하지만 반대로 말하면 지역색이 거의 없기 때문에 여타 지방 도시들에 비해 상당히 개방적이며 포용성이 높다는 소리이기도 하다. 이러한 대전의 높은 포용성은 ' 포용성 = 발전의 밑거름'이라는 연구 결과에 따라 향후 발전에 있어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봐도 좋을 것 같다. 대전의 인구가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기는 하다만, 세종시[46][47][48]에 힘입어 도시권 자체는 계속해서 커지고 있다.[49]
노잼 대전 탈출 프로젝트 번외 서울촌놈 대전편[50]
대전 출신 중 꽤나 많은 수가 스스로 사투리를 사용하지 않으며, 표준어만 사용한다고 자부하는 경향이 있다.[51][52] 그렇기에 이런 경향의 사람한테 다짜고짜 "너 사투리 쓴다"고만 한다면 "내가 뭔 사투리를 쓰냐!"는 식의 타박을 들을 수도 있다. "대전 사람들이 사투리를 쓰는가?"에 대해서는 외지인이 많은 대전의 특성 탓에 확실하게 특정지을 수는 없지만, 동네마다 차이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외지인이 많은 서부권 일명 신도심[53] 일대 같은 경우엔 본토박이보다 외지인의 비율이 더 높은 지역이기에 중장년층조차도 옅은 사투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54] 반대로 본토박이가 많은 원도심[55] 일대 같은 경우엔 외지인보다 본토박이 비율이 높아 중장년층은 물론이고, 청소년층에게서도 사투리를 심심찮게 들어볼 수 있으며[56], 노년층 토박이에게선 간혹 충청방언 높임체인 해유체를 들어볼 수 있다.

대전 내에서도 동서에 따른 차이가 생기게 된 이유에 대해 이야기해보자면, 원도심 일대의 경우엔 오랜 기간 대전 뿐만 아니라 충청도의 중심지로서 발전을 해왔기에 대전 토박이들과 인근 충청도 출신 인구가 주를 이루게 되었다.[57] 반면 서부(신도심) 일대의 경우 넓은 평야와 미개발 지역들이 많았기 때문에 93 대전 엑스포 역시 서부권에서 개최하게 되었고, 엑스포 이후 서부 일대가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했다. 또한, 당시 균형발전 차원에서 대전이 국가의 행정 기능 일부를 분담하게 되면서 정부대전청사를 비롯한 많은 공공기관들이 대전 서부권에 자리잡게 되었고, 이에 따라 수도권 출신의 외지인들이 본격적으로 대전에 유입되기 시작했다.[58] 그렇기에 현재는 대전에서 태어났다고 할지라도 서부, 특히 둔산신도시 전민동 관평동 같은 서부권 중북부 출신의 경우엔 표준어 혹은 경기 방언[59]에 약간의 충청도식 억양이나 사투리를 얹어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60] 물론 동부 지역의 사투리 사용률이 앞서 나온 지역들에 비해 높긴 해도 젊은 사람들의 경우에는 타지역 사람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수준의 사투리는 사용하지 않는 추세다.[61]

언어/사투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대전 방언 혹은 대전광역시/문화 참고.

운전문화 쪽에서 봤을 때, 대전은 상당히 부드럽기로 유명하다. 그래서 운전 초보들이 가장 운행하기 딱 좋은 곳이 대전이다. 대전의 분위기 자체가 매우 조용한 동네라서 그런지 서울 강남처럼 매우 좋은 편. 게다가 도로 사정도 좋은 편이므로 운전하기에는 훨씬 편하다. 특히 계백로는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가로변버스전용차로를 시행한 곳[62]인지라, 계백로 포함 대전의 대로들을 가 보면 교통법규를 칼같이 잘 지키는 대전시민들이 많다. 게다가 대전시민들이 경적을 울리지 않는 것을 보고 놀라는 다른 지역 사람들이 많다. 특히 러시 아워(Rush Hour) 때를 제외하면, 이제 막 면허를 취득하고 도로주행을 처음 하는 쌩판 초보자들도 할만한 환경이다.

9.5. 스포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전광역시/스포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치안

전체적으로 나쁘지 않은 편이지만, 지역에 따라 치안이 달라지는 도시이다. 대체로 원도심인 동구와 중구 지역의 치안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으며, 유성구, 서구의 치안은 좋은 편이다.

11. 행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전광역시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전광역시/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군사


대전은 대전/세종/충남권역 지역방위사단인 대한민국 육군 제32보병사단 산하 제505보병여단이 방어하는 곳이다. 32사단 본부는 원래 대전에 위치했다가 둔산신도시가 만들어지면서 이전했고 현재는 세종시 금남면에 있다.[63]

근대 이후 과거나 지금이나 대전은 중추 군사도시 역할을 하고 있다. 국토중앙에 경부호남선이 분기하는 편리한 교통의 요지에 분지 지형으로 수비가 용이하고, 한국전쟁 당시 임시수도로 기능한 바 있던 역사적 배경도 있다.

둔산신도시가 공군 대전비행장 부지 위에 지었다는 건 유명하고[64] 서대전역 앞 홈플러스 문화점 인근에는 육군병참학교(현 육군종합군수학교) 및 보급창이 있기도 했다. 이외에도 도시 곳곳에 군사시설이 많았으나 대전 도심 및 택지 개발로 대부분 인근의 자운대 연기군(현 세종특별자치시), 공주시, 진주시(공군) 등으로 이전했다.

대신 현재 대전에는 국군간호사관학교, 국군의무학교, 육군교육사령부, 국방정신전력원, 육군대학, 해군대학, 공군대학 등 여러 국직 및 각군 부대들과 교육시설이 모여있는 1990년대부터 조성되기 시작한 자운대가 소재하고 있으며 또한 육군군수사령부 육군탄약지원사령부, 국방과학연구소도 위치하고 있고 대전 근교 충남 계룡시에는 3군 본부가 소재하고 있는 계룡대가 위치하고 있어서 핵심 중추 군사도시로 역할을 하고 있다.

