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명· 지명 한자 약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륙 | |||||||
亞 | 歐 | 阿 · 非 | ||||||
아시아 | 유럽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가 | ||||
南 · 韓 | 北 · 朝 | 華 · 臺 · 台 |
中 ·
漢 唐 |
日 和 |
||||
대한민국 | 북한 |
대만 중화민국 |
중국 | 일본 | ||||
蒙 | 美 · 米 | 英 | 加 | 濠 · 澳 | ||||
몽골 | 미국 | 영국 | 캐나다 | 호주 | ||||
佛 · 法 | 獨 · 德 | 墺 · 奥 | 伊 | 蘭 | ||||
프랑스 | 독일 | 오스트리아 | 이탈리아 | 네덜란드 | ||||
西 | 葡 | 露 · 俄 | 印 | 印 尼 | ||||
스페인 | 포르투갈 | 러시아 | 인도 | 인도네시아 | ||||
末 · 馬 · 馬 聯 | 泰 | 比 | 越 | 埃 | ||||
말레이시아 | 태국 | 필리핀 | 베트남 | 이집트 | ||||
波 | 厓 · 愛 | 丁 | 瑞 | 那 · 諾 | ||||
폴란드 | 아일랜드 | 덴마크 | 스웨덴 | 노르웨이 | ||||
希 | 芬 | 南 阿 共 | 白 | 匈 · 洪 | ||||
그리스 | 핀란드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벨기에 | 헝가리 | ||||
瑞 西 | 土 | 墨 | 阿 根 廷 | 巴 西 | ||||
스위스 | 튀르키예 | 멕시코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
과거의 국가 | ||||||||
伽 | 高 · 麗 | 濟 | 羅 | 朝 | ||||
가야 [A] |
고구려 ·
고려 [A] |
백제 [A] |
신라[A] | 조선[A] | ||||
大 秦 | 蘇 | 普 | 倭 | 琉 | ||||
로마 제국 | 소련[B] | 프로이센[C] |
왜국 [D] |
류큐 왕국
/열도 [D] |
||||
지역 및 도시 | ||||||||
亞 太 | 滿 | 加 州 | 羅 城 | 桑 港 | ||||
아시아-태평양 | 만주 지역 | 캘리포니아주 | 로스앤젤레스 | 샌프란시스코 | ||||
華 盛 頓 | 莫 斯 科 | 伯 林 | 羅 馬 | 倫 敦 | ||||
워싱턴 D.C. | 모스크바 | 베를린 | 로마 | 런던 |
}}}}}}}}} ||
愛 사랑 애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心, 9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3획
|
||||
중학교
|
6급
|
||||||
-
|
|||||||
일본어 음독
|
アイ
|
||||||
일본어 훈독
|
いと-しい, う-い, お-しむ,
かな-しい, まな, め-でる |
||||||
爱
|
|||||||
표준 중국어
|
ài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愛는 '사랑 애'라는 한자로, ' 사랑'을 뜻하며, '즐기다'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611B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BBPE(月月心水)로 입력한다.사용 예가 매우 무궁무진하여 나무위키에는 愛 자가 쓰인 문서가 제법 있다.
예전의 의미는 '아끼다', '아까워하다', '동정하다'에 가깝다. 맹자에 나오는 애민(愛民)이라는 표현 역시 백성을 사랑한다기보다는 백성을 아낀다는 표현이다. 다만 현대에 들어와서는 유럽 제어의 love에 대응하는 글자로 쓰이고 있다. 일본어의 훈독 중 몇은 이런 뜻이 남아있디.
한국어, 광동어를 제외하면 중국어, 베트남어, 일본어 모두 /ai/로 발음이 상당히 비슷비슷한 것이 특징이다. 한국어도 ㅐ가 단모음 /ɛ/가 되기 전에는 /ai/와 비슷한 소리였다. 정확히는 /aj/로 하강이중모음이다. 하지만 훈몽자회 하권에서는 ᄋᆡ로 나온다. ᄋᆡ는 /ʌj/ 정도로 발음했을 것으로 본다.
戀은 좀 더 이성 간의 사랑을 뜻하는 경향이 있고, 愛는 박애, 애정 등 좀 더 포괄적인 의미의 사랑을 뜻하는 경향이 있다.
문학 작품에서는 종종 대체 한자 표기로 慈(사랑 자)를 愛로 쓰기도 한다.
2.1. 자원(字源)
금문A | 금문B | 소전 |
금문(金文)을 보면 위쪽에 입을 크게 벌린 모습을 나타내어 주절주절 심경을 토로하는 것을 표현한 旡(목멜 기)이 있고, 그 아래에는 심장을 상형한 心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자는 㤅로 旡가 소리를, 心가 뜻을 나타내는 형성자로 본다.
맨 아래에는 손을 내밀어 心을 움켜잡는 것이 있기도 하고(금문B) 없기도 한데(금문A), 마음에 담아둔다는 것을 강조하는 표현이다. 전서, 예서로 가면서 夊(천천히걸을 쇠)가 추가되고 旡 모양이 크게 바뀌었다.
또한, 다른 고자로는 𢖻( U+225BB), 㤅[1](U+3905), 𢟪[2](U+227EA), 𤔤(U+24524), 𢙴(U+22674), 𢛭(U+226ED), 𢜤(U+22724), 𤔠(U+24520) 등이 있다.
