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ffc600><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틀:광주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광주광역시의 간선버스|간선 ]] [[틀:광주광역시의 지선버스|지선 ]] [[틀:광주광역시의 마을버스|마을 ]] [[틀:광주광역시의 수요응답형버스|수요응답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일곡10 | 수완12 | 선운14 | 지원15 | 매월16 |
진월17 | 문흥18 | 송정19 | 첨단22 | 첨단23 | |
지원25 | 매월26 | 봉선27 | 일곡28 | 송정29 | |
첨단30 | 송암31 | 금호36 | 봉선37 | 일곡38 | |
문흥39 | 지원45 | 금호46 | 송암47 | 운림50 | |
운림51 | 운림54 | 금남58 | 금남59 | 첨단95 | |
송정98 |
|
|
1. 노선 정보
광주광역시 간선버스 선운14번 | |||||
|
|||||
기점 | 광주광역시 광산구 박호동(송산유원지) | 종점 |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동(화정무등파크) | ||
종점행 | 첫차 | 05:40 | 기점행 | 첫차 | 06:15 |
막차 | 22:10 | 막차 | 22:55 | ||
평일배차 | 15~22분 | 주말배차 | 20~29분 | ||
운수사명 | 현대교통 | 인가대수 | 7대[1] | ||
노선 | 송산유원지 - 서봉마을 - 호남대학교 - 선운중학교 - 선운휴먼시아아파트 - 운수마을 - 광주무역회관 - 한국은행 - 한국국토정보공사 - ( ← 한국수자원공사 ←) - 대우디오빌[2] - 5.18기념공원 - 모아제일아파트 - 쌍촌현대아파트 - (→ 솔뫼타운 →) - 해태아파트 → 기아자동차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신세계백화점 → 화정무등파크(회차지점) → 해태아파트 → 쌍촌현대아파트 → 이후 역순 |
2. 개요
현대교통이 배차 중인 간선버스 노선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송산유원지 방향 라마다호텔 정류장이 저상버스를 탄 장애인 승객이 이용하기에 부적합하다는 기사가 나오면서 2019년 새 승차대를 설치하면서 위치를 대우디오빌 앞으로 이전했다. 그래서 정류장 이름도 '라마다호텔'에서 '대우디오빌'로 변경되었다.[3]
- 2019년 7월 24일부터 삼아교통이 철수하고 현대교통 단독 운행으로 바뀌었다. 차량은 송정19번에서 2대를 추가로 가져와 운행하며, 삼아교통 차량들은 운림50번으로 이동하였다. 이 과정에서 1대 감차되어 운행한다.
4. 특징
- 광주광역시 간선버스 중 운행거리가 제일 짧은 노선이다. 1탕 도는 데에만 총합 2시간을 넘기지 않는다. 총 주행거리가 35.7km로 어지간한 간선버스보다 더 짧은 편. 그러한 탓에 이 노선은 주로 고참급 기사가 운행을 전담한다. 하지만 상무지구하고 광주종합버스터미널 회차 구간이 교통정체가 심해서[4] 실제로 이 노선 승무원들 사이에서는 평이 의외로 좋지 않다.
- 송산유원지를 출발하여 호남대학교 앞을 거쳐 선운지구를 가로지른 후 운수나들목에서 무진대로를 이용한다. 이후 유덕1교차로에서 상무지구 방면으로 빠진다. 다만 상무지구에서 굴곡이 있는 편이며, 광주종합버스터미널과 신세계백화점을 끼고 루프 회차한다. 화정무등파크에서는 해태아파트로 바로 넘어간다. 즉 송산유원지 방향은 기아자동차, 광주종합버스터미널, 신세계백화점을 경유하지 않는다.[5][6]
- 광산우산동행정복지센터 정류소는 정차하지 않으며,[7] 광주무역회관 ~ 광주종합버스터미널은 송암68번이 더 빠르게 간다. 이 노선은 상무지구, 쌍촌동, 화정동 쪽으로 돌아간다. 그리고 이 광주무역회관 정류소 정차가 이 노선 입장으로는 매우 골치 아픈 곳이다. 왜냐하면 이 정류장을 정차하는 바람에 무진대로로 다이렉트로 갈 수 있는데도 정차를 위한 신호 대기 시간으로 소요시간이 증가하기 때문이다.[8] 이로 인해 비 선호 노선이 되고, 급행 기능이라는 말은 유야무야해졌다.
- 평일에 비해 주말 배차 간격이 다소 긴 편이다.
-
출퇴근 시간대에는 승객들을 꽤 많이 태우고 다니지만,
그 이외의 시간대에는 이용률이 많이 저조해 사람이 아예 안 타서 가는 경우도 많다.[9] 양산60번의 경우는 급행 기능에 어긋났을지라도 평일 배차 간격도 준수하고, 기존에 시내버스가 다니지 않았던 서강로(본촌교차로 ~ 예술고교차로 구간)를 운행하여 인근 아파트 주민들의 교통불편을 해소해 주었다. 또한 30번보다 훨씬 빠르게 양산동 - 유스퀘어를 연계함으로서 제 밥값은 톡톡히 하는 효자노선이다. 심지어 상무지구나 터미널에 갈 때는 오히려 일반도로만 경유하는 일곡38번이 더 빠르다는 말도 나올 정도로 배차가 잘 깨지는 일곡38번의 대체 노선 역할도 제대로 못 하고 있다. 무진대로를 타다가 중간에 광주무역회관을 잠시 정차하는데 시간을 까먹고, 상무지구를 뱅뱅 돈다는 등의 의견이 많다. 이 때문에 신설 초기에는 평일 기준 12~15분으로 다녔는데, 15~20분으로 늘어났고 현대교통의 무덤노선이 되었다.[10]
5. 연계 철도역
없음.
[1]
공휴일 6대.
[2]
이전에는 정류장 이름이 '라마다호텔'이었다.
[3]
사실 이는 이 노선이 신설되기 전에는
송암73번밖에 이 정류장을 경유하지 않았고, 73번은 지선이라서 저상버스가 투입되지 않아 그동안 문제가 되지 않았었다.
[4]
출퇴근 시간대에는
무진대로까지 정체가 극심하다.
[5]
금남58이
문화전당역에서 바로 출발하는것과 매우 유사하다.
[6]
그러니까 송산유원지에서 탑승하고 내리지 않고 송산유원지로 가는게 가능하다.
[7]
도로 구조상 정차가 불가능하다.
[8]
하지만 정차하지 않을 수도 없는게, 이 근처에 공•사기업 지사들이 깔려 있기 때문. KT, SKT, 국민연금공단, 근로복지공단, 건강보험공단, 산업은행 등… 상무지구를 도는 이유도 이 노선의 목적 자체가 선운지구-광산우산동•상무지구 업무공간 출퇴근용이고, 터미널 빨리 가려고 만든 노선은 아니기 때문. 터미널 쪽은 급행기능을 아예 생각 안 했다.
[9]
그러나 2022년 기준 이러한 모습은 거의 사라졌다. 현재는 그래도 수요가 있다. 다른 노선에 비해 안 타는 것은 여전하지만.
[10]
다만 극소수로 신차가 들어가고 있으며 블루시티가 넘어와서 차급이 털끝만큼이나마 향상되었다. 무역회관에서도
광주종합버스터미널을 가는 승객이
송암68번이 늦게 올 경우 대신 타는 대체 노선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