14. 하위 행정구역

파일:대전광역시 기초자치단체.svg

14.1. 전체 행정구역 변천사[75]

14.1.1. 충청남도 대전시 시기

행정동 제도 실시
행정동제 실시 전후 행정구역
원동 대전시 원동 행정동제 실시
인동 대전시 인동
효동, 천동, 가오동 대전시 효동
신흥동 대전시 신흥동
판암동, 삼정동 대전시 판암동
용운동 대전시 용운동
대동, 자양동 대전시 대동
신안동 대전시 신안동
소제동 대전시 소제동
가양동, 용전동 대전시 가양동
성남동 대전시 성남동
홍도동 대전시 홍도동
삼성동 대전시 삼성동
정동 대전시 정동
중동 대전시 중동
은행동 대전시 은행동
선화동 대전시 선화동
목동 대전시 목동
중촌동 대전시 중촌동
대흥동 대전시 대흥1동~대흥3동
문창동 대전시 문창동
석교동, 호동, 옥계동 대전시 석교동
대사동 대전시 대사동
부사동 대전시 부사동
용두동 대전시 용두동
오류동 대전시 오류동
태평동 대전시 태평동
유천동 대전시 유천동
문화동 대전시 문화동
산성동, 사정동, 안영동, 복수동 대전시 산성동
변동, 도마동, 정림동 대전시 도마동
용문동, 탄방동, 삼천동, 둔산동 대전시 용문동
괴정동, 가장동, 내동 대전시 괴정동
갈마동, 월평동 대전시 갈마동
오정동, 대화동 대전시 오정동
54법정동 37행정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 - 37동(행정동제 실시)
행정동제 실시(37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대전시 선화동 선화1동, 선화2동 분동(分洞)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 37동 38동(1개동 증설)
총 1개동 증설(38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대전시 대동 대1동, 대2동, 자양동 분동
대전시 삼성동 삼성1동, 삼성2동
대전시 성남동 성남1동, 성남2동
대전시 선화2동 선화2동, 선화3동
대전시 문창동 문창1동, 문창2동
대전시 용두동 용두1동, 용두2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 38동 45동(7개동 증설)
총 7개동 증설(45동)
출장소 제도 실시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대전시 일부[76] 대전시 동부출장소 출장소 제도 실시
대전시 일부[77] 대전시 북부출장소
대전시 일부[78] 대전시 중부출장소
대전시 일부[79] 대전시 서부출장소
총 행정동 증설 수
출장소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대전시 동부출장소 - 11동(출장소 신설)
대전시 북부출장소 - 9동(출장소 신설)
대전시 중부출장소 - 14동(출장소 신설)
대전시 서부출장소 - 11동(출장소 신설)
출장소 폐지 및 구제 실시
동부출장소 + 북부출장소 = 대전시 동구
중부출장소 + 서부출장소 + 대전시 중구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대전시 동부출장소, 대전시 북부출장소 대전시 동구 출장소 폐지 및 동구 신설
대전시 동부출장소[동부출장소], 대전시 북부출장소 행정동[북부출장소] 대전시 동구 행정동 양 출장소 휘하에서 동구청 휘하 직할로 조정
대전시 중부출장소, 대전시 서부출장소 대전시 중구 출장소 폐지 및 중구 신설
대전시 중부출장소 행정동[중부출장소], 대전시 서부출장소 행정동[서부출장소] 대전시 중구 행정동 양 출장소 휘하에서 중구청 휘하 직할로 조정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대전시 동부·북부출장소→동구 11동, 9동 20동(증설 없음)
대전시 중부·서부출장소→중구 14동, 11동 25동(증설 없음)
구제 실시(2구 45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동구 가양동 가양동, 용전동 분동
중구 도마동 도마1동, 도마2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20동 21동(1개동 증설)
중구 25동 26동(1개동 증설)
총 2개동 증설(2구 47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동구 가양동 가양1동, 가양2동 분동
중구 유천동 유천1동, 유천2동
중구 괴정동 괴정동, 가장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21동 22동(1개동 증설)
중구 26동 28동(2개동 증설)
총 3개동 증설(2구 50동)
충청남도 대덕군 일부 편입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대덕군 회덕면 동구 회덕1동, 회덕2동 행정동 신설
대덕군 유성읍 중구 온천1동, 온천2동
대덕군 기성면 일부[84] 중구 가수원동
대덕군 탄동면 일부[85] 중구 신성동
대덕군 구즉면 일부[86] 중구 전민동
대덕군 진잠면 일부[87] 중구 원내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22동 24동(2개동 신설)
중구 28동 34동(6개동 신설)
총 8개동 신설(2구 58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동구 오정동 오정동, 대화동 분동
중구 태평동 태평1동, 태평2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24동 25동(1개동 증설)
중구 34동 35동(1개동 증설)
총 2개동 증설(2구 60동)
중구 舊대덕군 편입지(중구 유성출장소)→대전시 유성출장소 승격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중구 일부 대전시 유성출장소 출장소 신설
중구 일부 행정동[88] 대전시 유성출장소 행정동 중구청 휘하에서 유성출장소 휘하 직할로 조정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및 출장소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25동 25동(증설 없음)
중구 35동 30동(5개동 감소)
대전시 유성출장소 5동 5동(증설 없음)
총 1개 시 직할출장소 신설(2구 1출장소 60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중구 문화동 문화1동, 문화2동 분동
중구 산성동 산성동, 복수동
중구 도마1동 도마1동, 변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및 출장소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25동 25동(증설 없음)
중구 30동 33동(3개동 증설)
대전시 유성출장소 5동 5동(증설 없음)
총 3개동 증설(2구 1출장소 63동)
대덕군 진잠면 계산리→계산동 전환 및 원내동 편입
대전시 중구 中 유등천 이서 지역→대전시 서구 승격 분리[89]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대전시 중구 일부 대전시 서구 구 신설
대전시 중구 일부 행정동[90] 대전시 서구 행정동 중구청 휘하에서 서구청 휘하 직할로 조정
중구 복수동 서구 복수동 일부 법정동 이관[91]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및 출장소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25동 25동(증설 없음)
중구 33동 24동(9개동 감소)
대전시 중구 일부→서구 9동 9동(증설 없음)
대전시 유성출장소 5동 5동(증설 없음)
총 1개구 신설(3구 1출장소 63동)

