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교육부 소속 국가공무원인 교사 | ||||
유치원 | 유아교사 | ||||
초등학교 | 초등교사 | ||||
중등학교 | 국어교사 | 영어교사 | 불어교사 | 독어교사 | |
일본어교사 | 중국어교사 | 한문교사 | 윤리교사 | ||
지리교사 | 역사교사 | 일반사회교사 | 과학교사 | ||
물리교사 | 화학교사 | 생물교사 | 지구과학교사 | ||
수학교사 | 환경교사 | 기술교사 | 가정교사 | ||
음악교사 | 미술교사 | 체육교사 | 종교교사 | ||
전문교과교사 | |||||
특수학교 | 유아특수교사 | 초등특수교사 | 중등특수교사 | ||
비교과 | 보건교사 | 사서교사 | 영양교사 | 전문상담교사 | |
교사로 오해할 수 있는 직업 | |||||
한국어교사 | 보육교사 | 원어민교사 | 돌봄교사 |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
1. 개요
과학교육과를 졸업하거나, 교직과정을 이수하거나, 아니면 교육대학원을 졸업하는 방법을 통해 임용시험을 합격하면 될 수 있다.[1] 과거에는 남초이던 시절이 있었고 현재도 다른 과목에 비해 남자 교사가 많은 편이긴 하다.[2]수학교사를 배출하는 수학교육과와 달리 사범대에 과학교육과가 설치되지 않거나, 일부 분야만 설치된 경우가 많다. 그래서 과학 관련 교육과가 설치된 대학 대부분은 국공립대학이다.[3] 이는 자연계열 사범대도 일정 정도 수준의 실험 실습시설을 갖춰야 되는 이유 때문으로 보인다.
과학교육과로 입학하는 경우 도중에 세부전공을 선택하여 전공교사 자격을 취득하며, 공통과학 교육과정을 이수하면 공통과학 교사 자격도 취득한다. 물화생지가 섞여있는 중학교 과학과 통합과학도 가르쳐야 하므로 세부전공을 선택하기 전에 물화생지 기초 부분을 모든 학생이 이수해야 한다.
과학교육과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대학에서도 자연과학대학 학과에서 교직과정을 통해 과학교사 자격을 얻을 수 있다.
임용시험을 통과하고 나면 정식 발령을 통해 학교에서 근무하게 된다. 담당과목은 임용시험에서의 응시과목에 따라 달라지며 간단히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 물리 : 주로 중학교 과학, 통합과학, 물리학Ⅰ, 물리학Ⅱ
- 화학 : 주로 중학교 과학, 통합과학, 화학Ⅰ, 화학Ⅱ
- 생물 : 주로 중학교 과학, 통합과학, 생명 과학Ⅰ, 생명 과학Ⅱ[4]
- 지구과학 : 주로 중학교 과학, 통합과학,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Ⅱ
- 공통과학 : 주로 중학교 과학, 통합과학을 담당하며 일반 선택 과목은 담당하지 않는다.[5]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인해 새로 편성된 과목인 통합과학은 2017년 이전 졸업생들 중 물화생지 세부 자격만 딴 학생은 가르칠 수 없다고 한다. 즉, 학부생 때 통합과학 자격증을 따 놓았었거나 임용시험 합격 후 별도의 연수 과정을 거쳐야만 통합과학을 가르칠 수 있다고 한다. 물론 2017년 이전 졸업생이라도 공통과학 자격을 딴 사람은 그 자격으로 통합과학까지 가르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