碎 부술 쇄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石, 8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3획
|
||||
미배정
|
|||||||
砕
|
|||||||
일본어 음독
|
サイ
|
||||||
일본어 훈독
|
くだ-く, くだ-ける
|
||||||
-
|
|||||||
표준 중국어
|
suì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碎는 '부술 쇄' 라는 한자이다. '부수다', '깨뜨리다'를 나타낸다.2. 상세
|
碎의 획순 |
|
碎의 자형 |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부수다 |
음 | 쇄 | |
중국어 | 표준어 | suì |
광동어 | seoi3 | |
객가어 | sui | |
민북어 | cho̿ | |
민남어 | sùi / chhùi | |
일본어 | 음독 | サイ |
훈독 | くだ-く, くだ-ける | |
베트남어 | toái, thỏi, tôi, toả, tui, tủi |
石(돌 석)과 卒(마칠 졸)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뜻을 나타내는 石과 음을 나타내는 卒(졸)로 이루어져 있다. 돌을 잘게 부순다는 뜻.
유니코드는 U+788E에 배정되어있다. 창힐수입법으로는 MRYOJ(一口卜人十)로 입력하고, 주음부호로는 ㄙㄨㄟˋ로 입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