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26 22:10:10

대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cd5c5c> 구조 대뇌 뇌량 | 전두엽 ( 운동 피질 · 브로카 영역 ) | 두정엽 ( 감각 피질 ) | 측두엽 ( 해마 · 베르니케 영역 ) | 후두엽 | 둘레엽 | 뇌섬엽
사이뇌 송과선 | 시상 | 시상하부 | 시상밑부 | 시상상부
소뇌
뇌간 중뇌 | 교뇌 | 연수
기저핵 선조체 | 창백핵 | 흑질 | 시상밑핵
그 외 뇌실 | 뇌척수액 | 변연계 ( 편도체 · 해마 )
주요 신경전달물질 글루탐산 | GABA | 도파민 | 세로토닌 | 노르아드레날린 | 히스타민
이론 뇌가소성 | 브로드만 영역 }}}}}}}}}


1. 개요2. 좌반구와 우반구3. 대뇌피질4. 기타 기관5. 주름

1. 개요

, Cerebrum

두개골 안에 위치한다. 흔히 뇌하면 생각나는, 주름이 자글자글한 뇌 바깥쪽 부위. 전체 뇌 무게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가장 큰 부분으로서 좌우 두 개의 반구로 이루어져 있다. 대뇌는 부위에 따라서 대뇌겉질(대뇌피질), 대뇌속질, 대뇌핵 및 변연계로 구성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담당하는 역할은 지능, 학습, 판단이며 부위에 따라 각각의 기능이 다르다. 운동, 감각, 언어, 기억 및 고등 정신 기능뿐 아니라 생명 유지에 필요한 각성, 자율신경계 조절, 호르몬 생성, 항상성 유지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집단생활을 하는 동물일수록 대뇌가 크며, 집단의 크기가 클수록 역시 커진다.[1] 이걸 이용해서 어떤 종에 적합한 집단크기를 알아주는 방정식도 만들 수 있는데[2] 이에 따르면 인간에게 적합한 집단크기는 150명이라고 한다.[3] 1개 중대와 비슷한 숫자.[4][5]

2. 좌반구와 우반구

좌뇌와 우뇌는 각자 처리하는 정보가 나뉘어져 있다. 좌반구나 우반구 중 한쪽 뇌가 질병 등으로 인해 망가질 경우, 남은 한 뇌가 망가진 뇌의 정보까지 처리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를 뇌가소성이라고 한다. 의학 사례에 의하면 뇌종양으로 두뇌의 좌반구 혹은 우반구를 제거한 환자들 중 별다른 문제 없이 일상생활이 가능한 환자도 있었다고 알려져 있기는 한데 완벽할 수는 없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장애가 오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분리뇌 문서 참조.

언어를 배우기 전까지 우반구는 좌반구와 동등한 입장이라고 인지한다. 다만 언어를 배우고 논리적인 사고가 발달하면서 우반구는 언어와 논리를 담당하는 좌반구에게 관여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순순히 협력하게 된다. 이로서 좌반구가 의식의 주도권을 잡고, 우반구가 서포트하는 형식으로 서로 정보를 나누는 것으로 한 사람의 의식이 이뤄지게 된다. 다만, 우반구와 좌반구를 연결하는 뇌량이 끊어질 경우, 서로 정보를 나누지 못해 따로 따로 정보를 처리하여 우반구가 멋대로 인식하고 행동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관해서는 분리뇌 문서 참조. 이 정도가 심해지면 우반구가 컨트롤하는 왼손이 의지와는 관계없이 마음대로 행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증상을 외계인 손 증후군이라고 한다.

유타 대학에서는 1,000명이 넘는 실험자들을 연구하여 사람들이 한쪽 뇌를 다른 쪽 뇌보다 더 사용하는지 연구했다. 사람들은 특정 행동을 할 때 특정 부위의 뇌를 더 사용했다. 하지만 종합해서 평균을 내보면 사람들은 좌뇌와 우뇌를 비슷하게 사용하고 있었다.

실험을 지휘한 Jeff Anderson 박사는 이렇게 설명했다:
좌뇌와 우뇌는 함께 움직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말을 할 때 좌뇌만 쓰는 것은 아니다. 좌뇌는 문법, 단어 등 언어의 이성적인 면을 관장한다. 우뇌는 단어의 감정적 여파, 어감 등의 감성적인 측면을 관장한다. 따라서 좌뇌와 우뇌를 동시에 사용해야만 정상적인 언어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좌뇌와 우뇌는 협업을 목표로 하지 한 쪽이 다른 기능을 이기기 위해 경쟁하는 관계도 아니라고 한다.

이성적인 사람이 특별히 좌뇌를 더 사용하거나 감성적인 사람이 특별히 우뇌를 더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좌뇌우뇌 테스트 간단하게 본인이 어떤성향인지 테스트 해볼 수 있다.

3. 대뇌피질

파일:대뇌.png
大腦皮質 / cerebral cortex[7]

대뇌의 가장 표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기억, 집중, 사고, 언어, 각성 의식 등의 많은 기능을 수행한다.[8] 크게 넷으로 나뉘며, 위 이미지 파일 기준으로 파란색은 전두엽, 노란색은 두정엽, 초록색은 측두엽, 빨간색은 후두엽이다.

파일:뇌섬엽.png

4. 기타 기관

5. 주름

대뇌를 포함해 뇌는 구조상 주름이 져있는데 주름진 부분에서 올라온 곳을 이랑(gyrus), 움푹 패여 내려간 곳을 고랑(sulcus)이라고 한다. 예전 해부학의 용어에서는 이랑과 고랑은 각각 -회(回)와 -구(溝)로 표기되었다. 대뇌의 주름은 동일한 공간에서 더 많은 면적를 담기위한 훌륭한 구조이다.


[1] Dunbar, R. I. (1992). Neocortex size as a constraint on group size in primates. Journal of human evolution, 22(6), 469-493 [2] 이를 '던바의 수'라고 한다. [3] Dunbar, R. I. (2016). Why Humans Aren’t Just Great Apes. Issues in Ethnology and Anthropology, 3(3), 15-33 [4] 실제로 초기 농경사회에서의 마을사람 수를 비롯해 많은 공동체의 사람숫자가 150명 언저리라고 한다. [5] Dunbar, R. I. (1993). Coevolution of neocortical size, group size and language in humans.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16(4), 681-694. [6] 우반구가 관장하는 감각기관이 받아들인 신호를 재처리하는 능력의 수준이 사회성의 수준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우반구의 재처리 기능이 낮은 사람은 상대의 표정과 같은 반응을 제대로 해석하지 못하고, 해석하는 속도도 느리다. 또한 자신의 반응에 상대가 어떤 반응을 돌려줄지 예측하는 능력도 떨어진다. 이는 동작성 지능이 낮다는 말도 되고, 동작성 지능의 저하는 결국 사회성의 저하라는 결과를 부르게 된다. [7] 학술논문 참조. [8] 사실 대뇌에서 정보처리 하는 부분은 죄다 피질이고 속질은 그냥 각 피질간을 서로 연결해주는 역할만 하고 있을 뿐이다. [9] Ramachandran,'명령하는 뇌, 착각하는 뇌',박방주 역,알키,2012 [10] Blackmore,'Near-death experiences:in or out of the body?',<Skeptical inquirer>,16,1991년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