14.1.2. 대전직할시 시기

충청남도 대전시 + 대덕군[92] = 대전직할시 승격 분리
대전시 유성출장소 + 대덕군 진잠면(남선리 제외), 탄동면, 구즉면 = 대전직할시 유성구 승격
대전시 동구 오정·대화동, 회덕1·2동 + 대덕군 신탄진읍 = 대전직할시 대덕구 승격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충청남도 대전시, 대덕군[93] 대전직할시 직할시 승격 분리
대전시 유성출장소, 대덕군 진잠면(남선리 제외), 탄동면, 구즉면 대전직할시 유성구 출장소 폐지 및 구 신설
대전시 동구 일부, 대덕군 신탄진읍 대전직할시 대덕구 구 신설
대덕군 동면 동구 추동, 세천동 행정동 신설
대덕군 산내면 일부[94] 동구 산내동 "
대덕군 산내면 일부[95] 중구 산서동 "
대덕군 기성면[96] 서구 기성동 "
대덕군 진잠면 대부분[97] 유성구 진잠동 "
대덕군 탄동면 유성구 탄동 "
대덕군 구즉면 유성구 구즉동 "
대전시 유성출장소 행정동[98] 대전직할시 유성구 행정동 상급기관 조정
대전시 동구 일부 행정동[99] 대전직할시 대덕구 행정동 동구청 휘하에서 대덕구청 휘하 직할로 조정
대덕군 신탄진읍[100] 대덕구 일부[101] 행정동 신설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25동 24동(1개동 감소)
중구 24동 25동(1개동 신설)
서구 9동 10동(1개동 신설)
대전시 유성출장소, 충청남도 대덕군 일부→유성구 5동, 3면 8동(3개동 신설)
동구 일부, 충청남도 대덕군 일부→대덕구 4동, 1읍 8동(4개동 신설)
총 2개구 신설, 1개 시 직할출장소 폐지, 12개동 신설(5구 75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대덕구 회덕2동 회덕2동, 중리동 분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24동 24동(증설 없음)
중구 25동 25동(증설 없음)
서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유성구 8동 8동(증설 없음)
대덕구 8동 9동(1개동 증설)
총 1개동 증설(5구 76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신성동 일부[102] 온천2동 일부 경계 조정
탄동 일부[103] 신성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24동 24동(증설 없음)
중구 25동 25동(증설 없음)
서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유성구 8동 8동(증설 없음)
대덕구 9동 9동(증설 없음)
행정동 증설없음(단순 경계조정) (5구 76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대덕구 중리동 중리동, 법동 분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24동 24동(증설 없음)
중구 25동 25동(증설 없음)
서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유성구 8동 8동(증설 없음)
대덕구 9동 10동(1개동 증설)
총 1개동 증설(5구 77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서구 용문동 용문동, 삼천동 분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24동 24동(증설 없음)
중구 25동 25동(증설 없음)
서구 10동 11동(1개동 증설)
유성구 8동 8동(증설 없음)
대덕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총 1개동 증설(5구 78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동구 판암동 판암1동, 판암2동 분동
서구 도마2동, 가수원동 도마2동, 정림동, 가수원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24동 25동(1개동 증설)
중구 25동 25동(증설 없음)
서구 11동 12동(1개동 증설)
유성구 8동 8동(증설 없음)
대덕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총 2개동 증설(5구 80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서구 용문동 용문동, 탄방동 분동
서구 삼천동 삼천동, 둔산동 "
서구 갈마동 갈마동, 월평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25동 25동(증설 없음)
중구 25동 25동(증설 없음)
서구 12동 15동(3개동 증설)
유성구 8동 8동(증설 없음)
대덕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총 3개동 증설(5구 83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서구 월평동 월평1동, 월평2동 분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25동 25동(증설 없음)
중구 25동 25동(증설 없음)
서구 15동 16동(1개동 증설)
유성구 8동 8동(증설 없음)
대덕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총 1개동 증설(5구 84동)

