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7 10:51:57

광양시 시내버스

파일:광양시 CI.svg 광양시 교통체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철도 일반철도 광양역, 진상역
도로 고속도로 남해 · 순천완주
국도 2번 · 59번
지방도 58번 · 840번 · 861번 · 863번 · 865번
버스 시내버스 광양시 시내버스
순천 77, 777 · 여수 610
버스 터미널 광양터미널, 중마버스터미널, 섬진강휴게소
항구 광양항 }}}}}}}}}
전라남도의 교통
광양시 시내버스
Gwangyang City Bus
노선수 28개
업체수 1개
차량수 총량 60대
정규
(일반/저상)
57대
(31대 / 26대)
예비
(일반/저상)
3대
(3대 / 0대)
운행시간 05:40 ~ 22:40
운임제도 단일요금제
시계외요금제
환승할인제
운영제도 민영제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광양시 버스정보시스템
1. 개요2. 운임3. 운행지역4. 문제점
4.1. 심각한 굴곡 노선4.2. 운행시간, 배차4.3. 형식적인 저상버스 운행 (해결)
5. 노선
5.1. 광양읍 출발 노선5.2. 옥곡·하동 출발 노선(30번대)5.3. 중마동 출발 노선(80번대)5.4. 중마동 순환버스5.5. 광역시내버스5.6. 광양시 통과노선
5.6.1. 순천5.6.2. 여수
5.7. 폐선된 버스 목록
6. 여수-순천-광양-보성 광역버스정보시스템 구축사업7. 노선 개편
7.1. 2012년 1월 1일7.2. 2014년 2월 18일7.3. 2014년 3월 6일7.4. 2016년 5월 2일7.5. 2016년 8월 16일7.6. 2017년 11월 1일7.7. 2018년 1월 1일7.8. 2018년 3월 1일7.9. 2018년 6월 4일7.10. 2019년 10월 1일7.11. 2020년 1월 1일7.12. 2020년 3월 2일7.13. 2022년 7월 1일
8. 여담

1. 개요

파일:광양 270번 대우차량.jpg
파일:광양 991번 현대차량.jpg

전라남도 광양시와 그 주변을 운행하는 시내버스로, 광양교통에서 운영하고 있다.

2. 운임

2020년 9월 1일 이후로 시행되고 있는 운임은 다음과 같다. 옆동네인 순천시, 여수시와 같이 교통카드 이용시 100원이 할인된다.
구분 교통카드 현금
기본요금 성인 1,400원 1,500원
청소년 100원 1,200원
어린이 100원 750원
2018년 6월부터 순천시와 동일하게 초등학생 100원 버스가 시행되었다. 또한 990번과 991번의 구간요금이 폐지되었다. 이후 2019년부터 중·고등학생까지 100원 버스 대상이 확대되었다.[1] 이는 우리나라에서 좀처럼 보기 힘든 파격적인 요금이다.[2]

구간요금은 아래와 같다. 2019년 1월 1일부터 초·중·고등학생에 한해 18, 35, 35-1, 54번까지 구간요금이 폐지되어 전 구간 기본요금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구분 현금 카드
성인 청소년 어린이 성인 청소년·어린이
18번, 54번 광양읍↔하동 2,400원 1,900원 1,200원 2,300원 100원
18번, 54번 옥곡↔하동 1,900원 1,500원 950원 1,800원
18번, 54번 진상↔하동 1,700원 1,350원 850원 1,600원
35-1번 하동↔화개 1,700원 1,350원 850원 1,600원
54번 중마↔하동 1,900원 1,500원 950원 1,800원
990번 창덕↔순천[A] 1,900원 1,500원 1,000원 1,400원
990번 중마↔순천[A] 2,600원 2,000원 1,300원

하차시 교통카드를 태그한 후 60분 이내에 다른 버스로 환승할 경우 1회에 한해 무료환승이 가능하다. 같은 번호의 노선끼리는 환승이 인정되지 않는다. [5] 광양시 버스와 광양시로 들어오는 순천 버스 23, 77, 777번과 여수 버스 610번은 2018년 6월 1일부터 광역환승이 가능해졌다.

