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13:08:23

권오원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bordercolor=#041e42><table bgcolor=#041e42>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롯데 자이언츠
2024 시즌
코칭스태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d00f31,#FC2352
1군
'''70 유재신 · 72 김민호 · 73 정상호 · 74 이재율
· 76 김민재 · 77 김광수 · 81 주형광 · 84 임훈
· 85 김주찬 · 86 조세범 · 88 김태형
· 90 고영민
· 93 백어진'''
2군
'''71 김평호 · 75 임경완 · 79 권오원 · 80 백용환
· 83 이병규 · 89 문규현 · 94 이성곤 · 99 김용희
'''
잔류군
82 나경민 · 87 조무근 · 92 김현욱 · 97 박정현
트레이닝 파트
78 이병국 · 김태현 · 이대승 · 임재호
· 엄정용 · 홍승현 · 김동혁 · 유승훈
· 조동관 · 김동환 · 유진혁
프런트코칭스태프 투수 포수 내야수 외야수 군입대선수 등록선수 육성선수 응원단
다른 KBO 리그 팀별 명단 둘러보기
}}}}}}}}}}}} ||
권오원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54번
황영구
(2001)
<colbgcolor=#228b22> 권오원
(2002)
최무영
(2003)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50번
최무영
(2002)
<colcolor=#074ca1> 권오원
(2003~2004)
김형근
(2005~2006)
김형근
(2005~2006)
권오원
(2007~2011)
우병걸
(2012)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90번
신희섭
(2011)
권오원
(2012~2022)
박찬도
(2023~)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79번
강민성
(2022)
권오원
(2023~)
현역
}}} ||
파일:2024 권오원 프로필.png
<colbgcolor=#041e42><colcolor=#fff> 롯데 자이언츠 No.79
권오원
權五元|Kwon Oh-Won
출생 1979년 8월 16일 ([age(1979-08-16)]세)
부산광역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연천초 - 사직중 - 부산상고 - 동아대[1]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98년 2차 7라운드 (전체 53번, 삼성)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2002~2011)
지도자 삼성 라이온즈 2군 트레이닝 코치 (2012)
요미우리 자이언츠 2군 트레이닝 코치 (2012)
삼성 라이온즈 2군 트레이닝 코치 (2012~2014)
삼성 라이온즈 1군 트레이닝 코치 (2015~2017)
삼성 라이온즈 2군 트레이닝 코치 (2018)
삼성 라이온즈 1군 트레이닝 코치 (2019)
삼성 라이온즈 2군 투수코치 (2020~2021)
삼성 라이온즈 1군 불펜코치 (2022)[2]
삼성 라이온즈 2군 투수코치 (2022)[3]
삼성 라이온즈 1군 불펜코치 (2022)[4]
삼성 라이온즈 2군 투수코치 (2022)[5]
롯데 자이언츠 잔류군 투수코치 (2023)
롯데 자이언츠 2군 불펜코치 (2024~)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04년 11월 18일~2006년 11월 17일)
본관 안동 권씨
1. 개요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2.2. 삼성 라이온즈 시절
3. 지도자 경력4. 연도별 주요 성적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야구 선수이자 現 롯데 자이언츠 1군 불펜코치.

현역 시절 별명은 봄오원[6], 권커브[7]. 참고로 2002년 한국시리즈에서 삼성 우승을 하던 시절에 목격되었다. 하지만 엔트리에 든 건 아니어서 우승반지를 끼진 못했다.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부산상고 시절 좌완투수 이혜천과 동기생이며, 동아대 (1998학번) 시절 우완투수 이정민과 동기생으로 대학 야구를 평정했다.

2.2. 삼성 라이온즈 시절

2002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해 중간계투로 활약한 선수. 상무 복무 시절 선발, 중간계투, 마무리를 오가는 전천후 투수 역할을 했고, 상무 제대 후인 2007 시즌 초반에 권혁- 권오준과 KKK 트리오[8]를 만든다며 삼성의 꽤 괜찮은 희망으로 떠올랐으나, 2008 시즌 초반에 선동열이 컨디션이 좋았던 권오원을 마구 굴리면서 시간이 지날 수록 구위가 떨어지며 결국 1군에서 말소됐다.

2009 시즌 중 어깨 수술을 받고 2011 시즌 복귀해, 2군 경기에 등판하였다. 그 동안 경기 등판을 못해서 경기 감각을 잃었는지 성적은 그럭저럭이었다.