14.1.3. 대전광역시 시기

대전직할시 → 대전광역시 개칭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유성구 진잠동 진잠1동 행정동명 개칭
유성구 원내동 진잠2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25동 25동(증설 없음)
중구 25동 25동(증설 없음)
서구 16동 16동(증설 없음)
유성구 8동 8동(증설 없음)
대덕구 10동 10동(증설 없음)
행정동 증설 없음(일부 명칭만 변경) (5구 84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서구 둔산동 둔산1동, 둔산2동 분동
대덕구 법동 법1동, 법2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25동 25동(증설 없음)
중구 25동 25동(증설 없음)
서구 16동 17동(1개동 증설)
유성구 8동 8동(증설 없음)
대덕구 10동 11동(1개동 증설)
총 2개동 증설(5구 86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서구 가장동 가장동, 내동 분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25동 25동(증설 없음)
중구 25동 25동(증설 없음)
서구 17동 18동(1개동 증설)
유성구 8동 8동(증설 없음)
대덕구 11동 11동(증설 없음)
총 1개동 증설(5구 87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중구 선화1동~선화3동 선화동 합동
중구 대흥1동~대흥3동 대흥동 "
중구 문창1동, 문창2동 문창동 "
서구 갈마동 갈마1동, 갈마2동 분동
서구 월평1동 월평1동, 월평3동 "
서구 월평2동 월평2동, 만년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25동 25동(증설 없음)
중구 25동 20동(5개동 폐지)
서구 18동 21동(3개동 증설)
유성구 8동 8동(증설 없음)
대덕구 11동 11동(증설 없음)
총 3개동 증설, 5개동 폐지(5구 85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유성구 온천2동, 탄동 온천2동 합동
유성구 진잠1동, 진잠2동 진잠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25동 25동(증설 없음)
중구 20동 20동(증설 없음)
서구 21동 21동(증설 없음)
유성구 8동 6동(2개동 폐지)
대덕구 11동 11동(증설 없음)
총 2개동 폐지(5구 83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중구 은행동, 선화동 은행선화동 합동
중구 용두1동, 용두2동 용두동 "
중구 산성동, 산서동 산성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25동 25동(증설 없음)
중구 20동 17동(3개동 폐지)
서구 21동 21동(증설 없음)
유성구 6동 6동(증설 없음)
대덕구 11동 11동(증설 없음)
총 3개동 폐지(5구 80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동구 원동, 중동, 정동 중앙동 합동
동구 대1동, 신안동 대신동 "
동구 추동, 세천동 대청동 "
동구 대2동 대동 행정동명 변경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25동 21동(4개동 폐지)
중구 17동 17동(증설 없음)
서구 21동 21동(증설 없음)
유성구 6동 6동(증설 없음)
대덕구 11동 11동(증설 없음)
총 4개동 폐지(5구 76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유성구 온천2동 온천2동, 노은동 분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21동 21동(증설 없음)
중구 17동 17동(증설 없음)
서구 21동 21동(증설 없음)
유성구 6동 7동(1개동 증설)
대덕구 11동 11동(증설 없음)
총 1개동 증설(5구 77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서구 가수원동 가수원동, 관저동 분동
대덕구 회덕1동 회덕동 행정동명 변경
대덕구 회덕2동 송촌동, 비래동 분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21동 21동(증설 없음)
증구 17동 17동(증설 없음)
서구 21동 22동(1개동 증설)
유성구 7동 7동(증설 없음)
대덕구 11동 12동(1개동 증설)
총 2개동 증설(5구 79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서구 관저동 관저1동, 관저2동 분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21동 21동(증설 없음)
중구 17동 17동(증설 없음)
서구 22동 23동(1개동 증설)
유성구 7동 7동(증설 없음)
대덕구 12동 12동(증설 없음)
총 1개동 증설(5구 80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유성구 노은동 노은1동, 노은2동 분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21동 21동(증설 없음)
중구 17동 17동(증설 없음)
서구 23동 23동(증설 없음)
유성구 7동 8동(1개동 증설)
대덕구 12동 12동(증설 없음)
총 1개동 증설(5구 81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동구 중앙동, 소제동, 대신동 일부 중앙동 합동
동구 신흥동, 인동 신인동 "
동구 대신동 일부, 대동 대동 "
동구 성남1동, 성남2동 성남동 "
동구 삼성1동, 삼성2동 삼성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21동 16동(5개동 폐지)
중구 17동 17동(증설 없음)
서구 23동 23동(증설 없음)
유성구 8동 8동(증설 없음)
대덕구 12동 12동(증설 없음)
총 5개동 폐지(5구 76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서구 삼천동 둔산3동 행정동명 변경[104]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16동 16동(증설 없음)
중구 17동 17동(증설 없음)
서구 23동 23동(증설 없음)
유성구 8동 8동(증설 없음)
대덕구 12동 12동(증설 없음)
행정동 증설 없음(일부 행정동명만 변경) (5구 76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유성구 구즉동 구즉동, 관평테크노동 분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16동 16동(증설 없음)
중구 17동 17동(증설 없음)
서구 23동 23동(증설 없음)
유성구 8동 9동(1개동 증설)
대덕구 12동 12동(증설 없음)
총 1개동 증설(5구 77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유성구 관평테크노동 관평동 행정동명 변경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16동 16동(증설 없음)
중구 17동 17동(증설 없음)
서구 23동 23동(증설 없음)
유성구 9동 9동(증설 없음)
대덕구 12동 12동(증설 없음)
행정동 증설 없음(일부 행정동명만 변경) (5구 77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유성구 온천1동 온천1동, 원신흥동 분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16동 16동(증설 없음)
중구 17동 17동(증설 없음)
서구 23동 23동(증설 없음)
유성구 9동 10동(1개동 증설)
대덕구 12동 12동(증설 없음)
총 1개동 증설(5구 78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유성구 노은2동 노은2동, 노은3동 분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16동 16동(증설 없음)
중구 17동 17동(증설 없음)
서구 23동 23동(증설 없음)
유성구 10동 11동(1개동 증설)
대덕구 12동 12동(증설 없음)
총 1개동 증설(5구 79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유성구 온천1동, 원신흥동 일부 상대동 분동
유성구 온천1동, 진잠동 일부 학하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16동 16동(증설 없음)
중구 17동 17동(증설 없음)
서구 23동 23동(증설 없음)
유성구 11동 13동(2개동 증설)
대덕구 12동 12동(증설 없음)
총 2개동 증설(5구 81동)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서구 가수원동 가수원동, 도안동 분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동구 16동 16동(증설 없음)
중구 17동 17동(증설 없음)
서구 23동 24동(1개동 증설)
유성구 13동 13동(증설 없음)
대덕구 12동 12동(증설 없음)
총 1개동 증설(5구 82동)

15. 폐지된 행정구역(행정동 기준)[105][106]