하동군 농어촌버스와 광역환승은 아직 불가능하다.
파일:20160915_145735.jpg
2016년 하반기 삼원FA 1세대에서 삼원FA LCD 신형단말기로 교체되었다.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에서 사용하고 있는 단말기와 동일한 기종이다.

여담으로 어린이용 교통카드는 "반갑습니다."라는 멘트가 나오며 밝은 목소리로 말하는데, 청소년용 교통카드는 낮은 목소리로 "고맙습니다."라는 멘트가 나온다.[6]

이용 가능한 선불 교통카드: 캐시비, 티머니, 한페이, 레일플러스
마이비카드는 2022년 4월 1일 사용이 중단되었다.

3. 운행지역

4. 문제점

4.1. 심각한 굴곡 노선

한 노선으로 이곳 저곳을 한번에 경유하는 방식으로 운행을 계속하고 있다.

사실 인구 15만의 도시에서 간선버스 마을버스를 굴리기에는 쉽지 않다. 하지만, 자칭 "광역시내버스"라고 자랑하는 시내버스들도 간선이 아닌, 일일이 경유하는 지선버스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 극치를 보여주는 것이 87번과 88번. 도시 구조상의 문제로 인해 태인동 > 제철 > 중동 > 마동을 직선으로 잇지 못하고 노선을 빙빙 돌게 설정해 두었다. 심지어는, 태인동 > 제철 > 중동 구간과 중동 > 마동 내부를 운행하는 구간과 수요가 틀린 모습을 보여주는데 [11] 한번에 중형버스나 카운티도 아닌 대형버스로 운행하고 있다. 노선분리와 차량분리가 어느정도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한번에 잇기" 에만 치중하는 모습이다.

'자칭' 광역버스라는 990도 심각하다. 과거 99번 시절보다는 중마동 구간이 간선화되고, 이를 보완하는 중마동 순환버스가 신설되었으나, 광양읍이나 순천으로 향하는 노선을 보면 여전히 굴곡 노선을 보여준다. 광양읍내 지역은 이미 순천 버스 77번이 엄청난 수요를 담당하고 있으나, 990번도 이를 중복하여 다니고 있다. 중마동 지역 주민들만 이용하기 어려워지고, 광양읍 지역은 그냥 그런데로 다니고 있다.

광양읍 지역과 중마동 지역의 인구와 교통망이 분리됨에도 불구하고 동광양지역에서 순천을 바로 잇는 시내버스는 990, 991번이 유일하다. 이외에는 단지 배차간격이 좀 뜸한 시외버스나 제한적인 사람들만이 탈 수 있는 포스코 통근버스만이 있다.

4.2. 운행시간, 배차

시내지역을 제외한 지역의 배차가 농어촌버스 수준이다. 시 단위지만 인구가 15만 정도로 비교적 적기 때문에 다른 도시에 비해 첫차는 늦고, 막차는 빠른 편에 속한다.

36번은 1일 2회 운행하며, 광양 최외곽인 다압면으로 가는 15번 버스는 배차간격이 평일 360분(일 3회), 주말 730분(일 2회)이다.[12] 이렇게 운행하는데도 여느 버스회사와 마찬가지로 적자가 수십억에 달하며, 매년 시에서 수십억의 보조금을 지원받아 운영되고 있다. [13] 사실상 광양시 시내버스 배차간격이 광양시민 자가용 보급에 지대한 공헌을 하고 있는 셈이며, 광양시도 이를 인지하고 있는지 벽지노선/비수익노선의 폐지나 연장으로 적자를 최소화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하나 계속해서 지켜봐야 할 일이다.

