巖 바위 암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山, 2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23획
|
||||
중학교
|
|||||||
岩
|
|||||||
일본어 음독
|
ガン
|
||||||
일본어 훈독
|
いわ, いわお, がけ, けわ-しい
|
||||||
岩
|
|||||||
표준 중국어
|
yá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巖은 '바위 암'이라는 한자로, ' 바위'를 뜻한다.2. 상세
바위, 벼랑 등을 나타내는 한자. U+5DD6에 배당되었다.[1] 또한 속자 혹은 간체자 혹은 신자체 바위 암(岩)도 있다. 이 한자는 어문회 기준 무려 준특급 한자에 해당[2]하지만 응암역(鷹岩) 등 실제 사용례도 어느 정도 있다.[3]3. 용례
3.1. 단어
- 암석(巖石)
- 암석권(巖石圈)
- 암벽(巖壁)
- 용암(鎔巖)
- 화성암(火成巖)
- 화산암(火山巖)
- 현무암(玄武巖)
- 안산암(安山巖)
- 유문암(流紋巖)
- 심성암(深成巖)
- 반려암(斑糲巖)
- 섬록암(閃綠巖)
- 화강암(花崗巖)
- 관입암(貫入巖)
- 퇴적암(堆積巖)
- 역암(礫巖)
- 사암(沙巖)
- 응회암(凝灰巖)
- 석회암(石灰巖)
- 변성암(變成巖)
- 포획암(捕獲巖)
3.2. 인명
3.3. 지명
- 공식적으로 巖(정자)를 쓰는 경우
- 공식적으로 岩(약자)를 쓰는 경우
3.4. 중국어
- 岩 [yán]
- 명사
-
암석
예) 岩石 [yánshí] : 암석
4. 이체자
이체자가 꽤나 많은 편.- 喦(말 많을 녑, 바위 암 / U+55A6)
- 嵒(바위 암 / U+5D52)[4]
- 嵓(바위 암 / U+5D53)
- 巌(바위 암 / U+5DCC)
- 巗(바위 암 / U+5DD7)
5. 유의자
- 岩(바위 암)