동구
원동(1963.01.01~1998.12.13)
정동(1963.01.01~1998.12.13)
중동(1963.01.01~1998.12.13)
대1동(1970.07.01~1998.12.13)
대2동(1970.07.01~1998.12.13)[명]
신안동(1963.01.01~1998.12.13)
추동(1989.01.01~1998.12.13)
세천동(1989.01.01~1998.12.13)
성남1동(1970.07.01~2008.08.31)
성남2동(1970.07.01~2008.08.31)
삼성1동(1970.07.01~2008.08.31)
삼성2동(1970.07.01~2008.08.31)
소제동(1963.01.01~2008.08.31)
대신동(1998.12.14~2008.08.31)
신흥동(1963.01.01~2008.08.31)
인동(1963.01.01~2008.08.31)

중구
은행동(1963.01.01~1998.11.22)
선화1동(1968.09.01~1997.12.31)
선화2동(1968.09.01~1997.12.31)
선화3동(1970.07.01~1997.12.31)
선화동(1963.01.01~1968.08.31, 1998.01.01~1998.11.22)
대흥1동(1963.01.01~1997.12.31)
대흥2동(1963.01.01~1997.12.31)
대흥3동(1963.01.01~1997.12.31)
문창1동(1970.07.01~1997.12.31)
문창2동(1970.07.01~1997.12.31)
용두1동(1970.07.01~1998.11.22)
용두2동(1970.07.01~1998.11.22)
산서동(1989.01.01~1998.11.22)

서구
삼천동(1991.12.01~2009.04.30)[명]

유성구
진잠1동(1983.02.15~1998.10.25)[명]
진잠2동(1989.01.01~1998.10.25)[명]
탄동(1989.01.01~1998.10.25)

대덕구
회덕1동(1989.01.01~)[명]
회덕2동(1989.01.01~2003.01.31)

16. 대중문화 속의 대전

16.1. 대전광역시를 배경으로 하거나 촬영된 영화, 드라마

공동화현상으로 상대적으로 낙후된 중구와 동구의 원도심은 일제강점기의 근대건축물들과 대전시의 시세가 정점에 다다랐던 80~90년대의 건물들이 많이 남아있어 대한민국의 70~80년대를 비롯한 과거가 배경인 영화가 촬영되곤 한다.

철거후 재건축이라는 인위적인 재개발보단 보존과 특화를 고민해봐야할 대목이다. #

16.2. 대전광역시를 배경으로 하거나 관련된 웹툰


16.3. 대전광역시를 배경으로 하거나 관련된 소설

17. 자매결연 지역

18. 대전 출신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대전광역시 출신 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00ae4d>
대전광역시
관련 문서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ae4d><colcolor=#fff> 기관 대전광역시청 · 산하 기관
기초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 · 기초자치단체장( 1기 · 2기 · 3기 · 4기 · 5기 · 6기 · 7기) · 구청 · 기초자치의회
도로 도로 · 대로 · 대전광역시도
대중교통 대전권 광역전철 · 대전 도시철도 · 철도 · 버스 · 버스 터미널
주거 공동주택
교육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과학중점고 · 외국어고) · 각종학교 · 특수학교 · 대학교
시설 병원 · 공공도서관
환경 공원
기타 꿈돌이 }}}}}}}}}