이는, 광양읍 시민들은 주로 순천시로 출퇴근을 많이 하고 이것을 순천시 최고 빗자루 노선이 깔고 가기 때문이다. 광양제철소로 통근하는 포스코나 협력업체 직원들은 자체적으로 통근버스를 제철소 앞까지 직통으로 운행하기 때문에 시내버스의 중요성은 많이 떨어진다. 게다가 광양시는 광양읍, 중마동, 광영동, 금호동 등으로 시가지가 분산되어 있고 그 사이 사이의 지역은 인구가 정말 적은 지역이기 때문에 시가지 전체를 아우르는 노선을 계획하기가 상당히 힘들다. 결국 노선이 분산될 수밖에 없고 이는 배차간격이 벌어지는 결과로 이어진다. 물론 정말 운행횟수가 극히 적은 경우는 다 농촌 지역을 잇는 노선들이고, 시가지만 전문으로 도는 노선은 그나마 배차간격이 나은 편이다.

시내지역의 배차수준은 그래도 준수한 편으로 광영 ~ 중마동 ~ 금호동 ~ 태인동 지역을 운행하는 87-88번과, 중마동 ~ 광양읍 ~ 순천을 잇는 990-991번, 중마동 순환버스인 1000-1001번 모두 15~20분으로 배차가 설정되어 있다. 중마동에서 990번이 6시 정각에 첫차가 있고, 대다수의 노선이 오후 9~10시를 전후로 영업이 끝나고 중마동 순환버스 1000번 막차가 22시 40분에 있어 이 노선이 중마동 일대 심야버스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외에 노선들은 배차 간격이 그나마 짧은게 기본 한시간 이상이며, 그 이상인 경우도 있다.

4.3. 형식적인 저상버스 운행 (해결)

저상버스 운행이 형식적이라는 비판이 있었다. 광양시민신문 실제로 광양시의 경우 인근 지역인 여수시와 순천시보다 저상버스 인가대수와 운행횟수가 월등히 적었으며, 배차간격도 기본 한시간에 과거에는 천연가스를 충전하러 충전소로 가는 시간 때문에 9번 노선 같은 경우 배차간격이 2시간까지 벌어지는 일도 있었으나 2020년 노선개편으로 그나마 평균 1시간으로 줄게 되었다.

2020년 하반기부터 고상차량을 저상으로 대차하거나 신규 도입하며 저상버스를 자주 볼 수 있게 되었다. 이 기간동안 990번과 991번 차량 16대가 모두 저상차량으로 변경되었으며, 이 외에도 시내노선인 87, 88, 1000, 1001번에도 저상버스가 추가 투입되었다. 또한 2023년 하반기에는 중형 저상차량인 현대 일렉시티 타운이 도입되면서 읍면노선 일부에도 저상버스가 투입되게 되었다.

5. 노선

대다수의 노선이 광양농협을 경유하며 1번경유, 2번경유와 같이 여러 경유지로 나뉘어 있다. 그래서 아래 항목의 표에 달려 있는 각주만 봐도 노선의 운행 계통이 복잡함을 알 수 있다. [14] 아래 노선도는 광양시 버스정보시스템 기준으로 작성. 또 하나의 특징으로 첫차, 막차 시간대에 회송을 겸할 목적으로 광양교통 차고지까지 연장되는 노선이 많다.
{{{#!wiki style="margin:-10px auto" <tablewidth=31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65096> }}}
폐선 노선 목록