당시 상무는 선수층이 얇다는 이유[9]로 투수를 꽤 혹사시키는 운영을 했는데, 제대하자마자 선동열까지 권오원을 굴리면서 상무 시절의 좋았던 구위를 부상으로 잃게 된 것이 봄오원이라고 불린 핵심 원인이었다. 어깨 부상이 고질이 되면서 결국 버틸 수 없게 된 것. 이로 인해 겪었던 재활로 인해 트레이닝 코치가 되었다는 것은 아이러니한 상황.

3. 지도자 경력

3.1. 삼성 라이온즈 시절

결국 2011년 9월 16일,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이후 2군 트레이닝코치로 잠깐 있다가 2012년 3월 9일, 요미우리 자이언츠 2군에 트레이닝 코치로 합류해 코치 연수를 받고 8월말 귀국했다. 1군에서 어느 정도 활약한 건 2년 정도고, 그나마도 통산 100이닝을 넘기지 못했던 걸 감안하면 상당히 운 좋은 케이스.

2020년에는 2군 투수 코치로 보직을 변경했는데, 삼성 2군의 투수 유망주들이 동시다발적으로 폭발하면서 정현욱, 황두성, 오치아이 에이지, 조규제와 함께 삼성 유망주 폭발의 일등공신으로 불리고 있다.

2022 시즌부터 1군 불펜코치를 맡는다. 하지만 불펜에서 준비를 안시키는지 올라오는 족족 실점하는 등 불펜진이 완전히 망가져버렸고, 현재 메인 투수코치 황두성과 함께 불펜 초토화 주범으로 욕을 먹고 있다. 그러다가 7월 10일 황두성 코치와 함께 1군에서 말소, 2군으로 내려갔다.[10]

이후 8월 1일 권오준 코치의 개인 사정으로 인해 조용히 1군에 등록되며 불펜코치로 잠시 복귀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후 8월 8일 다시 2군으로 돌아갔다.

2022 시즌 후 재계약 불가 통보를 받아 팀을 떠나게 되었다.

한편 삼성과 재계약에 실패한 후인 2022년 12월 3일 결혼식을 올렸다.

3.2. 롯데 자이언츠 시절

2023년부터 롯데 자이언츠의 코치로 활동한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보직은 잔류군 투수코치. 이로써 삼성이 아닌 다른 팀의 유니폼을 처음으로[11] 입게 됐고, 동시에 처음으로 고향 팀의 유니폼을 입어보게 되었다.

2024년부터는 1군 불펜코치를 맡는다. 하지만 삼성에서 불펜코치를 했을 때도 딱히 평가가 좋지 않았다 보니 권오원이 불펜코치를 맡는 것에 대해 팬들의 의견은 갈리는 편.

4. 연도별 주요 성적

역대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2002 삼성 4 5 0 0 0 0 0.00 8 2 2
2003 4 7⅓ 0 0 0 0 3.68 7 2 6
2004 1군 기록 없음
2005 군복무(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06
2007 24 26 4 1 0 4 4.85 26 15 16
2008 37 47⅓ 2 2 0 3 4.18 50 20 25
2009 3 2⅔ 0 1 0 0 3.38 2 5 2
2010 1군 기록 없음
2011
KBO 통산
(5시즌)
72 88⅓ 6 4 0 7 4.08 93 44 51

5. 관련 문서


[1] 1998학번. [2] ~7월 9일 [3] 7월 10일~7월 31일 [4] 8월 1일~8월 7일 [5] 8월 8일~ [6] 시즌 초인 봄에 반짝 활약하여 삼성 팬들을 기대하게 하고 여름부터 폭망. [7] 상무 전역 후인 2007년 초 팀내 최고의 커브를 가진 선수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같은 해 윤성환 정현욱이 복귀하면서 그대로 묻혔다. [8] 권오원이 셋 중 나이가 제일 많다. 하지만 인지도는 제일 떨어지고 본격적으로 1군에서 활약한 시기도 제일 늦다. [9] 선수를 뽑는다->부상으로 선수가 쉰다->남은 선수를 굴린다->굴린 선수는 부상을 입고 쉰다의 무한 반복이었다. 혹사에 대한 이해도도 상대적으로 낮은 시기였다. 결과적으로는 2010년대 중후반이 되어서야 상무에도 관리라는 게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느 정도의 혹사는 있는 상황 [10] 반대급부로 정현욱 2군 투수코치, 권오준 재활군 코치가 1군으로 올라와 각각 투수코치, 불펜코치를 맡는다고 한다. [11] 요미우리 자이언츠 코치 연수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