20. 관련 문서


[1] 2023년 12월 기준 국토교통부 국토 면적 현황. [2] 전국 특별시•광역시 중에서 광주광역시 다음으로 면적이 가장 좁다. 참고로 특별시•광역시 중에서 면적이 가장 넓은 지역은 대구광역시이다. [3] 2024년 3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4] 2024년 2월 기준. [5] # 적용 환율. [6] # 적용 환율. [7] 지역구 18석, 비례대표 2석. [8] 지역구 1석, 비례대표 1석. [9] 장철민(), 박용갑(), 장종태( 서 갑), 박범계( 서 을), 조승래( 유성 갑), 황정아( 유성 을), 박정현( 대덕) [10] 박희조(), 서철모(), 최충규( 대덕). [11] 김제선(), 정용래( 유성) [12] 충청남도 계룡시 전역,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일부, 충청북도 청주시 현도면 일부 사용. [13] 세계지식재산기구(WIPO)가 발표한 '2022년 글로벌 혁신지수' 중 과학기술 집약도 부문에서는 전 세계 3위, 아시아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인구를 고려하지 않고 측정된 과학기술 클러스터 순위는 전 세계 20위이다. # [14] 대전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과학도시', '교육도시'의 이미지를 떠올리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 [15] 2024 QS 세계 대학 랭킹 - 교육하기 좋은 세계 도시 평가 TOP 100에서 73위를 기록했다. 참고로 TOP 100안에 랭크된 도시는 한국 내에서 서울과 대전이 유일하며, 서울은 3위이다. #. [16] 8개 차관급 외청(관세청, 조달청, 병무청, 산림청, 특허청, 통계청, 문화재청, 기상청)과 2개 1급 소속기관(국가기록원, 특허심판원)이 있으며 기타 다양한 소속기관이 있다. 자세한 사항은 정부대전청사 문서를 참조할 것. [17] 대덕연구개발특구, 정부대전청사 등 각종 정부 유관기관, 1993 대전 엑스포 등. [18] 성심당 창업주와 그의 가족들은 원래 함경도 출신으로, 6.25 전쟁 당시 흥남 철수로 월남한 뒤 서울에 정착하려고 서울역행 열차를 탔다가 열차 고장으로 대전역에 내리게 되고, 대흥동 성당의 신부의 도움으로 성심당을 차리게 되었다. [19] 대전의 대표적인 위성도시로는 세종특별자치시, 계룡시, 금산군, 옥천군이 있다. [20] 그럴 수밖에 없는 게 위에 나와있듯이 역사가 짧은 도시라 대전만의 독자성이 다른 대도시에 비해 부족하며, 더욱이 한국전쟁 당시에 대전의 중심지였던 대전역 일대가 폭격으로 인해 아무것도 남지 않게 되어 다른 근대 발 대도시들과 비교해도 대전은 특히 이런 인식이 강하다. 아무래도 한국에서 '지역색'이라는 것은 수도이자 국가의 표준으로서 기능하는 서울-수도권 지역과 차별화되는 요소를 뜻하는 경우가 많은데 애시당초 대전이 대표하는 충청도 지역이 한때는 수도권과 함께 기호지방으로 묶여서 불렸을만큼 수도권과 문화적 차이가 별로 없는 점도 한몫한다. [21] 또 다른 예는 대전광역시 공공자전거 서비스인 타슈. [22] 개요 문단에서 상술했듯 대전은 이거 가지고 시골에서 광역시까지 고속 성장한 지역이라 중요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23] 그렇기 때문에 공무원과 국가기관 근로자들과 군인들이 소비하고 사는 공무원 도시라는 별칭이 있다. [24] 1987년 전매청(현 KT&G)이 당시 대덕군 신탄진읍(현 대덕구)로 이전됐다. [25] 인수합병시에도 대전답지 않게 대전 시민들의 직접적 반대 여론이 어마어마해서 한동안 대전 지역 하나은행은 충청하나은행이란 이름을 사용하고 TV 광고도 때렸을 정도다. [26] 농협, 새마을금고, 신협, 수협, 산림조합. [27] 1987년 전매청 이전 당시 주소는 충청남도 대덕군 신탄진읍. [28] 대덕연구단지에 위치. [29] 2021년 기준 7조 3,514억 원 매출에 3,258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는 우량 기업이나, 법적으로는 중견기업으로 분류되어 있다. [30] 주요 생산 시설인 대전공장과 R&D시설인 테크노돔(중앙연구소), 생산기술연구소가 위치해 있다. [31] 차세대전략 유도무기, 누리호, 차세대 발사체 등을 연구하는 핵심 연구개발시설인 대전 R&D센터와 추진체와 전술무기 생산시설인 대전사업장이 위치해 있다. [32] 특히 경부축인 충북 옥천군. [33] 중구/동구는 일명 소상공인이나 시장 등 소매업이 주류인 반면 서구/유성구는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한 대규모 R&D 인프라와 외청급 중앙부처들이 밀집한 정부대전청사, 집중된 지방행정기관들을 중심으로 한 연구원/공무원 낙수효과로 경제력에서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 대덕구의 경우에는 KT&G 본사와 한국타이어 대전공장 등 대기업들이 모여 있지만 서구/유성구보다 경제력이 부족한 형편이다. [34] 대덕연구단지는 명칭과는 달리 대덕구가 아닌 유성구에 있지만, 대덕연구단지의 '대덕'은 현 대덕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대덕군을 의미하는 것이다. 대덕연구단지 일대의 조성 당시 행정구역은 대덕군 유성읍, 탄동면 및 구즉면이었다. [35] 출처 [36] 본래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동에 개관했다가 2020년 대전으로 이전하였다. [37] 일부 예외는 있다. 박물관 문서로. [38] 과기정통부. [39] 서울과학기술대. [40] 한경대 [41] 경남과학기술대. [42] 국군병원으로 민간인 이용이 제한되어 있다. [43] 대구 55%, 광주 50%, 울산 40%, 그리고 외지인이 많다는 부산조차도 본토박이 비율이 35%로, 30% 이하인 대전에 비해 높은 걸 알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토박이 항목 참조. [44] 예외적으로 부산의 경우엔 한국전쟁 당시 몰려온 피난민과 당시 임시 수도로서의 지위 때문에 고령층에선 타 지역 출신의 비율이 꽤 높은 편이다. 