5.1. 광양읍 출발 노선

번호 기점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비고
2 광양교통 시외터미널 · 광양역 · 세풍초 신두 1일 13회[15]
3 송보7차A 창덕1·2차A · 광양5일장 · 읍사무소 · 대림아파트 · LF스퀘어 현대스틸 1일 4회
6 점동 임기 · 사곡 · 광양5일장 광양여고 1일 1회 [첫차][저상]
매천역사공원 석사 · 실내체육관 · 노인복지관 · 사곡 · 점동 임기 1일 2회
7 매천역사공원 석사 · 실내체육관 · 노인복지관 · 사곡 대실 1일 2회
9 광양교통 백운마트 · 노인복지관 · 영세공원 · 시청 · 중마터미널 · 제철2문 궁기 1일 1회 [첫차][평일][저상]
궁기 용지 · 제철2문 · 몰오브광양 · 송죽아파트 · 중마터미널 · 시청 · 영세공원 · 광양5일시장 · 실내체육관 · 대림아파트 · LF스퀘어 보건대 [첫차][평일][저상]
광양교통 백운마트 · 노인복지관 · 영세공원 · 시청 중마터미널 1일 21회[24] [첫시1][저상]
보건대 LF스퀘어 · 대림아파트 · 실내체육관 ·노인복지관 · 창덕1·2차A · 영세공원 · 백운고 · 광양의봄A · 중마주공A · 사랑병원 중마터미널 [저상]
11-2 광양교통 노인복지관 · 영세공원 · 시청 · 중마터미널 · 송죽아파트 · 몰오브광양 · 제철2문 · 용지 · 궁기 망덕포구 1일 8회 [28][저상]
12 광양교통 노인복지관 · 창덕1·2차A · 영세공원 · 선유리 · 옥곡 · 신금 · 의암 · 광영시장 광영부영A 1일 17회[30] [31]
15 광양교통 노인복지관 · 영세공원 · 시청 · 중마터미널 · 광영시장 · 옥곡 · 진상 · 탄치 · 신원로터리 · 섬진 · 항동 하천리 1일 3회[32]
18 광양교통 노인복지관 · 창덕1·2차A · 송보7차A · 영세공원 · 선유리 · 옥곡 · 진상 · 탄치 · 신원로터리 하동터미널 1일 7회[33] [34]
광양교통 노인복지관 · 영세공원 · 선유리 · 옥곡 진상 1일 1회 [막차]
20 광양교통 읍사무소 · 시외터미널 · 백운마트 · 광양교통 · 신기 · 봉강 · 마시 · 신촌 하조 1일 16회[36]
21 광양교통 읍사무소 · 시외터미널 · 산본 · 옥동 · 옥룡 · 추동 백운산휴양림 1일 4회
21-3 광양교통 읍사무소 · 시외터미널 · 산본 · 옥동 · 옥룡 · (추동) · 진틀 논실 1일 15회[37] [38]
23 광양교통 노인복지관 · 초남공단 · 황방 · 도이동 ·골약동주민센터 · 사랑병원 중마터미널 1일 11회[39] [40]
54 광양교통 노인복지관 · 영세공원 · 선유리 · 옥곡 · 진상 · 탄치 신원로터리 1일 1회 [첫차]
신원로터리 섬진강휴게소 · 진월 · 차사 · 진상 · 옥곡 · 광영시장 · 중마터미널 · 사랑병원 · 영세공원 · 광양5일시장 광양교통 [첫차]
광양교통 노인복지관 · 영세공원 · 선유리 · 옥곡 · 진상 · 탄치 · 신원로터리 하동터미널 1일 15회 [2회차]
광양교통 노인복지관 · 영세공원 · 사랑병원 · 중마터미널 · 광영시장 · 옥곡 · 진상 · 차사 · 진월 · 섬진강휴게소 · 신원로터리 하동터미널

5.2. 옥곡·하동 출발 노선(30번대)

번호 기점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비고
30 광양교통[44]/옥곡 (노인복지관 · 영세공원 · 선유리) · 옥곡 · 진상 · 죽전 회두/내회[45] 1일 8회[46] [47] [48]
31 광양교통[49]/옥곡 (노인복지관 · 영세공원 · 선유리) · 옥곡 · (대죽/용곡) 매남 1일 7회 [50]
32 광양교통[51]/옥곡 (노인복지관 · 영세공원 · 선유리) · 옥곡 · 명주 · 점터 · 삼존 · 사자목 묵백 1일 4회
33 옥곡 진상 · 탄치 웅동 1일 3회
35 광양교통 노인복지관 · 영세공원 · 선유리 · 옥곡 · 진상 · 탄치 · 신원로터리 · 섬진 · 항동 · 하천리 화개터미널 1일 1회
35-1 하동터미널 신원로터리 · 섬진 · (동동) · 항동 · 하천리 화개터미널 1일 6회 [52]
36 옥곡 삼정 · 중산 · 선포 망덕 1일 2회

5.3. 중마동 출발 노선(80번대)

