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10 13:40:59

녜웨이핑

{{{#!wiki style="margin:0px;margin-top:-10px;margin-bottom:-10px;padding:0px"
{{{#!wiki style="margin-left:10px; margin-right:-2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9,#3233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9,#323300> 파일:ESB-.png }}} {{{#!wiki style="padding: 0px; display: inline-table; margin-top: -5px;" <tablebordercolor=#fffff9,#3233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9,#323300>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회차 연도 우승 준우승 점수
1 1988~8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훈현 파일:중국 국기.svg 녜웨이핑 3-2
2 1992~9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봉수 파일:일본 국기.svg 오타케 히데오 3-2
3 199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창혁 파일:일본 국기.svg 요다 노리모토 3-1
4 2000~0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창호 파일:중국 국기.svg 창하오 3-1
5 2004~05 파일:중국 국기.svg 창하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철한 3-1
6 2008~0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철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창호 3-1
7 2012~13 파일:중국 국기.svg 판팅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환 3-1
8 2016 파일:중국 국기.svg 탕웨이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환 3-2
9 2020~2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파일:중국 국기.svg 셰커 2-0
* 우승 당시 三단이었으나, 중국기원의 규정에 따라 즉시 九단이 되었다. }}}}}}}}}

녜웨이핑
聶衛平[1] / Nie Weiping
파일:external/www.tygem.com/040514-niewp9cn.jpg
직업 바둑기사
소속 중국기원
생년월일 1952년 8월 17일 ([age(1952-08-17)]세)
국적
[[중국|]][[틀:국기|]][[틀:국기|]]
출신지 허베이성 선저우시
단급 九단

1. 개요2. 생애3. 여담4. 주요 기사들과의 상대 전적

[clearfix]

1. 개요

중국 바둑 기사. 1952년생으로 조훈현 九단과 1살 차이다. 이름의 한자 표기인 聶衛平을 한국어 독음으로 읽은 '섭위평'으로도 표기되는 경우도 많았다.

2. 생애

수학자인 아버지의 영향으로 어릴 때 동생과 함께 바둑을 두기 시작했다. 바둑 실력이 늘려면 초창기에 맞수가 있어야만 한다는 것이 정설인데, 녜웨이핑에게는 동생이 맞수였던 것. 동생이 녜웨이핑보다 기재는 뛰어났지만 끈기가 부족해서 나중에는 격차가 벌어졌고, 결국 동생은 다른 길을 걷게 되었다.

이후 중국에서 손꼽히는 청년 기재가 되어 천주더 등 중국 노국수들과 바둑을 연구하였으나 문화대혁명 이후 '바둑은 반동들이나 하는 비생산적 놀이'라는 인식 때문에 헤이룽장성에 있는 돼지 도살장에서 비참한 생활을 하게 되었다. 녜웨이핑의 바둑 인생 1부가 동생과의 맞대결이었다면 2부는 이 돼지 도살장에서의 생활. 훗날 중국의 1인자가 된 뒤 녜웨이핑 자신도 "헤이룽장성의 기억이 지금의 나를 만들었다"고 회상한 바 있다. 당시 일화를 소개하자면, 착실한 생활로 모범수로 자리 잡았던 녜웨이핑에게 동생이 일본의 바둑 사절단이 베이징을 방문한다는 소문을 전하자마자 바로 탈영, 베이징으로 한달음에 달려간 적도 있다. 그러나 이는 헛소문이었고, 복귀 후 모범수에서 다시 돼지 당번 강등 크리. 그러다 문화대혁명이 끝난 뒤 바둑에 대한 중국 정부의 인식이 달라져 다시 바둑을 두게 되었다.

여러 차례 열린 중일 슈퍼 대항전에서 중국 최종 주자로 나와서 남아 있는 일본 기사들을 모두 무찔러 '철의 수문장'이라는 별칭을 얻었으며 중국 정부로부터 기성 칭호까지 수여받았다. 당시가 녜웨이핑의 전성기로, 연승식 11연승을 기록했는데, 이 기록은 이창호 九단이 나타날 때까지 깨지지 않았다. 제1회(1984년 ~ 1985년)에는 당시 일본의 최강급 기사 셋이[2] 남아 "우리가 지면 삭발을 하고 일본에 돌아가겠다"고 강수를 두었으나, "세 분이 삭발하신 모습을 꼭 보고 싶다."라고 대꾸한 다음 모두 물리쳐서 삭발하게 만들기도 했다. 이 날은 아직까지도 일본 바둑계에서는 자신들 역사상 가장 치욕스런 흑역사로 회자되고 있다.