또한 고도성장 시기에 전라도 출신들이 서울 이외에도 부산으로 주로 향했기 때문에 중장년층 이상 세대부턴 전라도 출신 비율도 꽤나 높은 편이다. 다만, 부산은 55세 이상은 가야지 타지역 출신의 비율이 30%가 넘어가는 반면, 대전의 경우엔 25세 이상만 가도 타지역 출신의 비율이 30%가 넘어가며 이는 고령자층까지 쭉 유지된다. [45] 서울, 경기, 전북, 경상도 등에서의 인구 유입이 높다. [46] 대전 시민들이 이사를 가봤자 주로 세종시 쪽으로 빠져나가며, 주소지만 세종으로 해놓고 대전에서 계속 거주하는 경우나, 세종시로 갔어도 대전으로 출퇴근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점을 두고 세종시가 점점 대전의 베드타운으로 전락하는 것이 아니냐 하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47] 실제로 대전시 유성구 반석동에서 세종시를 다이렉트로 이어주는 큰 대로인 북유성대로를 퇴근시간대에 가보면 세종시에서 대전으로 들어오는 차선은 꽉 막혀 정체된 방면 대전에서 세종으로 가는 차선은 한적하다는 특징이 있다. 즉 서울을 감싼 주변 위성 신도시와 비슷한 상황으로 해석할 수 있다만 상황이 반대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직장이 세종시여도 아직 대전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이다. [48] 북 유성대로는 도로 한가운데 자전거 도로가 있고 그 도로 위로 태양열 발전기가 부착된 천장이 있는 것이 특징이며, 세종-대전을 이어주는 왕복 BRT 버스가 상시 운행중인 굉장히 유용한 도로이다. 이 덕분에 자가용 차량이 없을지언정 반석역에서 BRT를 타면 세종시외버스 터미널까지 근 10분이면 도착할 수 있다. 더군다나 향후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의 연장으로 반석역과 정부세종청사가 1호선으로 연결될 예정이니 향후 대전-세종-청주( 대세청)가 수도권처럼 하나의 광역권으로 묶일 가능성도 커졌다. [49] 비슷한 예시로, 서울의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수도권 인구 자체는 증가세인 것과 비슷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50] 이 영상에선 '기야'가 대전 사투리이고, '기여(겨)'가 서해안 쪽 사투리라고 나와있는데, 사실 '기야'는 '기여(겨)'의 표준어식(?) 표현이다. 아마 '~거여(겨)'를 표준어 '~거야'로 바꿔쓰기 시작했던 거랑 비슷한 맥락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은데, 대전 지역 토박이 어르신들은 현재까지도 '기여(겨)'라고 한다. 물론 당시의 대전 젊은 여성들을 중심으로 두드러지게 사용되던 표현이긴 하지만 현재는 30대 밑으로는 잘 쓰지 않는 표현이다. [51] 이는 비단 대전 뿐만이 아닌 충청도 대부분 지역의 젊은이들도 해당된다. 사실 요샌 표준어와 매체의 영향으로 지방 젊은이들 사이에서 사투리 사용률이 현저하게 낮아졌기 때문에 경상도처럼 억양이 확연하게 차이나는 지역이 아닌 이상 본인이 사투리를 사용한다는 생각을 못하는 경우가 많다. [52] 물론 본인이 사투리를 쓴다고 생각하는 대전 사람들도 많다. [53] 둔산동 탄방동을 포함한 서구 북부와 유성구 중북부 일대, 그중에서도 전민동 관평동은 대덕연구단지로 인해 서울 등 타지 출신의 거주민 비율이 높은 곳이다. [54] 물론 아예 안 쓰는 것은 아니며 개개인마다 다르긴 하다. 대전 토박이들이나 충청도 출신은 충청도 사투리를 사용하기도 하며, 전라도 출신은 전라도 사투리를, 경상도 출신은 경상도 사투리를 사용하는 등 서울과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55] 내동 도마동을 포함한 서구 중남부와 중구, 동구, 대덕구. (+ 진잠동 같은 유성구 남부) [56] 물론 사람들이 충청도 사투리하면 떠올리는 '~유'는 아니고, '~여', '~겨', '~려', '~겄~', '~댜', '~디' 같이 또래나 친한 사이에서 쓸 수 있는 어미 위주의 사투리이다. 다만, 이 역시 동부 출신이라도 사람마다 사용 빈도에 차이는 있다. [57] 물론 대전이 충청도에서도 남부에 있기 때문에 주로 논산이나 금산, 옥천 같은 충청도 남부 출신이 모였으며, 금산만 지나도 전라도가 나오고, 옥천이나 영동만 지나도 경상도가 나오는 등 지리적으로도 가깝고 교통의 요충지인 대전의 특성상 경상도와 전라도 출신의 유입도 꽤나 많았다. 특히 서부에는 전라도 출신이 주로 몰렸으며, 경상도 출신은 대전 전체에 골고루 퍼져있다. [58] 90년대 초까지만 하더라도 광주에 인구가 밀렸지만, 90년대 후반부터 광주의 인구를 추월했으며, 이후 격차가 약 7만까지 벌어졌을 정도다. [59] 사람들이 대개 수도권에서 사용하는 말은 모두 표준어인 줄 알지만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은 경기도 서울특별시 지역의 사투리를 표준어로 알고 쓰는 경우도 많다. [60] 이들 지역 이외에는 그래도 충청도 사투리의 대표격이라고 할 수 있는 '~여', '~겨', '~려', '~겄~' 등과 같은 사투리 어미의 사용률이 동부권에 비해 낮기는 하나 아예 안 쓰는 것은 아닌 듯하다. [61] 특히나 현대의 젊은이들은 아무리 사투리가 심한 사람이라도 공적인 자리에선 ' 공식 언어'를 사용한다. 