번호 기점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비고
87 광양교통 노인복지관 · 창덕1·2차A · 영세공원 · 시청 · 중마터미널 · 제철1문 제철복지관 1일 1회 [첫차][54][저상]
중마터미널 광영시장 · 광영고 · 중마고 · 백운고 · 중마주공A · 사랑병원 · 중마터미널 · 송죽아파트 · 몰오브광양 · 백운쇼핑 제철복지관 1일 24회[56] [57][58][저상]
88 광양교통 노인복지관 · 영세공원 · 시청 · 중마터미널 · 제철2문 궁기 1일 3회[60] [첫시2][62][저상]
중마터미널 광영시장 · 광영고 · 중마고 · 백운고 · 중마주공A · 사랑병원 · 중마터미널 · 송죽아파트 · 몰오브광양 · 백운쇼핑 · 제철2문 ­· 용지 궁기 1일 17회[64] [65][66][저상]

5.4. 중마동 순환버스

번호 기점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비고
1000
1001
중마터미널 길호상가 · 성황동 · 주공2차A · 서울병원 · 중마고 · 광양의봄A · 중마주공A 중마터미널 1000번 1일 53회
1001번 1일 48회
[68][저상]

5.5. 광역시내버스

번호 기점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비고
270 광양교통 칠성아파트 · 노인복지관 · 영세공원 · 사랑병원 · 이순신대교 · 묘도 · 여천공단 · 여천역 여수시청 1일 5회
990
991
중마터미널 사랑병원 · 영세공원 · 창덕1·2차A · 광양5일시장 · 읍사무소 · 대림아파트 · 조곡삼거리 · 순천터미널 · 순천대 · 제일고 · 압곡 · 실내체육관 · 노인복지관 · 창덕1·2차A 송보7차A 각 1일 47회 [70][71][저상]

5.6. 광양시 통과노선

5.6.1. 순천

번호 기점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비고
23 제일고 순천예술회관 · 순천시청 · 순천터미널 · 순천역 · 팔마운동장 · 해룡 · 신대 세풍초 1일 8회 [73]
77 제일고 순천대 · 순천터미널 · 순천역 · 조곡삼거리 · LF스퀘어 · 읍사무소 광양터미널 7~10분
777 청암대 제일대 · 남산중 · 명말 · 팔마경기장 · 왕조 · LF스퀘어 · 읍사무소 광양터미널 1일 30회[74]

5.6.2. 여수

번호 기점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비고
610 둔덕 여수터미널 · 중앙여고 · 여수경찰서 · 웅천 · 쌍봉사거리 · 여천역 · 여천공단 · 묘도 · 이순신대교 광양시청 1일 5회

5.7. 폐선된 버스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광양시 시내버스/폐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여수-순천-광양-보성 광역버스정보시스템 구축사업

2017년 4월 21일부터 4월 23일까지 광양시에서 광역버스정보시스템( BIS) 전환작업을 시행하여 모두 마친 상태이나 아직은 안정화 작업이 조금 더 필요한 상태이다. 이 작업으로 이전에 버스 내부 LED전광판에 특정 정류장(특히 노선개편으로 한글만 송출했던 정류장) 이름 영어 표기가 안 됐던 문제가 해결됐으며 LED전광판 정류장 표기 글자 색상이 순천시와 같은 색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순천시처럼 한글로 정류장 송출을 먼저 한 다음 영어로 정류장을 송출하는 방식으로 변경됐으나 오류가 발생한건지 한글 송출이 끝나고 영어송출이 되어야 하는데 'This stop'까지는 표시되나 다음이 'Next Stop'으로 표시되지 않고 '▷이번정류장◁'이 표출되고 정류장 안내에 일부 오타가 있었다. 이는 2018년 8월 현재 99번, 99-1번 단일요금제 시행안내 표출 업데이트와 함께 고친 모양인지 두 문제 모두 해결된 상태이다. 이후 노후된 버스정보시스템 안내기기가 설치된 정류장들을 대상으로 신형 안내기기로 교체하였다.