3. 용례
3.1. 단어, 고사성어
- 가학애( 加 虐愛)
- 경애( 敬愛)
- 구애( 求愛)
- 모성애( 母 性愛)
- 박애( 博愛)
- 성애( 性愛)
- 순애( 純愛)
- 애견(愛 犬)
- 애교(愛 校)
- 애국(愛 國)
- 애마(愛 馬)
- 애민(愛 民)
- 애사(愛 社)
- 애연가(愛 煙 家)
- 애완동물(愛 玩 動 物)
- 애인(愛 人)
- 애정(愛 情)
- 애주가(愛 酒 家)
- 애증(愛 憎)
- 애착(愛 着)
- 애처가(愛 妻 家)
- 애칭(愛 稱)
- 애호(愛 好)
- 연애( 戀愛)
- 열애( 悅愛/ 熱愛)
- 영애( 令愛)
- 우애( 友愛)
- 인류애( 人 類愛)
- 자애( 慈愛)
- 총애( 寵愛)
- 친애( 親愛)
- 편애( 偏愛)
- 할애( 割愛)
- 신애(信愛/新愛)
3.2. 인명
여자 이름에 많이 쓴다.- 강애심( 姜愛 心)
- 김미애( 金 美愛)
- 김애란( 金愛 蘭)
- 김애용( 金愛 聳)
- 김영애( 金 姈愛)
- 김정애( 金 貞愛)
- 나가오 마나토( 長 尾 愛 斗)
- 나가오 미유아( 長 尾 心愛)
- 나카지마 메구미( 中 島 愛)
- 난죠 요시노( 南 條 愛 乃)
- 남기애( 南 基愛)
- 누마쿠라 마나미( 沼 倉 愛 美)
- 무라카미 에리카(村上愛花)
- 문지애( 文 智愛)
- 미야타 마나모( 宮 田愛 萌)
- 미야카와 아이리( 宮 川愛 李)
- 서신애( 徐 信愛)
- 송정애( 宋 貞愛)
- 수애( 秀愛)
- 스즈키 아이나( 鈴 木愛 奈)
- 시노자키 아이( 篠 崎愛)
- 신애라( 辛愛 羅)
- 신지애( 申 智愛)
- 아다가키 아키( 安 達 垣 愛 姫)
- 아델린(Adeline/愛 德 琳)
- 아시다 마나( 芦 田愛 菜)
- 아이미(성우)(愛 美)
- 아이코(愛 子)
- 안정애( 安 貞愛)
- 야마구치 메구미( 山 口 愛)
- 야나기하라 나루코( 柳 原愛 子)
- 엄정애( 嚴 貞愛)
- 에노사와 마나미( 江 野 沢 愛 美)
- 에드워드(Edward/愛 德 華)
- 유지애( 劉 智愛)
- 윤애리( 尹愛 里)
- 이신애(독립운동가)( 李 信愛)
- 이영애( 李 英愛)
- 이지애( 李 智愛)
- 임미애( 林 美愛)
- 임애지( 林愛 智)
- 우아이잉( 吴爱 英)
- 장아이링( 张爱 玲)
- 정애란( 鄭愛 蘭)
- 정애리( 鄭愛 里)
- 정애연( 鄭愛 妍)
- 추미애( 秋 美愛)
- 치하야 아논( 千 早 愛 音)
- 키즈나 아이( 絆 愛)
- 타니구치 아이리( 谷 口 愛 季)
- 토요사키 아키( 豊 崎 愛 生)
- 한정애( 韓 貞愛)
- 청나라 황제의 성씨 아이신기오로(愛 新 覺 羅)[3]
3.3. 지명, 작품명 등
- 겨울애(愛)
- 살애(殺し愛)
- 시월애(時越愛)
- 아이치현(愛知県)
- 아인슈타인으로부터 사랑을 담아(アインシュタインより愛を込めて)
- 연애 서큘레이션( 恋愛サーキュレーション)
- 에히메현(愛媛県)[4]
- ゲームより愛を込めて
- メンドクサイ愛情
- 恋愛勇者
- 愛 NEED
- 愛と勇気の三度笠ポン太
- 愛をとりもどせ!!
- 愛国行進曲
- 可愛くてごめん
- 赤月愛
- 愛にできることはまだあるかい
- 偏愛の輪舞曲
- 恋愛裁判
- 愛,태우다 (Shadowless)
- 最愛のひと
- 愛の力コブ
- アイコメ!愛を込めて -> 아이코메(아이돌)
- 나루토의 가아라의 이마에 이 한자가 새겨졌다.
3.4.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여담
- 간체자 爱는 가운데의 心이 빠진 대신 友가 들어가 있는 형상이다.[5] 그래서 간체를 비판하는 사람들이 주요 예시로 드는 글자이기도 하다. '마음이 없이 어찌 사랑을 하겠냐?'라는 것. 본 의미를 생각하면 아예 틀린 말은 아니다.
- 일본어의 '[ruby(아이시테루, ruby=あいしてる)]'[6]의 '[ruby(아이, ruby=あい)]'가 바로 이 '사랑 애'의 음독이다. 중국에서도 '사랑 애'를 '아이'라고 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