아무래도 공교육에서 비공식 언어는 사적인 자리(가족, 친구 등)에선 사용이 가능하지만, 공적인 자리에선 표준어를 사용해야 된다고 교육받은 탓으로 보인다. [62] 참고로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시행한 곳은 당연히 서울 천호대로. [63] 이전 당시에는 공주군 반포면이었으나 이후 세종시가 신설되고 해당 지역이 세종에 편입되었다. [64] 이외에도 둔산신도시 부지에는 공군교육사령부, 육군정보통신학교, 제32보병사단 본부 등이 있었다. [65] 중앙동, 효동, 신인동, 판암1동, 판암2동, 용운동, 대동, 자양동, 가양1동, 가양2동, 용전동, 성남동, 홍도동, 삼성동, 대청동, 산내동. [66] 원동, 인동, 효동, 천동, 가오동, 신흥동, 판암동, 삼정동, 용운동, 대동, 자양동, 신안동, 소제동, 가양동, 용전동, 성남동, 홍도동, 삼성동, 정동, 중동, 추동, 비룡동, 주산동, 용계동, 마산동, 효평동, 직동, 세천동, 신상동, 신하동, 신성동, 사성동, 내탑동, 오동, 주촌동, 낭월동, 대별동, 이사동, 대성동, 장척동, 소호동, 구도동, 삼괴동, 상소동, 하소동. [67] 은행선화동, 목동, 중촌동, 대흥동, 문창동, 석교동, 대사동, 부사동, 용두동, 오류동, 태평1동, 태평2동, 유천1동, 유천2동, 문화1동, 문화2동, 산성동. [68] 은행동, 선화동, 목동, 중촌동, 대흥동, 문창동, 석교동, 호동, 옥계동, 대사동, 부사동, 용두동, 오류동, 태평동, 유천동, 문화동, 산성동, 사정동, 안영동, 무수동, 구완동, 침산동, 목달동, 정생동, 어남동, 금동. [69] 복수동, 도마1동, 도마2동, 정림동, 변동, 용문동, 탄방동, 괴정동, 가장동, 내동, 갈마1동, 갈마2동, 월평1동, 월평2동, 월평3동, 가수원동, 도안동, 관저1동, 관저2동, 기성동, 둔산1동, 둔산2동, 둔산3동, 만년동. [70] 복수동, 도마동, 변동, 정림동, 용문동, 탄방동, 괴정동, 가장동, 내동, 갈마동, 둔산동, 월평동, 가수원동, 도안동, 관저동, 흑석동, 매노동, 산직동, 장안동, 평촌동, 오동, 우명동, 원정동, 용촌동, 봉곡동, 괴곡동, 만년동. [71] 진잠동, 학하동, 상대동, 온천1동, 온천2동, 노은1동, 노은2동, 노은3동, 신성동, 전민동, 구즉동, 관평동, 원신흥동. [72] 원내동, 교촌동, 용계동, 학하동, 계산동, 성북동, 세동, 송정동, 방동, 봉명동, 구암동, 덕명동, 원신흥동, 상대동, 복용동, 장대동, 갑동, 노은동, 지족동, 죽동, 궁동, 어은동, 구성동, 신성동, 가정동, 도룡동, 장동, 방현동, 화암동, 덕진동, 하기동, 추목동, 자운동, 신봉동, 수남동, 안산동, 외삼동, 반석동, 문지동, 전민동, 원촌동, 탑립동, 용산동, 봉산동, 관평동, 송강동, 금고동, 대동, 금탄동, 신동, 둔곡동, 구룡동. [73] 오정동, 대화동, 회덕동, 비래동, 송촌동, 중리동, 신탄진동, 석봉동, 덕암동, 목상동, 법1동, 법2동. [74] 오정동, 대화동, 읍내동, 연축동, 신대동, 와동, 송촌동, 법동, 중리동, 비래동, 석봉동, 목상동, 문평동, 덕암동, 신일동, 상서동, 평촌동, 장동, 용호동, 이현동, 갈전동, 부수동, 황호동, 삼정동, 미호동, 신탄진동. [75] 구 및 휘하 행정동. [76] 원동, 소제동, 신안동, 대1동, 대2동, 신흥동, 인동, 효동, 판암동, 용운동, 자양동. [77] 중동, 정동, 삼성1동, 삼성2동, 성남1동, 성남2동, 가양동, 홍도동, 오정동. [78] 중촌동, 목동, 선화1~3동, 은행동, 대흥1~3동, 문창1동, 문창2동, 석교동, 부사동, 대사동. [79] 용두1동, 용두2동, 문화동, 오류동, 태평동, 유천동, 산성동, 도마동, 괴정동, 용문동, 갈마동. [동부출장소] 원동, 소제동, 신안동, 대1동, 대2동, 신흥동, 인동, 효동, 판암동, 용운동, 자양동. [북부출장소] 중동, 정동, 삼성1동, 삼성2동, 성남1동, 성남2동, 가양동, 홍도동, 오정동. [중부출장소] 중촌동, 목동, 선화1~3동, 은행동, 대흥1~3동, 문창1동, 문창2동, 석교동, 부사동, 대사동. [서부출장소] 용두1동, 용두2동, 문화동, 오류동, 태평동, 유천동, 산성동, 도마동, 괴정동, 용문동, 갈마동. [84] 가수원리, 관저리, 도안리. [85] 신성리, 도룡리, 화암리, 하기리, 가정리, 장동리, 덕진리, 방현리. [86] 전민리, 문지리, 원촌리. [87] 내동리, 교촌리, 대정리, 용계리, 학하리. [88] 원내동, 온천1동, 온천2동, 신성동, 전민동. [89] 유성출장소 지역도 일단은 포함되었음. [90] 복수동, 도마1동, 도마2동, 변동, 가장동, 괴정동, 용문동, 갈마동, 가수원동. [91] 사정동, 안영동을 산성동(행정동)에 환원. [92] 진잠면 남선리 제외, 남선리는 논산군 두마면으로 이관됨. [93] 진잠면 남선리 제외. [94] 이사리, 대별리, 낭월리, 구도리, 삼괴리, 하소리, 상소리, 장척리, 소호리. [95] 무수리, 구완리, 목달리, 정생리, 침산리, 어남리, 금동리. [96] 괴곡리 제외, 괴곡리는 동으로 전환되며 가수원동으로 바로 이관됨. [97] 방동리, 성북리, 세동리, 송정리. [98] 원내동, 온천1동, 온천2동, 신성동, 전민동. [99] 오정동, 대화동, 회덕1동, 회덕2동. [100] 실질월경지였던 장동리는 회덕동에 이관. [101] 신탄진동, 석봉동, 목상동, 덕암동. [102] 하기동 일부. [103] 추목동, 신봉동, 자운동. [104] 법정동 또한 둔산동으로 폐합. [105] 명칭변경이 된 경우는 명칭변경 전의 행정동의 연도도 포함하며, 각주로 [명] 이라 표시함. [106] 분동으로 폐지된 경우(예시: 성남동→성남1동, 성남2동)는 제외함. 그러나 선화동과 같은 형식의 역사(분동→합동→폐동)를 지닌 경우는 포함함. [명] [명] [명] [명] [명] [112] 대전 구단이 지난 2020년 영화 제작 초기 당시부터 제작진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고 하는데, 대전 구단과 ㈜옥토버시네마는 업무 제휴 협약을 맺고 구단에서는 구단 앰블럼, 유니폼, 소속 선수, 대전월드컵경기장 등 영화 제작 과정에서 대전 구단 홍보를 지원했다. [113] 사실 갓핑크에선 정확한 지명으로 언급된 지역이 거의 없다. 해당 지역에서 두드러지는 특정 장소나, 지리적 특징, 해당 지역 거주민들이 사용하는 언어( 사투리)를 기반으로 추측만 가능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