7. 노선 개편

7.1. 2012년 1월 1일

폐지 3건(6번, 21번, 31번), 운행횟수 축소 3건(11번, 20번, 32번), 구간변경 11건(3번, 5번, 10번, 12번, 13번, 17번, 22번, 89번, 99번, 99-1번, 999번), 노선분리 1건(34번), 신설 1건(31)

7.2. 2014년 2월 18일

5번 → 15회에서 17회로 증회
10번 → 신설
12번 → 8회에서 16회로 증회
23번, 54번 → 중마동 순환구간 폐지
27-2번 → 폐선
87번 → 신설
99번, 99-1번 → 출퇴근시간대 3회 증회, 막차 30분 연장

시내버스 번호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출발지 기준으로 광양읍은 1~29번, 옥곡면은 30~39번, 중마동은 50~59번으로 노선체계가 변경되었고, 개편에 맞춰 광양교통에서 싸인텔레콤사의 LED행선판을 구입하여 시내버스 전 차량에 설치하여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7.3. 2014년 3월 6일

내용 노선수 해당노선
폐선 1개 51번
신설 1개 86번

7.4. 2016년 5월 2일

내용 노선수 해당노선
폐선 6개 10, 11, 21-1, 21-2, 55, 87번
신설 2개 3, 34번

7.5. 2016년 8월 16일

7.6. 2017년 11월 1일

7.7. 2018년 1월 1일

내용 노선수 해당노선
폐선 2개 1, 5번
신설 1개 270번
변경 6개 9, 11-1, 11-2, 23, 54, 88번
증회 3개 9, 32, 88번
감회 4개 11-1, 12, 17, 21번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와 접근성 향상, 시민의 교통편익 증진을 이유로 아래와 같이 개편을 실시했다.

이번 개편을 통해 주요 벽지노선에 대한 감회와 폐지가 이루어졌고 폐선된 노선들의 차량은 증회되는 노선들로 이동되었다. 88번과 같이 광영동 주민들이나 학생수요가 매우 많은 노선들에는 아낌없이 증회가 이루어졌고 이로인해 광영동 일대 교통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같은 광영동 일대를 운행하는 12번 같은 경우에는 수요가 매우 저조한 관계로 1일 9회로 감회되었다. 이번 개편으로 사측의 경영개선과 시의 재정지원금 절감, 시민들의 대중교통 이용이 더욱 활성화 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7.8. 2018년 3월 1일

내용 노선수 해당노선
변경 3개 23, 32, 54번
증회 4개 11-1, 11-2, 12, 17번
감회 2개 9, 88번

광역교통망 시행에 따른 일부 주민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아 불필요하게 감차된 노선을 조정하는 차원에서 개편이 이루어졌다.

7.9. 2018년 6월 4일

7.10. 2019년 10월 1일

7.11. 2020년 1월 1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0년 광양 시내버스 개편 문서
2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내용 노선수 해당노선
폐선 5개 11-1, 17, 52, 53, 86번
신설 3개 87, 1000, 1001번
변경 21개 2, 21, 35, 36, 87, 270, 1000, 1001번을 제외한 모든 노선

7.12. 2020년 3월 2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0년 광양 시내버스 개편 문서
3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내용 노선수 해당노선
폐선 1개 34번
변경 7개 12, 23, 35-1, 54, 87, 1000, 1001번
증회 4개 11-2, 31, 32, 88번
감회 1개 87번