다만, 이때 녜웨이핑은 실력만큼이나 자만심도 컸다. 중국 국내 기전 결승전 당시 중간 봉수 시간에 기자가 '현재의 바둑 상황'을 묻자, "지금부터 내가 백으로 두면 백이 유리하고, 내가 흑으로 두면 흑이 유리하다"고 부심을 부리다가 결국 중국의 신예들에게 밀려 어느 날 문득 무관으로 전락하였다.

제1회 응씨배에서도 몸이 좋지 않아 산소호흡기를 달아 가면서[3] 조훈현을 2-1까지 몰아붙이는 데 성공했으나, 4국의 드라마틱한 반집 패배 후 5국을 허무하게 내주며 2-3으로 역전패. 이때의 충격이 컸던지, 아내 쿵샹밍과도 이혼하게 된다.

그 이후로도 한동안은 세계 최정상급 기량을 유지했지만, 세계 대회 타이틀을 획득하지는 못했다. 그 이후 세계 대회 최고 성적이라면 1990년 후지쯔배[4] 1995년 동양증권배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정도가 고작이었다.[5] 국내와 국제 대회 가리지 않고 우승 맛을 톡톡히 보던 조훈현과는 대조적. 그래도 중국기원 내에서는 그야말로 절대 권력자여서 그의 한마디에 중국 기원이 좌지우지되었을만큼, 현대 중국 바둑에서 그가 차지하는 위치는 대단하다고 할 수 있다.

중국 어린이들의 장래희망 조사에서 1위는 언제나 축구 선수, 2위는 프로 바둑 기사라고 하는데, 이것도 모두 녜웨이핑의 대활약 덕분이다. 현대 프로 바둑의 기틀을 잡은 것이 일본 기원이며 1980년대만 하더라도 세계 최강은 일본, 그보다 반점 정도 약한 것이 중국이었고, 한국은 듣보잡 취급이었음을 생각하면 일본 최강자였던 고바야시, 후지사와, 가토 등을 모두 때려잡은 녜웨이핑의 활약은 한국으로 치면 조훈현이 응씨배를 재패한 것에 비견할 만하다.

조훈현에게 밀린 이후, "나에게는 무서운 제자가 있다." 하며 호언장담했는데 그 제자는 바로 마샤오춘 창하오. 그들도 뛰어난 업적을 남긴 대단한 기사들이긴 하지만 누가 알았으랴. 조훈현에게는 그보다도 더 무서운 제자가 있었을 줄. 거기다 창하오는 그 제자도 아닌 유창혁의 경쟁자 정도로 평가받기도 했고.

3. 여담

4. 주요 기사들과의 상대 전적


[1] 한국어 독음은 섭위평. [2] 그 3명이 바로 고바야시 고이치, 후지사와 히데유키, 가토 마사오. 당시 고바야시 고이치는 조치훈에게 밀리는 감이 없잖아 있지만 당시로서는 일본 최강자였다. [3] 원래 심장 질환이 있어 산소호흡기를 자주 썼다고 산소호흡기 달아가면서 담배는 왜 피우는 겨 [4] 결승전에서 린하이펑 九단에 패배. [5] 이때 우승자는 하필 자신의 제자 마샤오춘이었다. 여담으로 이 대회에서 이창호는 녜웨이핑에게 완패를 당해 충격을 주었다. [6] 이창호 또한 두텁게 두는 편이라서 자신의 기풍하고 비슷하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7] 사실 조훈현도 한때는 둘째 가면 서러울 골초라고 전해졌으나, 이창호에게 점점 밀려나는 시점부터 금연에 착수, 어느 정도 재기하는 데 성공하긴 했다. 그리고 이세돌도 간간이 담배 쥐는 모습을 보이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