7.13. 2022년 7월 1일

내용 노선수 해당노선
변경 7개 11-2, 15, 54, 87, 88, 1000, 1001번
증회 1개 88번
감회 1개 87번

8. 여담



[1] 교통카드 사용시에만 해당. 버스회사는 적자인데 얼마를 퍼줄라고 [2] 광양시보다 청소년 버스 요금이 저렴한 곳이 있는데, 이쪽은 교통카드 사용 시 요금이 50원이다. [A] 991번도 동일 [A] [5] 단, 노선번호가 같더라도 전산에 다른 번호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환승이 가능할 수도 있다. [6] 부산, 광주 버스 기준으로 어린이는 "안녕하세요.", 청소년은 "반갑습니다."라는 멘트가 나오며 부산 기준으로 낮은 목소리로 "고맙습니다."라는 멘트는 국가유공자나 상이군경 전용 카드를 태그했을 때 나오는 멘트이다. 광주 버스는 국가유공자나 상이군경 전용 카드를 대면 일반 멘트와 동일한 "감사합니다."라는 평범한 멘트가 나오며 낮은 목소리로 "고맙습니다."라는 멘트는 나오지 않는다. [7] 990, 991번 [8] 270번 [9] 15, 35, 35-1번의 하천리 정류장이 구례군에 위치해있다. [10] 18, 35, 35-1, 54번 [11] 태인 > 제철 > 중동까지는 비어가다가, 사랑병원 정류장에서 많이 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12] 다압면은 하동 생활권이라 하동으로 가는 버스가 더 자주 다닌다. [13] 2018년 한해에만 41억의 보조금 지급하였다. [14] 이게 다 광양시의 기형적인 도시구조로 인해 나타난 결과이다. 광양시 문서 참조. [15] 휴일 10회 운행 [첫차] [저상] [첫차] [평일] 평일에만 운행 [저상] 저상버스 운행 [첫차] [평일] [저상] [24] 휴일 15회 운행 [첫시1] 평일 2회차, 휴일 첫차 [저상] [저상] [28] 종점행 막차는 장미아파트 종착, 평일 6회차는 광양고 출발, 기점행 7,8,9회차는 중마터미널 출발 [저상] [30] 휴일 8회 운행 [31] 평일 첫차·막차는 창덕아파트 미경유, 평일 첫차는 광양고 종착, 평일 막차는 광양고 출발 광영부영A 종착 [32] 휴일 2회차 미운행 [33] 휴일 5회 운행 [34] 평일 첫차는 창덕아파트 미경유. [막차] [36] 휴일 10회 운행 [37] 휴일 12회 운행 [38] 평일 3,5,9,13회차, 휴일 3,9,11회차 휴양림 경유 [39] 휴일 8회 운행 [40] 평일 1,2,3,5,7,9,11회차, 휴일 1,4,7회차 황곡 경유 [첫차] [첫차] [2회차] [44] 종점행 첫차, 기점행 막차 [45] 2,5회차 [46] 휴일 7회 운행 [47] 평일 3,4회차 종점행, 2,3회차 기점행 구황마을삼거리 경유 [48] 기점행 1회차 웅동마을 경유 [49] 종점행 첫차 [50] 종점행 1,5회차 용곡 경유 [51] 기점행 막차 [52] 종점행 4회차와 기점행 1회차는 동동 경유 [첫차] [54] 휴일은 창덕아파트 미경유. [저상] [56] 휴일 18회 운행 [57] 종점행 2~4회차는 광양교통 → 옥곡 → 광영 → 백운고 → 사랑병원 → 제철 코스로 운행 [58] 평일 종점행 5~7회차는 광영부영아파트 출발, 평일 기점행 1~3,23회차는 광영부영아파트 종착 [저상] [60] 휴일 1회 운행 [첫시2] 평일 1~3회차, 휴일 1회차 [62] 평일 3회차는 창덕아파트 경유. [저상] [64] 휴일 15회 운행 [65] 평일 4~5회차, 휴일 2,3회차는 광양교통 → 옥곡 → 광영 → 백운고 → 사랑병원 → 제철 → 궁기 코스로 운행 [66] 평일 종점행 6,7회차는 광영부영아파트 출발, 평일 기점행 1,2회차는 광영부영아파트 종착 [저상] [68] 시계방향이 1000번, 반시계방향이 1001번 [저상] [70] 중마동 → 순천 → 광양이 990번, 광양 → 순천 → 중마동이 991번 [71] 991번 46,47회차는 백운고 경유 [저상] [73] 77번·777번과는 달리 광양시 버스정보시스템 홈페이지에서 조회가 불가능하다. [74] 휴일 17회 운행 [75] 30번, 35번, 35-1번 제외 [76] 순천과 구분하기 위해 변경됐던 걸로 추정된다. [77] 1대는 2015년까지 남아있었다. (글로벌900 전비형 8000호)무려 LED도 장착했었다. 바로 이 버스다. [78] 색상은 다르고 전체적으로 비슷하지만 그림이 다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6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6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